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청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68번째 줄: 68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웹자원
+
#웹 자원
 
#* 최준식, 『위대한 문화유산』, 네이버캐스트, 2010.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69648&cid=58840&categoryId=58856 청자]", 네이버캐스트-위대한 문화유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최준식, 『위대한 문화유산』, 네이버캐스트, 2010.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69648&cid=58840&categoryId=58856 청자]", 네이버캐스트-위대한 문화유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26936 고려자기]",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26936 고려자기]",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77번째 줄: 77번째 줄:
  
  
[[분류:민족기록화]][[분류:개념]][[분류:민족/교열완료]]
+
[[분류:민족기록화]][[분류:개념]]

2017년 12월 27일 (수) 00:39 기준 최신판

고려청자
(高麗靑磁)
민족 일러 고려청자.png
대표명칭 고려청자
한자표기 高麗靑磁
유형 예술



정의

고려시대에 제작된 자기(瓷器) 중 푸른 빛이 나는 도자(陶瓷)를 이르는 말이다.

내용

청자의 기원과 고려청자

철분이 조금 섞인 흙으로 그릇을 빚은 후 철분이 1~3% 함유된 장석유(長石釉)를 바른다. 섭씨 1,250~1,300도에서 환원염(還元焰)으로 구워 유약 속의 철분이 청록색으로 변한다. 이렇게 만든 자기를 청자라고 한다.
중국 한나라 때 절강성월주에서 원시적인 청자가 처음 만들어졌으며 5~6세기경부터 차츰 발전하여 당나라를 거쳐 송대에 절정을 이루었다. 우리나라 청자의 기원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하나는 통일신라 말기인 9세기 말부터 중국 월주요에서 만든 고월자(古越磁)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지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또 10세기 후반 고려의 중앙집권화로 등장한 새로운 지배층이 중국 청자를 선호하여 만들어지기 시작했다는 설이 있다.[1]

10세기-11세기

11세기 초 거란(契丹)의 성종(聖宗) 영경릉(永慶陵)에서 고려청자음각문편(高麗靑瓷陰刻文片)이 발견되었다. 외국 왕실에 청자를 선물로 보냈다는 사실은 이미 청자의 수준이 상당히 높았음을 뜻한다. 그러나 당시는 아직 청자가 일반화되지는 않았으며 재래식 토기나 도기가 점차 자질(瓷質)로 바뀌어가는 시대였다.[2]

12세기

12세기 전반기는 청자 중에서도 순청자의 전성기였다. 1123년에 고려를 방문한 북송의 사신 서긍(徐兢)이 쓴 『선화봉사 고려도경』에는 고려가 빙렬(氷裂)이 거의 없는 비색 청자(翡色靑磁)를 완성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이 시기에는 순청자의 발전과 더불어 상감이라는 새로운 기법이 등장한다. 상감 기법은 12세기 초에는 그릇 일부에 문양을 나타내는 데만 사용되다가 그후 점차 그릇 전면으로 확산되었고 사실적인 문양으로 양식화되기 시작하였다.
고려 귀족문화의 절정기인 12세기 중엽에는 상감청자 이외에도 철회청자(鐵繪靑磁), 철채청자(鐵彩靑磁), 퇴화문청자(堆花文靑磁), 진사청자(辰砂靑磁) 등 다양한 기법의 세련된 청자가 화려하게 꽃피었다.[3]

13세기-14세기

14세기에 들어서면 청자의 태토는 거칠고 두꺼워지며, 상감기법도 발전하지 못한다.[4] 또한 원 지배하의 권문세족과 사대부세력이 등장하여 생활용 자기의 수요가 많아진다. 이에 따라 대량생산이 불가피해지면서 분청사기가 청자를 대신하게 되었다.[5] 고려의 쇠락과 함께 고려청자 또한 그 운명을 같이하였다고 볼 수 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고려청자 상감청자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고려청자 문학진-고려청자 A는 B의 소재이다 A ekc:isDepictedIn B
고려청자 고려도경 A는 B에 언급되었다 A ekc:isMentionedIn B
고려청자 강진고려청자요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고려청자 분청사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고려청자 월주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최준식, 『위대한 문화유산』, 네이버캐스트, 2010. 온라인 참조: "청자", 네이버캐스트-위대한 문화유산,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고려자기", 『doopedia』online, 두산백과.
  3. 신미원, 『답사여행의 길잡이 5 - 전남』, 한국문화유산답사회, 1995. 온라인 참조: "고려청자", 답사여행의 길잡이 5 - 전남,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고려자기", 『doopedia』online, 두산백과.
  5. 신미원, 『답사여행의 길잡이 5 - 전남』, 한국문화유산답사회, 1995. 온라인 참조: "고려청자", 답사여행의 길잡이 5 - 전남,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6. "청자",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7. "청자상감운학문매병(고려)", 『국가기록원 기록정보』online, 국가기록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최준식, 『위대한 문화유산』, 네이버캐스트, 2010. 온라인 참조: "청자", 네이버캐스트-위대한 문화유산,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고려자기", 『doopedia』online, 두산백과.
    • 신미원, 『답사여행의 길잡이 5 - 전남』, 한국문화유산답사회, 1995. 온라인 참조: "고려청자", 답사여행의 길잡이 5 - 전남,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더 읽을거리

    • 정양모, "고려자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공미라 외, 『한국사 개념사전』, (주)북이십일 아울북, 2010. 온라인 참조: "고려청자", 한국사 개념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