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옥대(왕실남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정의)
잔글 (내용)
15번째 줄: 15번째 줄:
  
 
=='''내용'''==
 
=='''내용'''==
[[종묘]]와 [[사직단|사직]]에 제사를 지내는 [[제례]]나 책봉을 받는 [[책례]], 혼인의식인 [[가례]] 등의 의례를 행할 때 [[왕의 대례복|면복]]을 입을 때 두른다. 또 정월 초하루ㆍ동짓날ㆍ경축일 등 절일(節日)에 [[왕의 조복|조복]]을 입거나, 일상 집무복인 [[왕의 상복]]을 입을 때도 착용한다. [[황제]], [[황태자]], [[왕세자]]의 경우도 같다. 다만 왕세손은 [[수정대|수정대(水晶帶)]]를 착용한다. 가죽으로 띠를 만들어 비단을 씌우고 그 위에 5줄의 금색 줄을 그린 후 옥으로 된 과판을 붙여 장식한다. [[왕]]의 [[옥대(왕실남성)|옥대]]에는 대홍색 비단을 사용하고 무늬를 아로새긴 옥으로 과판을 만들었다. [[왕세자]]의 [[옥대(왕실남성)|옥대]]에는 흑색 비단을 사용하고 띠돈에 조각 장식이 없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48쪽.</ref> 조선 초기에는 [[왕의 대례복|면복]]용 [[옥대(왕실남성)|옥대]]가 사용되지 않았으며 17세기 [[인조]] 때 처음 [[왕의 대례복|면복]]에 사용했다. 18세기 [[정조]] 때의 [[사직서의궤|『사직서의궤(社稷署儀軌)』]]와 [[경모궁의궤|『경모궁의궤(景慕宮儀軌)』]]에도 [[옥대(왕실남성)|옥대]] 를 착용한 기록이 있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48쪽.</ref>
+
[[종묘]]와 [[사직단|사직]]에 제사를 지내는 [[제례]]나 책봉을 받는 [[책례]], 혼인의식인 [[가례]] 등의 의례를 행할 때 [[왕의 대례복|면복]]을 입을 때 두른다. 또 정월 초하루ㆍ동짓날ㆍ경축일 등 절일(節日)에 [[왕의 조복|조복]]을 입거나, 일상 집무복인 [[왕의 상복]]을 입을 때도 착용한다. [[황제]], [[황태자]], [[왕세자]]의 경우도 같다. 다만 왕세손은 [[수정대|수정대(水晶帶)]]를 착용한다. 가죽으로 띠를 만들어 비단을 씌우고 그 위에 5줄의 금색 줄을 그린 후 옥으로 된 과판을 붙여 장식한다. [[왕]]의 [[옥대(왕실남성)|옥대]]에는 대홍색 비단을 사용하고 무늬를 아로새긴 옥으로 과판을 만들었다. [[왕세자]]의 [[옥대(왕실남성)|옥대]]에는 흑색 비단을 사용하고 띠돈에 조각 장식이 없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48쪽.</ref> 조선 초기에는 [[왕의 대례복|면복]]용 [[옥대(왕실남성)|옥대]]가 사용되지 않았으며 17세기 [[인조]] 때 처음 [[왕의 대례복|면복]]에 사용했다. 18세기 [[정조]] 때의 [[사직서의궤|『사직서의궤(社稷署儀軌)』]]와 [[경모궁의궤|『경모궁의궤(景慕宮儀軌)』]]에도 [[옥대(왕실남성)|옥대]]를 착용한 기록이 있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48쪽.</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2017년 12월 19일 (화) 00:08 판


옥대
(玉帶)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대표명칭 옥대
한자표기 玉帶
구분
착용신분 황제, , 황태자, 왕세자
착용성별 남성



정의

조선시대의 , 왕세자과 대한제국의 황제, 황태자가 착용하며 옥으로 만든 띠돈을 장식한 대이다.[1]

내용

종묘사직에 제사를 지내는 제례나 책봉을 받는 책례, 혼인의식인 가례 등의 의례를 행할 때 면복을 입을 때 두른다. 또 정월 초하루ㆍ동짓날ㆍ경축일 등 절일(節日)에 조복을 입거나, 일상 집무복인 왕의 상복을 입을 때도 착용한다. 황제, 황태자, 왕세자의 경우도 같다. 다만 왕세손은 수정대(水晶帶)를 착용한다. 가죽으로 띠를 만들어 비단을 씌우고 그 위에 5줄의 금색 줄을 그린 후 옥으로 된 과판을 붙여 장식한다. 옥대에는 대홍색 비단을 사용하고 무늬를 아로새긴 옥으로 과판을 만들었다. 왕세자옥대에는 흑색 비단을 사용하고 띠돈에 조각 장식이 없다.[2] 조선 초기에는 면복옥대가 사용되지 않았으며 17세기 인조 때 처음 면복에 사용했다. 18세기 정조 때의 『사직서의궤(社稷署儀軌)』『경모궁의궤(景慕宮儀軌)』에도 옥대를 착용한 기록이 있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황제 옥대(왕실남성) A는 B를 착용한다 A ekc:wears B
황태자 옥대(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옥대(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세자 옥대(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세손 옥대(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제의 대례복 옥대(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태자의 대례복 옥대(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의 대례복 옥대(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세자의 대례복 옥대(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제의 조복 옥대(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태자의 조복 옥대(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의 조복 옥대(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세자의 조복 옥대(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제의 상복 옥대(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태자의 상복 옥대(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의 상복 옥대(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세자의 상복 옥대(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옥대(왕실남성) 면복 상의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옥대(왕실남성) 면복 하상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옥대(왕실남성) 강사포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옥대(왕실남성) 강사포 하상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옥대(왕실남성) 곤룡포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48쪽.
  2.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48쪽.
  3.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48쪽.
  4. 국립고궁박물관(www.gogung.go.kr).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국립고궁박물관(엮음),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 김문식·김지영·박례경·송지원·심승구·이은주, 『왕실의 천지제사』, 돌베개, 2011.
  • 高福男, 「우리나라 服飾中 帶의 硏究」, 『대한가정학회지』 제14권 1호, 대한가정학회, 1976.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韓國의 服飾文化史』, 단국대학교출판부, 2006.
  • 도보선, 「朝鮮時代 品帶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이은주, 「조선시대 품대의 구조와 세부 명칭에 관한 연구」, 『服飾』 61권 10호, 한국복식학회, 2011.
  • 조광복, 「朝鮮時代의 帶에 對한 考察」,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8.
  • 崔銀水, 「조선시대 百官의 團領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