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잔글 (→내용) |
|||
15번째 줄: | 15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 | + | 필요할 때마다 발에서 무릎아래까지 베로 감는 것이 불편하여, 조선시대에는 소매통처럼 만들어 끈 두개를 달아 정강이에 끼고 위쪽에 있는 끈으로 무릎 아래를 둘러매게 하였다. <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779쪽.</ref>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2017년 12월 19일 (화) 02:06 기준 최신판
행전 (行纏) |
|
대표명칭 | 행전 |
---|---|
한자표기 | 行纏 |
구분 | 기타 |
착용신분 | 황제, 왕, 황태자, 왕세자, 왕세손, 백관 등 모든 남성. |
착용성별 | 남성 |
정의
조선의 왕, 왕세자, 백관과 대한제국의 황제, 황태자 등 모든 남성이 보행과 행동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바지 위 정강이에서 무릎 아래까지 매는 것이다.[1]
내용
필요할 때마다 발에서 무릎아래까지 베로 감는 것이 불편하여, 조선시대에는 소매통처럼 만들어 끈 두개를 달아 정강이에 끼고 위쪽에 있는 끈으로 무릎 아래를 둘러매게 하였다. [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황제 | 행전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황태자 | 행전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왕 | 행전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왕세자 | 행전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왕세손 | 행전 | A는 B를 착용한다 | A ekc:wears B |
백관 | 행전 | A는 B를 착용한다 | A ekc:wears B |
황제의 편복 | 행전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황태자의 편복 | 행전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왕의 편복 | 행전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왕세자의 편복 | 행전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왕세손의 편복 | 행전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백관의 편복 | 행전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행전 | 바지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친왕이 착용한 모시로 만든 행전.[3]
영상
주석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779쪽.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779쪽.
- ↑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