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지식관계망) |
|||
84번째 줄: | 84번째 줄: |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
+ |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지식관계망''' | ||
<html> | <html>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74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 | + | <iframe width="100%" height="74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40/stele_jeonghyeon_chiljang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ml> | ||
− | |||
===관련항목=== | ===관련항목===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2017년 11월 15일 (수) 21:59 기준 최신판
정현(鼎賢) | |
대표명칭 | 정현 |
---|---|
영문명칭 | Jeonghyeon |
한자 | 鼎賢 |
생몰년 | 972년(광종 23)-1054년(문종 8) |
시호 | 혜소국사(慧昭國師) |
법호 | 정현(鼎賢) |
성씨 | 이씨(李氏) |
승탑비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
목차
정의
고려시대의 승려.
내용
가계와 탄생
혜소국사 정현(慧昭國師 鼎賢)의 어머니는 밝은 달이 방 안에 들어오는 태몽을 꾸고 임신하였다.
부모가 가사와 보현보살 탱화를 조성하여 서원하였다는 것으로 보아, 정현이 안성 지방의 유력 가문 출신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1]
출가수행
정현은 어린 나이에 출가하여 광교사(光敎寺) 충회(忠會)의 제자가 되었고, 죽산 칠장사(七長寺)의 융철(融哲)에게서 유가행(瑜伽行: 유가 즉, 요가법에 의한 수행)을 배웠다.[2]
참현(參玄)의 시대[3]에 이르러 바야흐로 출가할 것을 결심하고 곧 바로 광교사(光敎寺)에 가서 충회대사(忠會大師)를 은사로 하여 정수리에 있는 주라(周羅: 상투)를 잘라 버리고, 몸에는 가사를 입고 스님이 되었다. (결락) 종지(宗旨)를 구하기 위해 (결락) 부지런히 정진(精進)하였다. 13살 때 스스로 생각하기를, "만행문중(萬行門中)에 구화(傴和)가 가장 중요하지만 성(性)과 상(相)이 함께 통하는 것은 십칠지(十七地)인 유가교문(瑜伽敎門)만한 것이 없다. 그러므로 이제 종전에 의행(依行)하던 구화문(傴和門)을 버리고 이 유가수행문(瑜伽修行門)으로 나아가야겠다"고 하였다. 고향과 먼 곳에있는 칠장사(漆長寺)에 가서 융철(融哲)스님을 예방하였더니, 철(哲)스님이 말씀하시기를, "어제 밤 꿈에 동방(東方) (결락) 보살을 친견 (결락) 야(也)라" |
||
출처: 이지관, "죽산 칠장사 혜소국사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2,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5, 310-311쪽. |
활동
정현은 996년(고려 성종 15) 승과(僧科)에 급제한 뒤 칠장사로 돌아왔다.[4]
통화(統和) 14년[5]에 미륵사(彌勒寺)의 오교(五敎)대선(大選)에 나아가서 선정(禪定)의 법운을 화정(火頂)의 문(門)으로 배출하며,높이 번갯불과 같이 민첩한 변설을 날려작감(嚼甘) (결락) 난(瀾)하되, 그 명성이 강장(講場)에 떨쳤으며 칭송이 담회(談會)에 쟁쟁하였다. 이에(仍) (결락) 옥(玉)을 타산(它山)에서 캐고 배를 타고 해외에 가서 유학하지 않고도 이미 보주(寶珠)를 적수(赤水)에서 탐색하였다. 이와 같이 제방(諸方)으로 다니면서 심사방도(尋師訪道)하다가, 뒤에 본사(本寺)인 칠장사(漆長寺)로 돌아갔다. | ||
출처: 이지관, "죽산 칠장사 혜소국사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2,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5, 312-313쪽. |
고려 목종 때인 999년에는 28세의 나이로 대사(大師)가 되었으며, 현종 때에는 법계(法階)[6] 가 수좌(首座)에 이르렀다.
정현을 존경한 덕종은 수시로 편지를 주고 받기 위하여 1033년(덕종 2) 우편소를 설치하기도 하였다. 이후 정현은 왕명에 따라 법천사(法泉寺)에 머물렀고, 그 뒤 승통(僧統)으로 임명되어 현화사(玄化寺)에 머물렀다. 이 때 왕은 가사(袈裟)를 하사하였다.[7]
정현의 생애에서 주목할 것은 만년의 사회적 활동이다. 그는 1044년(정종 10) 개성 광제사(廣濟寺) 문 앞에서 굶주린 사람들에게 음식을 베풀었으며, 이듬해에는 도적과 맹수가 들끓는 삼각산 자락의 교통 요충지에 사현사(沙峴寺)라는 사찰을 창건하면서 여행객을 위한 숙박 및 편의시설을 함께 조성하였다.[8]
1046년 문종이 즉위하자 입궐하여 『금고경(金鼓經)』을 강론하였고, 1048년(문종 2)에는 문덕전(文德殿)[9]에서 8권의 『금광명경(金光明經)』을 강론하였다. 특히 1048년에는 큰 가뭄이 있었는데 정현이 경전을 소리 내어 읽자 비가 내렸다고 한다.
이듬해인 1049년(문종 3)에는 문종의 왕사(王師)가 되었으며, 1054년(문종 8)에는 국사(國師)가 되었다.
입적
1054년(문종 8) 칠장사로 돌아온 정현은 그해 11월 15일 문인들에게 임종게(臨終偈)[10]를 남기고 앉아서 입적하였다. 나이 82세, 법랍 74세였다.[11]
지식관계망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 정현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 김현(고려)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충회 | 정현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융철 | 정현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정현 | 수원 광교사 | A는 B에서 출가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정현 | 개성 영통사 | A는 B에서 계를 받았다 | A edm:isRelatedTo B |
정현 | 안성 칠장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정현 | 개성 법천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정현 | 개성 현화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서울 사현사 | 정현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정현 | 안성 칠장사 | A는 B에서 입적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정현 | 승과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정현 | 고려 문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 안성 칠장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972년 | 정현이 태어남. |
996년 | 정현이 승과에 급제함. |
999년 | 정현이 대사가 되었음. |
1045년 | 정현이 서울 사현사를 창건함. |
1049년 | 정현이 왕사가 되었음. |
1054년 | 정현이 국사가 되었음. |
1054년 | 정현이 안성 칠장사에서 입적함. |
1060년 | 정현의 탑비인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가 안성 칠장사에 건립됨.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 ↑ 남동신, 「칠장사혜소국사비명을 통해 본 정현의 생애와 사상」, 『한국중세사연구』 No.30, 한국중세사학회, 2011, 476쪽.
- ↑ 김위석, "정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흑발(黑髮)의 동자(童子) 시절.
- ↑ 김위석, "정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요(遼)나라 성종(聖宗)대의 연호. 십사재(十四載)는 996년(성종 15).
- ↑ 승려들에게 주어지는 지위의 등급.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법계",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김위석, "정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남동신, 「칠장사혜소국사비명을 통해 본 정현의 생애와 사상」, 『한국중세사연구』 No.30, 한국중세사학회, 2011, 477쪽.
- ↑ 고려시대 시종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던 기관.
- ↑ 고승들이 입적할 때 수행을 통해 얻은 깨달음을 후인들에게 전하는 마지막 말이나 글.
- ↑ 김위석, "정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김위석, "정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남동신, 「칠장사혜소국사비명을 통해 본 정현의 생애와 사상」, 『한국중세사연구』 No.30, 한국중세사학회, 2011, 468-486쪽.
- 이지관, "죽산 칠장사 혜소국사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2,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5, 300-334쪽.
- "정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칠장사혜소국사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