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의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지식 관계망) |
|||
31번째 줄: | 31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 |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 |
=='''내용'''== | =='''내용'''== | ||
− | === | + | ===가계=== |
본관은 용인(龍仁), 자는 덕재(德哉), 호는 도곡(陶谷)이다. [[이후천|이후천(李後天)]]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정악|이정악(李挺岳)]]이다. 아버지는 좌의정 [[이세백|이세백(李世白)]]이며, 어머니는 [[정창징|정창징(鄭昌徵)]]의 딸이다.<ref>정만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5542 이의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본관은 용인(龍仁), 자는 덕재(德哉), 호는 도곡(陶谷)이다. [[이후천|이후천(李後天)]]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정악|이정악(李挺岳)]]이다. 아버지는 좌의정 [[이세백|이세백(李世白)]]이며, 어머니는 [[정창징|정창징(鄭昌徵)]]의 딸이다.<ref>정만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5542 이의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 ===신임옥사로 유배=== |
*[[김창협|김창협(金昌協)]]의 문인으로 문학(文學)에 뛰어나, 숙종 때 대제학(大提學) [[송상기|송상기(宋相琦)]]에 의해 당대 명문장가로 천거되었다. 1694년(숙종 20)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이조참의·대사간을 역임하였다. 1712년 다시 이조참의가 되었으나 판서 [[윤덕준|윤덕준(尹德駿)]]과의 불화로 부제학으로 옮겨 그 뒤 대사성을 지냈다. 황해도관찰사로 2년여 재임한 뒤 도승지·경기도관찰사·예조참판을 역임하였다. [[조선 경종|경종]]이 즉위하자, 동지정사(冬至正使)로 청나라에 다녀온 뒤 형조판서에 올랐다. 이조판서를 거쳐 예조판서에 재임하던 중 [[조선 영조|왕세제(王世弟: 뒤의 영조)]]의 대리청정문제로 [[소론]] [[김일경|김일경(金一鏡)]] 등의 공격을 받아 벼슬에서 물러났다. 뒤이어 [[목호룡|목호룡(睦虎龍)]]의 고변으로 [[신임옥사]]가 일어나 많은 [[노론]] 관료가 죄를 입자, 그 역시 정언 정수기(鄭壽期)의 논척(論斥)으로 평안도 운산에 유배되었다.<ref>정만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5542 이의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김창협|김창협(金昌協)]]의 문인으로 문학(文學)에 뛰어나, 숙종 때 대제학(大提學) [[송상기|송상기(宋相琦)]]에 의해 당대 명문장가로 천거되었다. 1694년(숙종 20)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이조참의·대사간을 역임하였다. 1712년 다시 이조참의가 되었으나 판서 [[윤덕준|윤덕준(尹德駿)]]과의 불화로 부제학으로 옮겨 그 뒤 대사성을 지냈다. 황해도관찰사로 2년여 재임한 뒤 도승지·경기도관찰사·예조참판을 역임하였다. [[조선 경종|경종]]이 즉위하자, 동지정사(冬至正使)로 청나라에 다녀온 뒤 형조판서에 올랐다. 이조판서를 거쳐 예조판서에 재임하던 중 [[조선 영조|왕세제(王世弟: 뒤의 영조)]]의 대리청정문제로 [[소론]] [[김일경|김일경(金一鏡)]] 등의 공격을 받아 벼슬에서 물러났다. 뒤이어 [[목호룡|목호룡(睦虎龍)]]의 고변으로 [[신임옥사]]가 일어나 많은 [[노론]] 관료가 죄를 입자, 그 역시 정언 정수기(鄭壽期)의 논척(論斥)으로 평안도 운산에 유배되었다.<ref>정만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5542 이의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정미환국으로 파직=== | |
*[[조선 영조|영조]]가 즉위해 [[노론]]이 득세하자, 풀려 나와 1725년(영조 1) 형조판서로 서용되었다. 그러다가 이조판서로 임명되어 수어사(守禦使)를 겸하면서 명류(名流)를 조정에 끌어들이는 데 힘썼다. 같은 해 왕세자 죽책제진(竹冊製進: 세자의 책봉을 대나무에 새긴 글을 만들어 올림)의 공로로 승문원제조(承文院提調)와 비변사유사당상(備邊司有司堂上)을 겸했다. 공정한 성품을 인정받아 특히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에 임명되어, [[유봉휘|유봉휘(柳鳳輝)]] 등 [[소론]]의 죄를 다스리는 임무를 맡았다. 이듬해 예조판서로 옮기고 양관대제학(兩館大提學)이 되어 세자빈객을 겸하다가 1727년 우의정에 발탁되었다. 이 때 좌의정 [[홍치중|홍치중(洪致中)]]과 함께 [[김일경]] 소하(疏下)의 [[이진유|이진유(李眞儒)]] 등 5인의 죄를 성토하고 처형을 주장하다가,[[노론]]의 지나친 강경책에 염증을 느낀 왕에 의해 정권이[[ 소론]]에게로 넘어가는 [[정미환국]] 때 파직되어 양주로 물러났다.<ref>정만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5542 이의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조선 영조|영조]]가 즉위해 [[노론]]이 득세하자, 풀려 나와 1725년(영조 1) 형조판서로 서용되었다. 그러다가 이조판서로 임명되어 수어사(守禦使)를 겸하면서 명류(名流)를 조정에 끌어들이는 데 힘썼다. 같은 해 왕세자 죽책제진(竹冊製進: 세자의 책봉을 대나무에 새긴 글을 만들어 올림)의 공로로 승문원제조(承文院提調)와 비변사유사당상(備邊司有司堂上)을 겸했다. 공정한 성품을 인정받아 특히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에 임명되어, [[유봉휘|유봉휘(柳鳳輝)]] 등 [[소론]]의 죄를 다스리는 임무를 맡았다. 이듬해 예조판서로 옮기고 양관대제학(兩館大提學)이 되어 세자빈객을 겸하다가 1727년 우의정에 발탁되었다. 이 때 좌의정 [[홍치중|홍치중(洪致中)]]과 함께 [[김일경]] 소하(疏下)의 [[이진유|이진유(李眞儒)]] 등 5인의 죄를 성토하고 처형을 주장하다가,[[노론]]의 지나친 강경책에 염증을 느낀 왕에 의해 정권이[[ 소론]]에게로 넘어가는 [[정미환국]] 때 파직되어 양주로 물러났다.<ref>정만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5542 이의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청검을 실천한 청백리=== | |
*이듬해 [[무신란|무신란(戊申亂)]]이 발생하자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로 기용되어 반란 관련자들의 치죄를 담당하였다. 이어 『[[경종실록]]』 편찬에 참여했으며, 1732년 사은정사(謝恩正使)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1735년 특별히 영의정에 임명되어 [[김창집|김창집(金昌集)]]·[[이이명|이이명(李頤命)]]의 신원(伸寃: 원통함을 품)을 요구하는 [[노론]]의 주장을 누그러뜨리도록 부탁받았으나, 신원할 수 없다는 반야하교(半夜下敎: 밤중에 내리는 교서)에 사직을 청하다가 왕의 노여움을 사삭직되었다. 그러나 우의정 [[김흥경|김흥경(金興慶)]]의 구원으로 곧 판중추부사로 서용되어 양주에 머물면서 국가의 자문에 응하였다. 1739년 영중추부사로 승진, 1742년 치사(致仕: 나이가 많아 벼슬을 사양하고 물러남)하여 봉조하(奉朝賀)가 되었다. 청검(淸儉: 청렴하고 검소함)을 스스로 실천, 청백리로 이름났다. 「[[금양위박미비|금양위박미비((金陽尉朴瀰碑)]]」·「[[충정공홍익한갈|충정공홍익한갈(忠正公洪翼漢碣)]]」 등의 글씨가 있으며, 저서로는 『[[도곡집|도곡집(陶谷集)]]』 32권이 있다. 시호는 문간(文簡)이다.<ref>정만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5542 이의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이듬해 [[무신란|무신란(戊申亂)]]이 발생하자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로 기용되어 반란 관련자들의 치죄를 담당하였다. 이어 『[[경종실록]]』 편찬에 참여했으며, 1732년 사은정사(謝恩正使)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1735년 특별히 영의정에 임명되어 [[김창집|김창집(金昌集)]]·[[이이명|이이명(李頤命)]]의 신원(伸寃: 원통함을 품)을 요구하는 [[노론]]의 주장을 누그러뜨리도록 부탁받았으나, 신원할 수 없다는 반야하교(半夜下敎: 밤중에 내리는 교서)에 사직을 청하다가 왕의 노여움을 사삭직되었다. 그러나 우의정 [[김흥경|김흥경(金興慶)]]의 구원으로 곧 판중추부사로 서용되어 양주에 머물면서 국가의 자문에 응하였다. 1739년 영중추부사로 승진, 1742년 치사(致仕: 나이가 많아 벼슬을 사양하고 물러남)하여 봉조하(奉朝賀)가 되었다. 청검(淸儉: 청렴하고 검소함)을 스스로 실천, 청백리로 이름났다. 「[[금양위박미비|금양위박미비((金陽尉朴瀰碑)]]」·「[[충정공홍익한갈|충정공홍익한갈(忠正公洪翼漢碣)]]」 등의 글씨가 있으며, 저서로는 『[[도곡집|도곡집(陶谷集)]]』 32권이 있다. 시호는 문간(文簡)이다.<ref>정만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5542 이의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2018년 1월 2일 (화) 20:47 판
이의현(李宜顯) | |
대표명칭 | 이의현 |
---|---|
한자표기 | 李宜顯 |
생몰년 | 1669년-1745년 |
본관 | 용인(龍仁) |
시호 | 문간(文簡) |
호 | 도곡(陶谷) |
자 | 자는 덕재(德哉 |
시대 | 조선시대 |
국적 | 조선 |
대표저서 | 『도곡집(陶谷集)』 |
대표직함 | 영의정 |
부 | 이세백(李世白) |
모 | 이세백 처 정씨 |
성격 | 문신 |
유형 | 인물 |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내용
가계
본관은 용인(龍仁), 자는 덕재(德哉), 호는 도곡(陶谷)이다. 이후천(李後天)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정악(李挺岳)이다. 아버지는 좌의정 이세백(李世白)이며, 어머니는 정창징(鄭昌徵)의 딸이다.[1]
신임옥사로 유배
- 김창협(金昌協)의 문인으로 문학(文學)에 뛰어나, 숙종 때 대제학(大提學) 송상기(宋相琦)에 의해 당대 명문장가로 천거되었다. 1694년(숙종 20)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이조참의·대사간을 역임하였다. 1712년 다시 이조참의가 되었으나 판서 윤덕준(尹德駿)과의 불화로 부제학으로 옮겨 그 뒤 대사성을 지냈다. 황해도관찰사로 2년여 재임한 뒤 도승지·경기도관찰사·예조참판을 역임하였다. 경종이 즉위하자, 동지정사(冬至正使)로 청나라에 다녀온 뒤 형조판서에 올랐다. 이조판서를 거쳐 예조판서에 재임하던 중 왕세제(王世弟: 뒤의 영조)의 대리청정문제로 소론 김일경(金一鏡) 등의 공격을 받아 벼슬에서 물러났다. 뒤이어 목호룡(睦虎龍)의 고변으로 신임옥사가 일어나 많은 노론 관료가 죄를 입자, 그 역시 정언 정수기(鄭壽期)의 논척(論斥)으로 평안도 운산에 유배되었다.[2]
정미환국으로 파직
- 영조가 즉위해 노론이 득세하자, 풀려 나와 1725년(영조 1) 형조판서로 서용되었다. 그러다가 이조판서로 임명되어 수어사(守禦使)를 겸하면서 명류(名流)를 조정에 끌어들이는 데 힘썼다. 같은 해 왕세자 죽책제진(竹冊製進: 세자의 책봉을 대나무에 새긴 글을 만들어 올림)의 공로로 승문원제조(承文院提調)와 비변사유사당상(備邊司有司堂上)을 겸했다. 공정한 성품을 인정받아 특히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에 임명되어, 유봉휘(柳鳳輝) 등 소론의 죄를 다스리는 임무를 맡았다. 이듬해 예조판서로 옮기고 양관대제학(兩館大提學)이 되어 세자빈객을 겸하다가 1727년 우의정에 발탁되었다. 이 때 좌의정 홍치중(洪致中)과 함께 김일경 소하(疏下)의 이진유(李眞儒) 등 5인의 죄를 성토하고 처형을 주장하다가,노론의 지나친 강경책에 염증을 느낀 왕에 의해 정권이 소론에게로 넘어가는 정미환국 때 파직되어 양주로 물러났다.[3]
청검을 실천한 청백리
- 이듬해 무신란(戊申亂)이 발생하자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로 기용되어 반란 관련자들의 치죄를 담당하였다. 이어 『경종실록』 편찬에 참여했으며, 1732년 사은정사(謝恩正使)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1735년 특별히 영의정에 임명되어 김창집(金昌集)·이이명(李頤命)의 신원(伸寃: 원통함을 품)을 요구하는 노론의 주장을 누그러뜨리도록 부탁받았으나, 신원할 수 없다는 반야하교(半夜下敎: 밤중에 내리는 교서)에 사직을 청하다가 왕의 노여움을 사삭직되었다. 그러나 우의정 김흥경(金興慶)의 구원으로 곧 판중추부사로 서용되어 양주에 머물면서 국가의 자문에 응하였다. 1739년 영중추부사로 승진, 1742년 치사(致仕: 나이가 많아 벼슬을 사양하고 물러남)하여 봉조하(奉朝賀)가 되었다. 청검(淸儉: 청렴하고 검소함)을 스스로 실천, 청백리로 이름났다. 「금양위박미비((金陽尉朴瀰碑)」·「충정공홍익한갈(忠正公洪翼漢碣)」 등의 글씨가 있으며, 저서로는 『도곡집(陶谷集)』 32권이 있다. 시호는 문간(文簡)이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이세백 | 이희현 | A는 B의 아버지이다 | A ekc:hasSon B |
이세백 처 정씨 | 이희현 | A는 B의 아버지이다 | A ekc:hasSon B |
이세백 처 정씨 | 정창징 | A는 B의 딸이다 | A ekc:hasFather B |
김창협 | 이희현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송상기 | 이희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윤덕준 | 이희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소론 | 김일경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노론 | 이희현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소론 | 목호룡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신임옥사 | 소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신임옥사 | 노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목호룡 | 신임옥사 | A는 B를 주도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정미환국 | 이희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이희현 | 무신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이희현 | 경종실록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금양위박미비 | 이희현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충정공홍익한갈 | 이희현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도곡집 | 이희현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시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정만조, "이의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정만조, "이의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정만조, "이의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정만조, "이의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사료 및 단행본 직접 인용
더 읽을 거리
- 웹자원
- 정만조, "이의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정만조, "이의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