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우 공신도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공신도상에 묘사된 모습) |
|||
29번째 줄: | 29번째 줄: | ||
===공신도상에 묘사된 모습=== | ===공신도상에 묘사된 모습=== | ||
− | [[ | + | <이천우 공신도상>은 [[우안구분면]]의 전신교의좌상(全身交椅坐像)으로 공수자세를 취한 채 의자에 앉아있는 모습으로 그려졌다. 우안의 형식은 고려시대의 작품들에 나타나는 특징으로 조선 초기까지 고려 말의 형식이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br/> |
+ | 초상화의 복식은 양각이 좁고 아래로 처진 [[사모]]를 쓰고 [[흉배]]가 없는 [[단령]]에 [[금대|삽금대]]를 두르고 있다. [[단령]] 안에 안감을 드러내는 복식형태나 교의에 호피나 표피가 아닌 끈으로 방석을 매어 사용하는 것은 조선 초기 공신상의 전형적인 형식을 따르고 있다.<ref>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437쪽.</ref> 옷주름이나 주름선은 음영없이 간략하게 표현했다. 이모본이지만 조선 초기의 원본이 가진 고식의 표현방식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는 모습이다.<br/> | ||
+ | [[이천우]]의 얼굴 부분은 가는 선으로 외곽선과 이목구비를 묘사하였다. 얼굴은 거의 정면관으로 그려졌는데 코는 마치 옆모습처럼 그려진 부분이 특이하며 유독 입술이 붉게 칠해진 모습이다. 그림 속 이천우의 얼굴은 두드러지거나 모난 부분이 없이 전체적으로 말끔한 인상을 준다.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2017년 10월 4일 (수) 01:11 판
이천우 공신도상 | |
한자명칭 | 李天祐 功臣圖像 |
---|---|
작가 | 한종유 |
제작시기 | 1774년 |
소장처 | 국립광주박물관 |
유형 | 공신도상 |
크기(세로×가로) | 159×104㎝ |
목차
정의
조선의 개국공신인 이천우(1354∼1417)의 모습을 그린 공신도상.
내용
공신도상의 제작 및 보관
이 그림은 조선의 개국공신인 이천우의 초상으로 조선 초기의 원본을 1774년 당시 유명한 초상화가였던 한종유가 이모한 것이다. 전형적인 조선 초 공신도상의 형식을 하고 있다.
이천우의 후손들인 전주 이씨 양도공파에 전해오는 기록에 따르면 이천우가 은퇴할 때 태종이 초상화와 <이응도(二鷹圖)>를 하사했다고 하는데 현재도 <이응도> 이모본과 1774년 제작된 <이응도> 목각판이 전해오고 있다. 하지만 그림의 이천우는 젊은 얼굴을 하고 있어 태종이 내려준 초상화는 아님을 알 수 있고 이천우가 젊은 시절 받은 공신상 중 하나를 이모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천우는 개국공신호를 받았지만 원종공신이어서 이때는 초상화를 하사받지 못했고 1398년(태조 7년) 1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을 도와 정사공신 2등에 녹훈되었고 1400년(정종 2년)에는 2차 왕자의 난을 평정하여 좌명공신 2등에 녹훈되었을 때 하사받은 초상화 중 하나로 추정된다.
이모 당시 박사해가 지은 「완산부원군양도공이천우화상이모찬(完山府院君襄度公李天祐移摹贊)」에 지은 일자가 “숭정무진기원후 17년 갑오( 崇禎戊辰紀元後十七年)”이라고 기록되어 있어 이모 시기는 1774년으로 추정된다. 이후 1936년 이종원이라는 화가가 다시 이모본을 제작하였는데 이 때 제작된 본은 현재 묘장서원(畝長影堂)에 소장되어있다. 원본의 형식과 거의 유사하며 의복의 색채표현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이종원이 이모본을 제작할 때 한종유가 그린 그림에도 가채를 한 것으로 보인다.[1]
<이천우 공신도상>은 한종유의 이모 이후 영광 묘장영당에 모셔져 후손들인 전주 이씨 양도공파 종중에서 관리하다 현재는 국립광주박물관에 기증되었다.
<이천우 공신도상>은 18세기 후반의 이모본이지만 어진도사에도 주관화사로 참여한 한종유가 이모하였고 원본의 형식을 충실하게 옮김으로서 조선 초기의 공신도상의 형식이나 기법 등이 많이 반영된 부분에서 중요한 회화사적 가치를 지닌다.
공신도상에 묘사된 모습
<이천우 공신도상>은 우안구분면의 전신교의좌상(全身交椅坐像)으로 공수자세를 취한 채 의자에 앉아있는 모습으로 그려졌다. 우안의 형식은 고려시대의 작품들에 나타나는 특징으로 조선 초기까지 고려 말의 형식이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초상화의 복식은 양각이 좁고 아래로 처진 사모를 쓰고 흉배가 없는 단령에 삽금대를 두르고 있다. 단령 안에 안감을 드러내는 복식형태나 교의에 호피나 표피가 아닌 끈으로 방석을 매어 사용하는 것은 조선 초기 공신상의 전형적인 형식을 따르고 있다.[2] 옷주름이나 주름선은 음영없이 간략하게 표현했다. 이모본이지만 조선 초기의 원본이 가진 고식의 표현방식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는 모습이다.
이천우의 얼굴 부분은 가는 선으로 외곽선과 이목구비를 묘사하였다. 얼굴은 거의 정면관으로 그려졌는데 코는 마치 옆모습처럼 그려진 부분이 특이하며 유독 입술이 붉게 칠해진 모습이다. 그림 속 이천우의 얼굴은 두드러지거나 모난 부분이 없이 전체적으로 말끔한 인상을 준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장만 공신도상 | 공신도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장만 공신도상 | 장만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장만 공신도상 | 경기도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장만 공신도상 | 도화서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장만 공신도상 | 진무공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장만 공신도상 | 장만 초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좌안칠분면 | 장만 공신도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전신교의좌상 | 장만 공신도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오사모 | 장만 공신도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단령 | 장만 공신도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흉대 | 장만 공신도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서대 | 장만 공신도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625년 | 장만 공신도상(단령본)이 제작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2680650 | 127.108809 | 장만 공신도상(단령본)은 경기도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시각자료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특별전 도록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조선의 공신』, 장서각, 2012.
유용한 정보
- "장만선생영정및공신록권", 우리 지역 문화재
『문화재청』online .
더 읽을거리
- 논문
- 장인석, 『華山館 李命基 繪畵에 대한 硏究』, 명지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