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명효황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지식 관계망) |
|||
30번째 줄: | 30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 | 조선 순종의 정비이다. | |
==내용== | ==내용== | ||
===[[순명효황후]]의 생애=== | ===[[순명효황후]]의 생애=== | ||
− | [[순명효황후]]는 대제학을 지낸 [[민태호]]의 딸로 1882년 | + | [[순명효황후]]는 대제학을 지낸 [[민태호]]의 딸로 1882년(고종 19) 11세에 [[조선 순종|순종]]과 결혼한다. [[명성황후]]는 여흥 민씨의 세력을 유지하기 위해 같은 집안 출신인 [[순명효황후]]를 간택한다. 1884년 [[갑신정변]]이 일어나자 아버지 [[민태호]]가 살해당하고 오빠 [[민영익]]이 크게 다치는 등 여흥 민씨 집안은 큰 화를 입는다. 임신하지도 못해 궁중생활이 순탄치 못하였다. 1895년 [[명성황후]]를 일본인이 죽이려하자 그 앞을 가로 막다가 혼절하였다고 한다. 그 후 마음의 병을 얻어 [[조선 순종]]이 즉위하기 전인 1904년 33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한다. |
<ref>박지은, 「19세기 조선조 순원왕후와 순명효황후의 언간서체의 심미적 특징」,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34-37쪽.</ref> | <ref>박지은, 「19세기 조선조 순원왕후와 순명효황후의 언간서체의 심미적 특징」,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34-37쪽.</ref> | ||
===순종과 [[순명효황후]]의 결혼=== | ===순종과 [[순명효황후]]의 결혼=== | ||
− | 1882년 [[조선 순종]]과 [[순명효황후]]의 결혼식([[가례]])이 열렸다. 당시 세자빈 후보의 명단인 [[간택단자]]에 그녀의 이름이 나온다. | + | 1882년 [[조선 순종]]과 [[순명효황후]]의 결혼식([[가례]])이 열렸다. 당시 세자빈 후보의 명단인 [[간택단자]]에 그녀의 이름이 나온다. 혼례에 쓰인 물품이나 예식의 진행상황을 상세히 적어 기록한 발기가 여러 개 전해진다. 그 중에는 상궁이나 나인들이 보기 위해 한글로 작성된 것들이 있는데, 대표적인 것으로 [[왕세자빈 의대 발기|「왕세자빈 의대 발기」]], [[각색 인문보 발기|「각색 인문보 발기」]], [[왕세자 가례 차비관 발기|「왕세자 가례 차비관 발기」]], [[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 [[왕세자 관례 상차림 발기|「왕세자 관례 상차림 발기」]], [[왕세자 관례 상격 발기|「왕세자 관례 상격 발기」]] 등이 있다. |
===김상덕과 한글편지=== | ===김상덕과 한글편지=== |
2017년 11월 24일 (금) 20:58 판
순명효황후(純明孝皇后) | |
대표명칭 | 순명효황후 |
---|---|
한자표기 | 純明孝皇后 |
생몰년 | 1872년-1904년 |
본관 | 여흥 |
시호 | 경현성휘순명효황후 |
출생지 | 양덕방 |
사망지 | 경운궁 강태실 |
시대 | 조선,대한제국 |
대표저서 | 순명효황후 한글편지 |
대표직함 | 황태자비, 세자빈 |
배우자 | 조선 순종 |
부 | 민태호 |
모 | 민태호 처 은진 송씨 |
능묘 | 유릉 |
목차
정의
조선 순종의 정비이다.
내용
순명효황후의 생애
순명효황후는 대제학을 지낸 민태호의 딸로 1882년(고종 19) 11세에 순종과 결혼한다. 명성황후는 여흥 민씨의 세력을 유지하기 위해 같은 집안 출신인 순명효황후를 간택한다. 1884년 갑신정변이 일어나자 아버지 민태호가 살해당하고 오빠 민영익이 크게 다치는 등 여흥 민씨 집안은 큰 화를 입는다. 임신하지도 못해 궁중생활이 순탄치 못하였다. 1895년 명성황후를 일본인이 죽이려하자 그 앞을 가로 막다가 혼절하였다고 한다. 그 후 마음의 병을 얻어 조선 순종이 즉위하기 전인 1904년 33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한다. [1]
순종과 순명효황후의 결혼
1882년 조선 순종과 순명효황후의 결혼식(가례)이 열렸다. 당시 세자빈 후보의 명단인 간택단자에 그녀의 이름이 나온다. 혼례에 쓰인 물품이나 예식의 진행상황을 상세히 적어 기록한 발기가 여러 개 전해진다. 그 중에는 상궁이나 나인들이 보기 위해 한글로 작성된 것들이 있는데, 대표적인 것으로 「왕세자빈 의대 발기」, 「각색 인문보 발기」, 「왕세자 가례 차비관 발기」, 「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 「왕세자 관례 상차림 발기」, 「왕세자 관례 상격 발기」 등이 있다.
김상덕과 한글편지
순명효황후가 김상덕에게 보낸 11편의 편지가 경주김씨 직각종택에 소장되어 있다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기증되었다. 김상덕은 조선 순종의 세자 시절 스승으로 순명효황후에게도 글을 가르쳐주었기 때문에 그녀는 김상덕을 친아버지처럼 따르며 여러 번 편지를 보냈다. 시어머니 명성황후의 영향을 받아 글씨가 아름답고, 조정의 인사문제부터 나라의 안위를 걱정하는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 대표적인 것이 순명효황후 한글편지이다.
지식 관계망
- 왕세자 가례 차비관 발기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순명효황후 | 민태호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A ekc:hasFather B |
민태호 처 은진 송씨 | 민태호 | A는 B의 아내이다 | A ekc:hasHusband B |
김상덕 | 순명효황후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순명효황후 | 조선 순종 | A는 B의 아내이다 | A ekc:hasHusband B |
조선 고종 | 조선 순종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명성황후 민씨 | 조선 고종 | A는 B의 아내이다 | A ekc:hasHusband B |
명성황후 민씨 | 조선 순종 | A는 어머니 B가 있다 | A ekc:hasMother B |
간택단자 | 순명효황후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왕세자빈 의대발기 | 순명효황후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순명효황후 | 각색 인문보 발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순명효황후 | 왕세자 가례 차비관 발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순명효황후 | 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순명효황후 | 왕세자 관례 상차림 발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순명효황후 | 왕세자 관례 상격 발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순명효황후 한글편지 | 순명효황후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덕수궁 | 순명효황후 | A는 B의 사망지이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 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872년 | 순명효황후가 양덕방에서 태어났다 |
1882년 | 순명효황후가 세자빈으로 책봉되었다 |
1904년 | 순명효황후가 순명효황후 한글편지를 저술하였다 |
1904년 | 순명효황후가 경운궁 강태실에서 사망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779502 | 126.9853351 | 순명효황후가 양덕방에서 태어났다 |
37.5658049 | 126.9729574 | 순명효황후가 경운궁 강태실에서 사망하였다 |
주석
- ↑ 박지은, 「19세기 조선조 순원왕후와 순명효황후의 언간서체의 심미적 특징」,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34-37쪽.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장경희, 「순종비 순명효황후의 생애와 유릉 연구」, 『한국인물사연구』12, 한국인물사연구소, 2009.
- 단행본
- 지두환, 『순종황제와 친인척』, 역사문화, 2009.
- 권순형·김선주·김창겸·이성임·이순구·임혜련, 『한국 왕실여성 인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
- 웹자원
- 한희숙, "순명효황후",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희숙, "순명효황후",
유용한 정보
- 유명은, "순명효황후(純明孝皇后) - 효성 깊은 고종의 며느리", 『세종신문』, 작성일: 2010년 11월 1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