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원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인용 및 참조)
(지식 관계망)
53번째 줄: 53번째 줄: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원효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21/E02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2017년 11월 24일 (금) 12:59 판

원효(元曉)
김하영, "가을맞이 불교 전시회 ‘풍성’", 『불교신문』online, 작성일: 2010년 10월 15일.
대표명칭 원효
한자표기 元曉
영문명칭 Wonhyo
생몰년 617년-686년
이칭 서당(誓幢), 신당(新幢)
시호 원효(元曉)
화정(和淨)
출생지 경상북도 경산
시대 신라시대
국적 신라
대표저서 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 십문화쟁론(十門和諍論)
배우자 요석공주(瑤石公主)
담날(談捺)
자녀 설총(薛聰)



정의

신라시대의 승려.

내용

개요

성은 설(薛)씨, 시호 및 법명은 원효(元曉), 호는 화정(和淨)이며, 아명은 서당(誓幢) 또는 신당(新幢)이다.[1] 경상북도 경산 출신이다.

담날(談捺)의 아들인 원효는 655년에 요석공주(瑤石公主)의 사이에서 설총(薛聰)을 낳았다.[2]

업적

원효의 깨달음

661년, 신라가 당과 연합하여 백제를 멸망시키고, 고구려마저 점령하기 위해 한창 통일전쟁을 치르고 있던 시기에 신라의 승려 원효와 의상(義湘)은 선진불교를 배우기 위해 당나라 유학길에 올랐다.[3]

공부하기를 간절히 원하는 마음으로 경주에서 출발하였고, 두 사람은 몇날 며칠을 걸어 충청남도 직산 지방에 이르렀는데, 밖이 어두워지자 동굴에서 잠을 자게 되었다.[4] 원효가 잠결에 목이 말라 물을 한 그릇 마셨는데, 다음날 아침에 깨어보니 해골 속의 더러운 물이었음을 알고 급히 토하다가 깨닫기를 "마음이 나야 모든 사물과 법이 나는 것이요, 마음이 죽으면 곧 해골이나 다름이 없도다(심생칙종종법생(心生則種種法生) 심멸칙촉루부이(心滅則髑髏不二)). 부처님 말씀에 삼계(三界)가 오직 마음 뿐이라 한 것을 어찌 잊었더냐"하고 바로 본국으로 돌아오고 말았다.[5]

원효는 돌아오자마자 자신의 깨달음을 세상에 널리 알리기 위해 책쓰기에 몰두했다. 그는 일생 동안 150여 권의 책을 세상에 남겼는데, 그중 『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 『십문화쟁론(十門和諍論)』은 중국과 일본에까지 영향을 미칠 정도로 유명하다고 한다.[6]

불교의 대중화

원효는 요석공주설총을 낳은 후, 원효는 스스로 승려의 계율을 어겼다고 생각하여 승려복을 벗고 자신을 ‘소성거사(小性居士)’라고 하며 광대들이 가지고 노는 큰 박을 본떠서 바가지를 만들어 무애가(無碍歌)를 부르며 신라 땅 곳곳을 돌아다니면서 불교를 전했다.[7]

원효는 가끔 미친 사람처럼 행동하거나 여러 사람들과 어울려 술집이나 기생집에도 드나들었고, 혹은 쇠칼과 쇠망치를 가지고 다니며 돌에 글을 새기기도 하고, 가야금과 악기를 들고 사당에 가서 음악을 즐기기도 하는 등 세상에 거리낌 없는 자유로운 삶을 살았는데, 이러한 삶을 살면서 모든 집착에서 벗어나려고 하였다. 그럼으로써 백성들 속으로 깊이 들어가 백성들과 함께 하려고 했고, 그는 ‘나무아미타불(南無阿彌陀佛, 부처님께로 돌아간다)’만 외우면 누구나 극락에서 새로 태어날 수 있다고 설교하며 불교를 일반 백성들에게까지 확산시켜 나갔다.[8]

지식 관계망

  • 원효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담날 원효 A는 B의 아버지이다 A ekc:hasSon B
원효 설총 A는 B의 아버지이다 A ekc:hasSon B
원효 요석공주 A는 B의 남편이다 A ekc:hasWife B
원효 의상 A는 B의 동문이다 A ekc:isFellowOf B
대승기신론소 원효 A는 B가 저술하였다 A dcterms:creator B
금강삼매경론 원효 A는 B가 저술하였다 A dcterms:creator B
십문화쟁론 원효 A는 B가 저술하였다 A dcterms:creator B
원효 표준영정 원효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원효 진영(고잔지) 원효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원효 진영(범어사) 원효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분황사화쟁국사비부 원효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원효방 원효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617년 원효가 태어났다
655년 원효요석공주의 사이에서 아들 설총을 낳았다
661년 원효의상과 함께 당나라로 유학가려 하였다
해골물을 마시고 깨달음을 얻은 원효는 다시 경주로 돌아와 불교전파에 힘쓴다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원효대사", 문화원형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원효대사", 문화원형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공미라, 『한국사 개념사전』, (주)북이십일 아울북, 2010. 온라인 참조: "원효", 어린이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공미라, 『한국사 개념사전』, (주)북이십일 아울북, 2010. 온라인 참조: "원효", 어린이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5.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 참조: "원효", 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6. 공미라, 『한국사 개념사전』, (주)북이십일 아울북, 2010. 온라인 참조: "원효", 어린이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7. 공미라, 『한국사 개념사전』, (주)북이십일 아울북, 2010. 온라인 참조: "원효", 어린이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8. 공미라, 『한국사 개념사전』, (주)북이십일 아울북, 2010. 온라인 참조: "원효", 어린이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9. 김하영, "가을맞이 불교 전시회 ‘풍성’", 『불교신문』online, 작성일: 2010년 10월 15일.
  10. "원효대사 영정", 소장유물검색, 『범어사 성보박물관』online.
  11. "표준영정(원효)", 소장유물, 『삼성현역사문화공원』online.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원효대사", 문화원형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 참조: "원효", 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공미라, 『한국사 개념사전』, (주)북이십일 아울북, 2010. 온라인 참조: "원효", 어린이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표준영정(원효)", 소장유물, 『삼성현역사문화공원』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