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현세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46번째 줄: | 46번째 줄: | ||
--> | -->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 | + | *'''산성일기 지식관계망''' |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049/A049.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2017년 11월 13일 (월) 23:39 판
소현세자((昭顯世子)) | |
대표명칭 | 소현세자 |
---|---|
한자표기 | (昭顯世子) |
생몰년 | 1612년-1645년 |
본관 | 전주 |
시대 | 조선 |
유형 | 인물, 왕자 |
정의
이름은 왕(炡). 인조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영돈녕부사 서평부원군(領敦寧府事 西平府院君) 한준겸(韓浚謙)의 딸 인열왕후(仁烈王后)이다.
내용
1625년에 세자에 책봉되고, 1627년 정묘호란 때에는 전주로 내려가 남도의 민심을 수습했으며, 그 해에 참의(參議) 강석기(姜碩期)의 딸 민회빈(愍懷嬪)과 혼인하였다. 이원익(李元翼)·장유(張維) 등을 빈사(賓師 : 세자시강원의 1품관)로 맞아 왕자의 덕을 닦았다. [1]
병자호란과 그 이후
1636년 병자호란 때 강화도로 옮겨 청나라에 항전하려 했으나, 청군의 빠른 남하로 인조와 함께 남한산성으로 들어가 항전하다가, 중과부적으로 삼전도(三田渡)에서 굴욕적인 항복을 하였다. 그 뒤 자진하여 봉림대군(鳳林大君) 및 주전파 재신(宰臣)들과 같이 인질로 심양(瀋陽)에 갔다. [2]
심양에서의 생활
심양에 9년 동안 있으면서 1642년 3월과 1644년 정월에 두 차례 본국을 다녀가기도 하였다. 심양에서의 그는 단순한 질자(質子)가 아니라 대사(大使) 이상의 외교관 소임을 하였다. 즉, 청나라가 조선에 대해 무리한 물자를 요구하면 그를 막으려 노력도 하였다. 청나라는 조선과의 일을 인조가 병중이라서 담판할 수 없다 하여 세자의 재량으로 처리하도록 강요를 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세자는 본국에서는 무력한 존재이나, 심양관에서는 조청(朝淸) 양국간에 제기된 문제를 해결하는 조정자로서 상당한 재량권을 행사하였다. 때문에 한 나라에 두 임금이 있는 격이 되었다. 그는 현실적으로 청의 존재를 인정하면서 청의 왕족 및 장군들과 친교를 맺고 양국 관계를 정상화하는 데 노력하였다.[3]
북경에서의 생활
1644년 9월에 북경(北京)에 들어가 70여 일을 머물면서 서양인이 주관하고 있던 천문대를 찾아가 역법(曆法)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특히 독일인 신부 아담 샬(Schall,J.A., 일명 湯若望)과의 친교로 천문·수학·천주교 서적과 여지구(輿地球)·천주상(天主像)을 전래하는 등 서양 문물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려 하였다. 그러나 조선의 조정은 서인들의 집권과 함께 반청친명정책(反淸親明政策)을 고수, 소현세자의 처사를 부정적으로 평가한듯하다.[4]
지식 관계망
- 산성일기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조선 인조 | 소현세자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한준겸 | 인열왕후 | A는 딸 B를 두었다 | A ekc:hasDaughter B |
인열왕후 | 소현세자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소현세자 | 민회빈 강씨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강석기 | 민회빈 강씨 | A는 딸 B를 두었다 | A ekc:hasDaughter B |
소현세자 | 병자호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소현세자 | 남한산성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소현세자 | 산성일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소현세자 | 아담 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아담 샬 | 천주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주석
- ↑ "소현세자(昭顯世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소현세자(昭顯世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소현세자(昭顯世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소현세자(昭顯世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신병주, 『조선후기를 움직인 사건들 : 1645년 소현세자의 죽음부터 1872년 지방지도 제작까지』, 새문사, 2013.
- 류홍렬, 『(간추린) 한국 천주교회 역사』, 성요셉출판사, 2010.
- 논문
- 박나현, 「소현세자의 심양 경험 고찰」,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안재원, 「아담 샬, 순치제, 소현 세자 : 아담을 바라보는 두 시선 사이에 있는 차이에 대해서」, 『 인간 · 환경 · 미래』8,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12, 147-182쪽.
- 윤석희, 「학질의 개념과 말라리아의 관계 연구 : 소현세자의 질병기록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기초한의학과 석사학위논문, 2012.
- 허태구, 「소현세자(昭顯世子)의 심양(瀋陽) 억류와 인질(人質) 체험」, 『韓國思想史學』40, 한국사상사학회, 2012, 143-176쪽.
- 김경미, 「소현세자의 ‘청’ 체험과 문화 수용」, 『한국문화연구』10,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6,133-16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