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천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관련항목) |
|||
94번째 줄: | 94번째 줄: | ||
===문헌/회화 → 복식=== | ===문헌/회화 → 복식===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
− | !항목A!!항목B!!관계 |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고려사]]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
|- | |- | ||
− | | [[ | + | | [[구당서]]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 | |- | ||
− | | [[ | + | | [[국조오례의서례]]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 | |- | ||
− | | [[ | + | | [[대명집례]]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 | |- | ||
− | | [[ | + | | [[대명회전]]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 | |- | ||
− | | [[ | + | | [[삼례도]]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 | |- | ||
− | | [[ | + | | [[삼재도회]]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 | |- | ||
− | | [[ | + | | [[송사]]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 | |- | ||
− | | [[ | + | | [[예복]]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 | |- | ||
− | | [[ | + | | [[진서]]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 | |- | ||
− | | [[ | + | | [[후한서]]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 | |||
− | |||
|- | |- | ||
|} | |} | ||
122번째 줄: | 122번째 줄: | ||
===복식 → 복식=== | ===복식 → 복식===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
− | !항목A!!항목B!!관계 |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 | | '''{{PAGENAME}}''' || [[량]] || A는 B의 부분이다 | + | | '''{{PAGENAME}}''' || [[량]] || A는 B의 부분이다 || |
|- | |- | ||
|} | |} | ||
130번째 줄: | 130번째 줄: | ||
===인물 → 복식=== | ===인물 → 복식===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
− | !항목A!!항목B!!관계 |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황제]]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한다 || | ||
|- | |- | ||
− | | [[ | + | | [[왕건]]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한다 || |
|- | |- | ||
− | | [[ | + | | [[고종]]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한다 || |
|- | |- | ||
− | | [[ | + | | [[순종]]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한다 || |
− | |||
− | |||
|- | |- | ||
|} | |} | ||
144번째 줄: | 144번째 줄: | ||
===복식 → 기관=== | ===복식 → 기관===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
− | !항목A!!항목B!!관계 |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 | | '''{{PAGENAME}}''' || 노드 || A는 B에서 제작한다 | + | | '''{{PAGENAME}}''' || 노드 || A는 B에서 제작한다 || |
|- | |- | ||
|} | |} | ||
152번째 줄: | 152번째 줄: | ||
===기관/소장처 → 복식=== | ===기관/소장처 → 복식===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
− | !항목A!!항목B!!관계 |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 | | 노드 || '''{{PAGENAME}}''' || A는 B를 소장한다 | + | | 노드 || '''{{PAGENAME}}''' || A는 B를 소장한다 || |
|- | |- | ||
|} | |} |
2017년 3월 24일 (금) 23:02 판
통천관 () |
|
[[file:|360px|thumb|center|]] | |
대표명칭 | 통천관 |
---|---|
착용신분 | 황제 |
착용성별 | 남성 |
목차
정의
- 황제가 조복을 입을 때 쓰는 관.
착용신분과 착용상황
기본 정보
어원
- 불명확함.
- ‘하늘과 통하는 관’이라고 글자 그대로 풀기도 하지만, 전거는 찾을 수 없음.
유래
시대별 형태
1. 중국
① 한(漢)
② 진(晉)
- 한나라와 유사한데, 다만 산형의 장식이 금으로 되어 있거나 니금(泥金)을 사용했을 것으로 추측.
- 진나라 사마염(司馬炎, 236~290)의 초상은 당대의 특징이 보임.
진무제(晉武帝) 사마염(司馬炎)의 통천관+면판 초상.[4]
③ 수(隋), 당(唐)
- 24양(梁)에 매미 12수(首)를 붙이는 것이 특징.
④ 송(宋), 요(遼), 금(金), 원(元)
- 한나라의 제도와 같음.
⑤ 명(明)
- 명의 통천관도 금박산(金博山)과 12수(首)의 매미 장식에 주취(朱翠), 흑개책(黒介幘), 조영(組纓), 옥잠도(玉簮導)를 장식.
- 홍무 26년 피변(皮弁)의 제도가 제정된 이후 통천관은 사용되지 않음.
⑥ 청(淸)
- 한족의 복식을 착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통천관이 사라짐.
2. 한국
① 고려[5]
- 1993년 평양에서 태조 왕건의 무덤인 현릉을 정비하기 위한 발굴조사 과정에서 관을 안치하는 玄室의 북쪽으로 5m 떨어진 지점의 지하에서 태조 왕건의 동상이 발견.
- 앞에 산모양이 있는 24량의 통천관으로 당나라의 제도와 일치.
- 관에 붙은 8개의 일(日), 월(月)을 상징하는 형태는 중국 황제의 통천관의 제도에 없는 고려만의 특징으로 구별.
태조 왕건상.[6]
② 대한제국[7]
- 고종 34년(1897)에 8월 14일 나라의 연호를 ‘광무(光武)’로 쓸 것을 확정하고 일련의 준비과정을 거쳐 같은 해 10월 11일 제국의 국호를 ‘대한(大韓)’으로 할 것을 결정한 다음날 원구단에서 제사를 지낸 후 황제로 등극.
- 고종은 신하들의 하례를 받고 황후 책봉과 황태자 책봉의 의례를 행하는데, 이 때 황제의 면복인 12장 면복 착용, 다음 날인 13일에 조칙을 반포할 때 황제가 조복으로 착용하는 통천관을 쓰고 강사포를 입음.
- 대한제국 시기에 편찬된 국가전례서인 『대한예전(大韓禮典)』에는 ‘통천관복(通天冠服)’이 아닌 ‘익선관복(翼善冠服)’으로 기록.
- 대한제국 시기 면복의 다음 등급으로 정해진 것이 익선관복이 아니라 통천관복이라는 점과 중단, 대대, 폐슬, 패옥 등 예복의 기타 요소를 모두 갖추고 있는 점으로 보아 ‘익선관복’은 ‘통천관복’에 대해 규정했어야 함.
-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와 『예복(禮服)』에서는 황제의 면복 다음에 ‘통천관(通天冠), 강사포(絳紗袍)’의 제도가 나옴.
고종 통천관 어진.[8]
3. 일본
- 일본 류쿠 왕국 ‘쇼씨 왕조의 전래품’의 통천관은 검은색 바탕에 12량, 붉은 색 끈 등으로 보아 중국과 우리나라의 기록과 같음.
류쿠 왕국 국왕의 통천관.[9]
관련항목
문헌/회화 → 복식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고려사 | 통천관 | A는 B를 기록한다 | |
구당서 | 통천관 | A는 B를 기록한다 | |
국조오례의서례 | 통천관 | A는 B를 기록한다 | |
대명집례 | 통천관 | A는 B를 기록한다 | |
대명회전 | 통천관 | A는 B를 기록한다 | |
삼례도 | 통천관 | A는 B를 기록한다 | |
삼재도회 | 통천관 | A는 B를 기록한다 | |
송사 | 통천관 | A는 B를 기록한다 | |
예복 | 통천관 | A는 B를 기록한다 | |
진서 | 통천관 | A는 B를 기록한다 | |
후한서 | 통천관 | A는 B를 기록한다 |
복식 → 복식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통천관 | 량 | A는 B의 부분이다 |
인물 → 복식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황제 | 통천관 | A는 B를 착용한다 | |
왕건 | 통천관 | A는 B를 착용한다 | |
고종 | 통천관 | A는 B를 착용한다 | |
순종 | 통천관 | A는 B를 착용한다 |
복식 → 기관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통천관 | 노드 | A는 B에서 제작한다 |
기관/소장처 → 복식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노드 | 통천관 | A는 B를 소장한다 |
참고문헌
- 『삼례도(三禮圖)』
- 『구당서(舊唐書)』
- 『대명집례(大明集禮)』
- 『대명회전(大明會典)』
- 『송사(宋史)』
- 『진서(晉書)』
- 『후한서(後漢書)』
- 『고려사(高麗史)』
- 『국조오례의서례(國朝五禮儀序例)』
- 姜淳弟, 「冠帽 硏究(III)-通天冠․遠遊冠․梁冠을 중심으로」, 『생활과학연구논집』 16권 1호,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1996.
- 국립고궁박물관,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국립고궁박물관, 2011.
- 노명호,『고려 태조왕건의 동상-황제제도 고구려 문화 전통의 형상화』, 지식산업사, 2012.
- 黃能馥, 陳娟娟, 『中華歷代服飾藝術』, 中國旅遊出版社, 1999.
주석
- ↑ 『황실황족성감(皇室皇族聖鑑)』(1937),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 ↑ 『황실황족성감(皇室皇族聖鑑)』(1937),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 ↑ 姜淳弟, 「冠帽 硏究(III)-通天冠․遠遊冠․梁冠을 중심으로」, 『생활과학연구논집』 16권 1호,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1996, 35~36쪽.
- ↑ 『역대제왕도(歷代帝王圖』
- ↑ 노명호,『고려 태조왕건의 동상-황제제도 고구려 문화 전통의 형상화』, 지식산업사, ?쪽, 2012.
- ↑ 『고려 태조왕건의 동상』 p.
- ↑ 최규순, 「황제와 황후의 복식, 어떻게 변화했나」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264~269쪽, 2010.
- ↑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 ↑ 『류쿠 왕국의 보물』 p.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