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운두첨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갤러리)
41번째 줄: 41번째 줄: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운두첨자_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상_중박.png|운두첨자<ref>『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상(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上)』</ref>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운두첨자_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상_중박.png|운두첨자<ref>『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상(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上)』</ref>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운두첨자식_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_규장각.png|운두첨자<ref>『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哲宗哲仁王后嘉禮都監儀軌)』</ref>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운두첨자식_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_규장각.png|운두첨자<ref>『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哲宗哲仁王后嘉禮都監儀軌)』</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운두첨자_영조교명_고궁.jpg|영조교명에 사용된 운두첨자<ref>국립고공박물관(www.gogung.go.kr)</ref>
 
</gallery>
 
</gallery>
  

2017년 10월 28일 (토) 17:09 판


운두첨자(雲頭籤子)
국립중앙박물관 외규장각 의궤(http://uigwe.museum.go.kr)
대표명칭 운두첨자
한자표기 雲頭籤子
유형 의례 물품
시대 조선
용도 가례(嘉禮)에 사용
관련물품 교명(敎命)



정의

조선시대 왕실 가례에서 사용하는 첨자(籤子)이다.

내용

교명(敎命) 축을 대자로 말아서 풀리지 않게 꽂아주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연황동에 도금하였으며, 머리 부분에 구름 모양의 장식 조각을 붙였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운두첨자(雲頭籤子) 교명(敎命)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A ekc:goesWith B
운두첨자(雲頭籤子)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운두첨자(雲頭籤子) 『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哲宗哲仁王后嘉禮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상(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上)』
  2. 『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哲宗哲仁王后嘉禮都監儀軌)』
  3. 국립고공박물관(www.gogung.go.kr)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장경희, 「조선 왕실의 국혼 의례와 의식 도구」『조선의 국가의례, 오례』, 국립고궁박물관, 2015, 191~200쪽.
  • 여찬영, 김동소, 남권희, 이은규, 김연주,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Ⅰ-왕실 전례 편-』, 경인문화사, 2012.
  • 김연주, 『조선시대 의궤 차자 표기 연구-규장각 소장 가례 관련 의궤를 중심으로-』, 경인문화사, 2015.
  • 박봉주, "운두첨자(雲頭籤子)", 『외규장각 의궤』online, 국립중앙박물관.
  • 박봉주, "운두첨자식(雲頭籤子式)", 『외규장각 의궤』online, 국립중앙박물관.
  • 이정민, "운두첨자(雲頭籤子)",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online, 규장각한국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