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이중화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번째 줄: | 1번째 줄: | ||
{{물품정보 | {{물품정보 | ||
− | |사진= | + | |사진= 민족기록화_물품_변이중화차_변이중화차.jpg |
|사진출처= | |사진출처= | ||
|대표명칭= | |대표명칭= |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 | }} | ||
+ | <gallery> | ||
+ | File:민족기록화_물품_변이중화차_문종화차.jpg | ||
+ | File:민족기록화_물품_변이중화차_변이중화차.jpg | ||
+ | </gallery> | ||
민족기록화_문헌_망암집_1.jpg | 민족기록화_문헌_망암집_1.jpg | ||
36번째 줄: | 40번째 줄: | ||
주력 화기에 있어서 기존의 화차와는 차이가 있음도 알 수 있다. 먼저 변이중 화차의 수레 구조는 일반 수레와 같이 차체가 바퀴의 축 위에 바로 올려져 있다. 또 네 방향으로 방호벽을 설치하고 세 방면에 총통기를 달았다. 총통기에는 각 40개의 승자총통을 장착하여 사용하였으며, 네 방향의 방호벽에는 각기 1개의 관측 구멍을 설치하여 화차 안에서 밖을 관측하고 조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다른 화차들이 한 방향 즉 공격방향 중심으로만 화기를 설치한 것과 달리 변이중 화차는 전면은 물론이고 좌우측면도 전면과 동일하게 총통을 설치했고, 화차의 총통수를 보호하기 위해 전 방위 즉 네 방향에 방호벽을 설치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어느 화차보다도 탁월한 공격력과 방호력을 구비하였다. 변이중은 이 화차를 300대 제조하였고, 그중에서 40대를 권율(權慄)에게 지원하였다.<ref>"[https://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9&cp_code=cp0208&index_id=cp02081198&content_id=cp020811980001&print=Y 변이중화차(邊以中火車)]", 한민족 전투원형,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ref><br/> | 주력 화기에 있어서 기존의 화차와는 차이가 있음도 알 수 있다. 먼저 변이중 화차의 수레 구조는 일반 수레와 같이 차체가 바퀴의 축 위에 바로 올려져 있다. 또 네 방향으로 방호벽을 설치하고 세 방면에 총통기를 달았다. 총통기에는 각 40개의 승자총통을 장착하여 사용하였으며, 네 방향의 방호벽에는 각기 1개의 관측 구멍을 설치하여 화차 안에서 밖을 관측하고 조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다른 화차들이 한 방향 즉 공격방향 중심으로만 화기를 설치한 것과 달리 변이중 화차는 전면은 물론이고 좌우측면도 전면과 동일하게 총통을 설치했고, 화차의 총통수를 보호하기 위해 전 방위 즉 네 방향에 방호벽을 설치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어느 화차보다도 탁월한 공격력과 방호력을 구비하였다. 변이중은 이 화차를 300대 제조하였고, 그중에서 40대를 권율(權慄)에게 지원하였다.<ref>"[https://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9&cp_code=cp0208&index_id=cp02081198&content_id=cp020811980001&print=Y 변이중화차(邊以中火車)]", 한민족 전투원형,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ref><br/> | ||
− | 수레 하나에 40개의 구멍을 열어 승자총통 40개를 도화선을 연결하여 발포한다<br/> | + | 수레 하나에 40개의 구멍을 열어 승자총통 40개를 도화선을 연결하여 발포한다<br/>一車開四十穴勝字筒四十連心發火 |
486 | 486 | ||
2017년 10월 16일 (월) 16:09 판
() | |
민족기록화_문헌_망암집_1.jpg
목차
정의
변이중이 임진왜란 중에 문종화차를 개량하여 만든 화차.
내용
변이중화차의 탄생
우리 나라에는 조선시대에만 5종의 화차가 있었는데, 이 중 네 번째로 발명된 변이중화차는 임진왜란중인 1592년(선조 25) 변이중(邊以中)이 문종화차를 개량하여 만든 것으로, 수레 위에 40개의 승자총통을 총통기를 설치하고 총의 심지를 이어서 차례로 쏘게 한 것이다.[1]
변이중은 1593년 2월 12일의 행주대첩에서 권율(權慄)장군에게 300대의 변이중화차 중 40대를 지원하여 전투를 승리로 이끄는데 큰 효과를 보았다.[2]
망암집에 묘사된 변이중화차
변이중의 후손들이 그가 남긴 글을 모은 《망암집》 卷3 부록에 실린 「총통화전도설(銃筒火箭圖說)」과 「화차도설(火車圖說)」에는 문종화차에 대한 도면과 설명문, 자신이 개량한 '변이중화차' 도면이 들어 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한 줄의 간단한 설명과 도면만이 기록되어 있을 뿐이다.
주력 화기에 있어서 기존의 화차와는 차이가 있음도 알 수 있다. 먼저 변이중 화차의 수레 구조는 일반 수레와 같이 차체가 바퀴의 축 위에 바로 올려져 있다. 또 네 방향으로 방호벽을 설치하고 세 방면에 총통기를 달았다. 총통기에는 각 40개의 승자총통을 장착하여 사용하였으며, 네 방향의 방호벽에는 각기 1개의 관측 구멍을 설치하여 화차 안에서 밖을 관측하고 조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다른 화차들이 한 방향 즉 공격방향 중심으로만 화기를 설치한 것과 달리 변이중 화차는 전면은 물론이고 좌우측면도 전면과 동일하게 총통을 설치했고, 화차의 총통수를 보호하기 위해 전 방위 즉 네 방향에 방호벽을 설치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어느 화차보다도 탁월한 공격력과 방호력을 구비하였다. 변이중은 이 화차를 300대 제조하였고, 그중에서 40대를 권율(權慄)에게 지원하였다.[3]
수레 하나에 40개의 구멍을 열어 승자총통 40개를 도화선을 연결하여 발포한다
一車開四十穴勝字筒四十連心發火
486
이처럼 화차도 이외에 전해지는 도면이 없고 형태에 대해 자세하게 언급 한 기록도 없기 때문에 결국 변이중 화차의 실제 모습은 승자총통의 특성을 고려해서 추정할 수밖에 없다.
변이중 화차는 화차도를 위에서 내려다 본 그림으로 해석하여 세 방향으로 승자총통을 발사하는 장갑차로 보는 경우가 일반적이지만, 총구가 하늘을 향해 있고, 용도를 알 수 없는 구멍 네 개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나 있는 등 쉽게 납득할 수 없는 부분도 많다. 특히 전방뿐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 발사하는 것처럼 보이는 구조는 화차홀로 적진으로 돌진하는 전법을 언급한 병서가 없다는 점, 다수의 화차들로 진을 구성하는 조선의 후기의 화차 운용 전략과도 상충한다는 점에서 의문이 든다.
망암집(望菴集)에 소개된 문종 화차(좌)와 변이중 화차(우) 행주산성 전투에 사용된 화차 복원, 479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변이중화차 | 화차 | A의 유형은 B이다 | |
변이중화차 | 변이중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시각자료
영상
- 역사채널e - The history channel e_하늘을 달리는 불(게시일: 2014년 07월 25일)
주석
- ↑ 채연석, "화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변이중화차(邊以中火車)", 한민족 전투원형,
『문화콘텐츠닷컴』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 ↑ "변이중화차(邊以中火車)", 한민족 전투원형,
『문화콘텐츠닷컴』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유용한 정보
- 망암집 , 변이중
채연석, "화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