신경진
Encyves Wiki
신경진(申景禛) | |
대표명칭 | 신경진 |
---|---|
한자표기 | 申景禛 |
생몰년 | 1575년-1643년 |
본관 | 평산(平山) |
시호 | 충익(忠翼) |
호 | 조암(釣巖) |
자 | 군수(君受) |
시대 | 조선 |
대표직함 | 영의정(領議政)ㆍ좌의정(左議政)ㆍ우의정(右議政) |
배우자 | 조정현(趙廷顯)의 딸 순창 조씨 |
부 | 도순변사(都巡邊使) 신립(申砬) |
모 | 최필신(崔弼臣))의 딸 전주 최씨 |
자녀 | 형조판서 신준(申埈), 신해(申垓) |
능묘 | 서울특별시 중랑구 망우동 산 69-1 |
성격 | 인물 |
유형 | 백관 |
목차
정의
조선 중기의 무관이다.
내용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공을 세웠으며,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청(淸)의 군대를 막아 인조가 남한산성(南漢山城)으로 피신할 시간을 벌었다.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 도제조를 역임하였다.
관직
신립(申砬)의 아들로 아버지가 전사하자 선전관(宣傳官)이 되었으며, 일본군과의 전투에서 공을 세웠다. 나중에 무과에 급제하고 태안군수(泰安郡守)ㆍ부산첨사(釜山僉使) 등을 거쳤다.[1] 광해군(光海君) 때에도 외직을 역임하다가 이귀(李貴) 등과 인조를 왕으로 세우는 데 기여하고 그 공으로 관직을 받았으며,[2] 1등공신이 되었다.[3] 이괄(李适)의 난 때에는 이괄이 추대했던 흥안군(興安君) 이제(李瑅)를 멋대로 죽여 탄핵 당했으나,[4] 곧 병조판서에 천거되었다.[5] 병자호란 때에는 한양에서 청군을 막고 인조를 탈출시켜 그 공으로 우의정이 되었다.[6] 이후 좌의정을 거쳐 1643년(인조 21) 영의정이 되었다가 그 해에 죽었다.[7]
사후
1651년(효종 2) 인조의 묘정에 배향되었으며,[8] 같은 해에 ‘충익(忠翼)’의 시호를 받았다.[9] 신도비는 송시열(宋時烈)이 비문을 짓고 박태유(朴泰維)가 글씨를 썼다. 서울특별시 중랑구 망우동에 묘가 있다. 1995년 1월 25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 95호로 지정되었다.[10]
지식 관계망
- 어머니 신천강씨가 딸 순천김씨에게 보낸 한글편지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신경진 |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 | A는 B의 담당자였다 | A edm:isRelatedTo B |
신상 | 신경진 | A는 B의 선조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신화국 | 신경진 | A는 B의 선조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신립 | 신경진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최필신 | 신경진 | A는 B의 선조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전주 최씨 | 신경진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조정현 | 신경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순창 조씨 | 신경진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신경진 | 신준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신경진 | 신해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신경진 | 백관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시간정보
시간 | 내용 |
---|---|
1638년 | 신경진은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를 담당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96060 | 127.103268 | 신경진 묘는 서울특별시 중랑구 망우동 산69-1에 위치한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國朝人物考』 卷60, 「癸亥擧義人」, <申景禛>.
- ↑ 『인조실록』 권1, 인조 1년(1623) 3월 25일(을묘), 이안눌ㆍ오백령ㆍ신경진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조선왕조실록』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인조실록』 권3, 인조 1년(1623) 윤10월 18일(갑진), 정사훈(靖社勳)을 감정토록 명하여 1·2·3등 53명을 녹훈하다,
『조선왕조실록』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인조실록』 권4, 인조 2년(1624) 2월 16일(경자), 헌부와 간원이 장만·심기원 등이 멋대로 이제를 죽인 일을 가지고 탄핵하다,
『조선왕조실록』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인조실록』 권6, 인조 2년(1624) 5월 28일(신사), 삼공에게 병조판서를 천거하게 하다,
『조선왕조실록』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國朝人物考』 卷60, 「癸亥擧義人」, <申景禛>.
- ↑ 『인조실록』 44권, 인조 21년(1643) 3월 11일(갑진), 영의정 신경진의 졸기,
『조선왕조실록』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효종실록』 권6, 효종 2년(1651) 6월 14일(기미), 묘정에 배향할 신하 중에 신경준과 이서를 포함시킬 것을 명하다,
『조선왕조실록』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효종실록』 권6, 효종 2년 6월 29일 갑술 2번째 기사, 신경진·이서·윤방에게 시호를 내리고 박서, 권우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조선왕조실록』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충익공 신경진 묘역", 문화재 검색,
『문화재청』online , 문화재청. - ↑ 문화재청(http://www.cha.go.kr/)
- ↑ 문화재청(http://www.cha.go.kr/)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인조실록』
- 『효종실록』
- 『국조인물고』
- 『한국계행보』
더 읽을거리
- "충익공 신경진 묘역", 문화재 검색,
『문화재청』online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