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버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15번째 줄: 15번째 줄:
  
 
=='''내용'''==
 
=='''내용'''==
천으로 만들어서 '족의(足衣)'라고도 하고 한자어로는 '말(襪)'이라고 한다. 현재 착용하는 '양말(洋襪)'은 '서양에서 들어온 버선'이라는 의미이다. 1527년(중종 22) [[최세진]]이 쓴 [[훈몽자회|『훈몽자회(訓蒙字會)』]]에는 '보션말'이라고 씌어 있는 것으로 그 이전부터 '보션'이라 불리었다. 기본 복식으로 항상 착용하는데 주로 흰색 [[버선]]을 신고, 조선시대 왕실에서는 예복의 종류에 따라 [[적말]], [[청말]], [[흑말]]을 신었다. [[버선]]의 형태를 보면 발을 넣는 부분을 '버선부리'라고 하고 [[버선]]을 재봉한 가운데 세로선을 '수눅'이라고 한다. 발목 부분은 '회목'이라고 하며 [[버선]]의 너비를 '버선볼'이라고 한다. 또한 [[버선]] 끝부분에 위로 치켜 올라간 부분을 '버선코'라 하고, 발뒤꿈치의 둥근 부분을 '뒤축'이라 한다. [[버선]]의 종류로는 용도에 따라 일반용과 예복용으로 나누고, 형태에 따라 '곧은버선(고들목버선)'과 '누인버선'으로 구분한다. 만드는 방법과 소재에 따라서 '홑버선', '겹버선', '솜버선', '누비버선' 등이 있다. 그 밖에 어린이용의 '타래버선', '꽃버선'이 있다. [[버선]]을 만들기 위한 바느질 용구로는 [[버선]]의 본을 뜨기 위한 '버선본'과 버선코를 예쁘게 뺄 수 있도록 도와주는 '버선코빼기'가 있다. 또한 '버선주머니'가 있는데 이는 버선본을 보관하던 것으로 각 식구별로 버선본을 보관하여 간편하게 버선을 만들었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364~365쪽.</ref>
+
천으로 만들어서 '족의(足衣)'라고도 하고 한자어로는 '말(襪)'이라고 한다. 현재 착용하는 '양말(洋襪)'은 '서양에서 들어온 버선'이라는 의미이다. 1527년(중종 22) [[최세진]]이 쓴 [[훈몽자회|『훈몽자회(訓蒙字會)』]]'보션말'이라는 명칭이 있는 것으로 보아 그 이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기본 복식으로 항상 착용하는데 주로 흰색 [[버선]]을 신고, 조선시대 왕실에서는 예복의 종류에 따라 [[적말]], [[청말]], [[흑말]]을 신었다. [[버선]]의 형태를 보면 발을 넣는 부분을 '버선부리'라고 하고 [[버선]]을 재봉한 가운데 세로선을 '수눅'이라고 한다. 발목 부분은 '회목'이라고 하며 [[버선]]의 너비를 '버선볼'이라고 한다. 또한 [[버선]] 끝부분에 위로 치켜 올라간 부분을 '버선코'라 하고, 발뒤꿈치의 둥근 부분을 '뒤축'이라 한다. [[버선]]의 종류로는 용도에 따라 일반용과 예복용으로 나누고, 형태에 따라 '곧은버선(고들목버선)'과 '누인버선'으로 구분한다. 만드는 방법과 소재에 따라서 '홑버선', '겹버선', '솜버선', '누비버선' 등이 있다. 그 밖에 어린이용의 '타래버선', '꽃버선'이 있다. [[버선]]을 만들기 위한 바느질 용구로는 [[버선]]의 본을 뜨기 위한 '버선본'과 버선코를 예쁘게 뺄 수 있도록 도와주는 '버선코빼기'가 있다. 또한 '버선주머니'가 있는데 이는 버선본을 보관하던 것으로 각 식구별로 버선본을 보관하여 간편하게 버선을 만들었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364~365쪽.</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2017년 12월 19일 (화) 01:31 기준 최신판


버선
(襪)
이진숭(李鎭嵩, 1702~1756) 묘 출토 버선,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
대표명칭 버선
한자표기
이칭별칭 족의(足衣)
구분 기타
착용신분 모든 신분
착용성별 남성·여성



정의

발을 보호하고 따뜻하게 하며, 발 모양을 맵시 있게 하기 위해 발에 신는 것이다.[1]

내용

천으로 만들어서 '족의(足衣)'라고도 하고 한자어로는 '말(襪)'이라고 한다. 현재 착용하는 '양말(洋襪)'은 '서양에서 들어온 버선'이라는 의미이다. 1527년(중종 22) 최세진이 쓴 『훈몽자회(訓蒙字會)』에 '보션말'이라는 명칭이 있는 것으로 보아 그 이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기본 복식으로 항상 착용하는데 주로 흰색 버선을 신고, 조선시대 왕실에서는 예복의 종류에 따라 적말, 청말, 흑말을 신었다. 버선의 형태를 보면 발을 넣는 부분을 '버선부리'라고 하고 버선을 재봉한 가운데 세로선을 '수눅'이라고 한다. 발목 부분은 '회목'이라고 하며 버선의 너비를 '버선볼'이라고 한다. 또한 버선 끝부분에 위로 치켜 올라간 부분을 '버선코'라 하고, 발뒤꿈치의 둥근 부분을 '뒤축'이라 한다. 버선의 종류로는 용도에 따라 일반용과 예복용으로 나누고, 형태에 따라 '곧은버선(고들목버선)'과 '누인버선'으로 구분한다. 만드는 방법과 소재에 따라서 '홑버선', '겹버선', '솜버선', '누비버선' 등이 있다. 그 밖에 어린이용의 '타래버선', '꽃버선'이 있다. 버선을 만들기 위한 바느질 용구로는 버선의 본을 뜨기 위한 '버선본'과 버선코를 예쁘게 뺄 수 있도록 도와주는 '버선코빼기'가 있다. 또한 '버선주머니'가 있는데 이는 버선본을 보관하던 것으로 각 식구별로 버선본을 보관하여 간편하게 버선을 만들었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황제 버선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황태자 버선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황후 버선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황태자비 버선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버선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세자 버선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세손 버선 A는 B를 착용한다 A ekc:wears B
왕비 버선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세자빈 버선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백관 버선 A는 B를 착용한다 A ekc:wears B
일반 백성 버선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황제의 편복 버선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태자의 편복 버선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의 편복 버선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세자의 편복 버선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세손의 편복 버선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편복 버선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후의 편복 버선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태자비의 편복 버선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비의 편복 버선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세자빈의 편복 버선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버선 저고리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버선 바지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365쪽.
  2.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364~365쪽.
  3.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
  4.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
  5.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6.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고광림, 『한국의 관복』, 화성사, 1995.
  • 국립고궁박물관 엮음,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金鎭玖, 「背戍의 硏究」, 『복식문화연구』 5권 4호, 복식문화학회, 1997.
  • 金鎭玖, 「보션과 쳥의 名稱 硏究」, 『복식문화연구』 6권 3호, 복식문화학회, 1998.
  • 文明玉, 「韓服 버선의 適合性에 關한 硏究」,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5.
  • 文明玉ㆍ金也之, 「韓服 버선에 관한 硏究 -버선 原型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9권 2호, 1985.
  • 손경자, 「버선의 연구 I」, 『服飾』 2권, 한국복식학회, 1978.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 최규순, 『中國歷代帝王冕服硏究』, 동화대학출판부, 2007.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