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내용)
24번째 줄: 24번째 줄:
 
==내용==
 
==내용==
 
1882년 당시 왕세자였던 [[순종]]의 [[가례]]를 위해 장만한 흉배, 베개, 노리개 등을 기록한 발기이다.
 
1882년 당시 왕세자였던 [[순종]]의 [[가례]]를 위해 장만한 흉배, 베개, 노리개 등을 기록한 발기이다.
본 발기의 배면에는 <<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바탕">임요쳔만셰 동궁마마 가례시 륭흉 침 노리개 ᄇᆞᆯ긔</span>>라는 기록이 있어 그 용처를 확인할 수 있다. 분홍색, 연보라색, 송화색, 연보라색, 갈색, 송화색, 갈색 등의 한지를 연결하였으며, 가례에 필요한 흉배를 비롯하여, 적의에 사용될 수장식, 주머니, 향갑, 운혜, 방석, 부채, 노리개, 베개 등의 물목을 기록하였다.
+
본 발기의 배면에는 <<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돋움">임요쳔만셰 동궁마마 가례시 륭흉 침 노리개 ᄇᆞᆯ긔</span>>라는 기록이 있어 그 용처를 확인할 수 있다. 분홍색, 연보라색, 송화색, 연보라색, 갈색, 송화색, 갈색 등의 한지를 연결하였으며, 가례에 필요한 흉배를 비롯하여, 적의에 사용될 수장식, 주머니, 향갑, 운혜, 방석, 부채, 노리개, 베개 등의 물목을 기록하였다.
 
가례에서 중요한 것 중 하나가 금침(衾枕)이다. 이불에 사용된 직물은 도류단, 저우사, 별문영초, 왜주, 별문영견 등 최고급의 비단이 사용되었다. 또한 계절에 맞춰 솜을 둔 것도 있고 겹으로만 제작한 것도 있으며, 솜을 얇게 두고 누빈 것도 있다. 누비를 할 때에도 누비의 간격을 달리하여 세누비, 잔주누비를 만들었으며, 솜을 두껍게 두어 넓게 누빔으로써 오목오목한 효과를 낸 오목누비와 솜을 얇게 둠으로써 납작한 느낌이 나오도록 한 납작누비도 있다. 베개는 용도와 장소에 따라 별궁침, 가례시침으로 구분했으며, 베개 양 마구리의 수에 따라서도 공침으로 구분하였다. 이들 베개에는 왕과 왕비를 상징하는 용, 봉황뿐 아니라 부부의 금슬을 상징하는 오리, 장수를 상징하는 십장생, 해학반도, 기린과 부귀영화를 상징하는 모란 등의 수를 놓았다. <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12쪽.</REF>
 
가례에서 중요한 것 중 하나가 금침(衾枕)이다. 이불에 사용된 직물은 도류단, 저우사, 별문영초, 왜주, 별문영견 등 최고급의 비단이 사용되었다. 또한 계절에 맞춰 솜을 둔 것도 있고 겹으로만 제작한 것도 있으며, 솜을 얇게 두고 누빈 것도 있다. 누비를 할 때에도 누비의 간격을 달리하여 세누비, 잔주누비를 만들었으며, 솜을 두껍게 두어 넓게 누빔으로써 오목오목한 효과를 낸 오목누비와 솜을 얇게 둠으로써 납작한 느낌이 나오도록 한 납작누비도 있다. 베개는 용도와 장소에 따라 별궁침, 가례시침으로 구분했으며, 베개 양 마구리의 수에 따라서도 공침으로 구분하였다. 이들 베개에는 왕과 왕비를 상징하는 용, 봉황뿐 아니라 부부의 금슬을 상징하는 오리, 장수를 상징하는 십장생, 해학반도, 기린과 부귀영화를 상징하는 모란 등의 수를 놓았다. <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12쪽.</REF>
  

2017년 4월 13일 (목) 09:13 판

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
영문명칭 A list of clothes and accessories for the wedding ceremony of Sunjong
작자 미상
간행시기 1882년(고종19)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청구기호 1242
유형 고문서
크기(세로×가로) 25.7×260.4cm
판본 필사본
수량 1장
표기문자 한글


정의

1882년 당시 왕세자였던 순종가례를 위해 장만한 흉배, 베개, 노리개 등을 기록한 발기이다.

내용

1882년 당시 왕세자였던 순종가례를 위해 장만한 흉배, 베개, 노리개 등을 기록한 발기이다. 본 발기의 배면에는 <임요쳔만셰 동궁마마 가례시 륭흉 침 노리개 ᄇᆞᆯ긔>라는 기록이 있어 그 용처를 확인할 수 있다. 분홍색, 연보라색, 송화색, 연보라색, 갈색, 송화색, 갈색 등의 한지를 연결하였으며, 가례에 필요한 흉배를 비롯하여, 적의에 사용될 수장식, 주머니, 향갑, 운혜, 방석, 부채, 노리개, 베개 등의 물목을 기록하였다. 가례에서 중요한 것 중 하나가 금침(衾枕)이다. 이불에 사용된 직물은 도류단, 저우사, 별문영초, 왜주, 별문영견 등 최고급의 비단이 사용되었다. 또한 계절에 맞춰 솜을 둔 것도 있고 겹으로만 제작한 것도 있으며, 솜을 얇게 두고 누빈 것도 있다. 누비를 할 때에도 누비의 간격을 달리하여 세누비, 잔주누비를 만들었으며, 솜을 두껍게 두어 넓게 누빔으로써 오목오목한 효과를 낸 오목누비와 솜을 얇게 둠으로써 납작한 느낌이 나오도록 한 납작누비도 있다. 베개는 용도와 장소에 따라 별궁침, 가례시침으로 구분했으며, 베개 양 마구리의 수에 따라서도 공침으로 구분하였다. 이들 베개에는 왕과 왕비를 상징하는 용, 봉황뿐 아니라 부부의 금슬을 상징하는 오리, 장수를 상징하는 십장생, 해학반도, 기린과 부귀영화를 상징하는 모란 등의 수를 놓았다. [1]

관련항목

중심 연결정보 대상
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 인물 순종
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 인물 고종
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 개념 가례
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시간정보

중심 시간정보명 시간값
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 간행년 1882년
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 간행년 고종19년

공간정보

중심 연결정보 공간정보이름 경도 위도
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37.39197 127.054387

참고문헌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1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