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굴산사지 승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15번째 줄: | 15번째 줄: | ||
|크기= | |크기= | ||
|건립시대=고려시대 | |건립시대=고려시대 | ||
− | |관련승려= [[범일]] | + | |관련승려= [[범일|범일(梵日)]] |
|관련탑비= | |관련탑비= | ||
|필드수=16 | |필드수=16 | ||
25번째 줄: | 25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 | 이 승탑은 [[강릉 굴산사지| | + | 이 승탑은 [[강릉 굴산사지|굴산사 터]] 위쪽에 자리잡고 있다. 모든 부재가 팔각을 기본으로 조성되어 있지만 기단 일부는 원형을 취하고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12,00850000,32 강릉 굴산사지 승탑]",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29427 굴산사지 승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탑신은 | + | 탑신은 팔각으로 조각이 없고 작은 편이다. 옥개(屋蓋)도 팔각으로, 그 뒷면에는 특별한 치장이 없으며 지붕의 경사는 급하고 장식은 없다. 탑신이 지나치게 낮고 작은 데 비해 그 위의 옥개석은 크고 육중하여 균형이 맞지 않다. 조각도 가늘고 약하여 전체의 형태가 위축된 느낌을 준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29427 굴산사지 승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사리를 모시는 몸돌을 중심으로 아래로는 받침부분이 놓이고, 위로는 지붕돌과 꼭대기장식이 놓였다. 꼭대기장식으로는 상륜받침과 보개(寶蓋), 연꽃봉오리 모양의 구슬장식이 놓여 있다. | + | 사리를 모시는 몸돌을 중심으로 아래로는 받침부분이 놓이고, 위로는 지붕돌과 꼭대기장식이 놓였다. 꼭대기장식으로는 상륜받침과 보개(寶蓋), 연꽃봉오리 모양의 구슬장식이 놓여 있다. 하나로 된 바닥돌은 팔각의 평면이며, 위에는 접시 모양의 받침돌이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12,00850000,32 강릉 굴산사지 승탑]",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
53번째 줄: | 53번째 줄: | ||
{{승탑비문 Top icon}} | {{승탑비문 Top icon}} |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승탑]] [[분류:승탑/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승탑]] [[분류:승탑/교열완료!]] |
2017년 10월 31일 (화) 22:47 판
강릉 굴산사지 승탑 (江陵 崛山寺址 僧塔) |
|
답사 이후 추가 예정 | |
대표명칭 | 강릉 굴산사지 승탑 |
---|---|
영문명칭 | Stupa at Gulsansa Temple Site, Gangneung |
한자 | 江陵 崛山寺址 僧塔 |
주소 | 강원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 731번지 |
소유자 | 국유 |
관리자 | 강릉시 |
건립시대 | 고려시대 |
관련승려 | 범일(梵日) |
|
정의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에 있는 굴산사지(崛山寺址)에 있는 고려시대 승려 범일국사(梵日國師)의 승탑.
내용
이 승탑은 굴산사 터 위쪽에 자리잡고 있다. 모든 부재가 팔각을 기본으로 조성되어 있지만 기단 일부는 원형을 취하고 있다.[1][2]
탑신은 팔각으로 조각이 없고 작은 편이다. 옥개(屋蓋)도 팔각으로, 그 뒷면에는 특별한 치장이 없으며 지붕의 경사는 급하고 장식은 없다. 탑신이 지나치게 낮고 작은 데 비해 그 위의 옥개석은 크고 육중하여 균형이 맞지 않다. 조각도 가늘고 약하여 전체의 형태가 위축된 느낌을 준다.[3]
사리를 모시는 몸돌을 중심으로 아래로는 받침부분이 놓이고, 위로는 지붕돌과 꼭대기장식이 놓였다. 꼭대기장식으로는 상륜받침과 보개(寶蓋), 연꽃봉오리 모양의 구슬장식이 놓여 있다. 하나로 된 바닥돌은 팔각의 평면이며, 위에는 접시 모양의 받침돌이 있다.[4]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강릉 굴산사지 승탑 | 강릉 굴산사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강릉 굴산사지 승탑 | 범일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A ekc:isStupaOf B |
시각자료
주석
- ↑ "강릉 굴산사지 승탑",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굴산사지 승탑",
『두산백과』online . - ↑ "굴산사지 승탑",
『두산백과』online . - ↑ "강릉 굴산사지 승탑",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참고문헌
- 강릉 굴산사지 승탑",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굴산사지 승탑",
『두산백과』online . - 강병희, "강릉 굴산사지 승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