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3번째 줄: | 3번째 줄: | ||
|사진= 궁중기록화_물품_대생갑개구_종묘의궤_규장각.jpg | |사진= 궁중기록화_물품_대생갑개구_종묘의궤_규장각.jpg | ||
|사진출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 |사진출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 ||
− | |대표명칭= | + | |대표명칭= 생갑 |
|한자표기= 牲匣 | |한자표기= 牲匣 | ||
|영문명칭= | |영문명칭= | ||
30번째 줄: | 30번째 줄: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 + | | 생갑(牲匣) || [[종묘의궤|『종묘의궤(宗廟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 ||
− | | | + | | 생갑(牲匣) || [[제례|제례(祭禮)]] || A는 B에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 | |} | ||
2017년 9월 14일 (목) 19:47 판
생갑(牲匣) | |
대표명칭 | 생갑 |
---|---|
한자표기 | 牲匣 |
유형 | 의례 물품 |
시대 | 조선 |
용도 | 길례(吉禮)-제례(祭禮)에 사용 |
관련장소 | 종묘(宗廟) |
정의
소, 양, 돼지의 희생을 담는 제기이다.
내용
나무로 만들며 흑칠을 하였다.
신위(神位)를 중심으로 오른쪽부터 돼지, 양, 소의 순서로 올리며 각실마다 3개를 두었다.
크기에 따라 대생갑(大牲匣), 소생갑(小牲匣)이 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생갑(牲匣) | 『종묘의궤(宗廟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생갑(牲匣) | 제례(祭禮) | A는 B에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국립고궁박물관, 『종묘, 조선의 정신을 담다』, 국립고궁박물관, 2014.
- 궁중유물전시관, 『종묘대제문물』, 궁중유물전시관, 2004.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宗廟親祭規制圖說屛風)』", 1866~1899년,
『국립고궁박물관 소장품』online , 국립고궁박물관. - "제기도설(祭器圖說)", 「오례의」『세종실록』,
『조선왕조실록』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박례경, "대생갑(大牲匣)",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online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박례경, "소생갑(大牲匣)",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online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박례경, "삼합생갑(三合牲匣)",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online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제기 종류",
『문화콘텐츠닷컴』online , 문화콘텐츠닷컴. - "제기",
『종묘대제』online , 종묘제례보존회.
더 읽을거리
- 김종일, 「조선후기 종묘제기와 유기장의 제작기술 연구」,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김종임, 「조선왕실 금속제기 연구 : 종묘제기를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제277호, 한국미술사학회, 2013.
- 손명희, 「조선의 국가 제사를 위한 그릇과 도구」『조선의 국가의례, 오례』, 국립고궁박물관, 2015, 85~136쪽.
- 이귀영, 「종묘제례의 제기와 제수의 진설 원리」, 『한국미술사교육학회지』제27호,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3.
- 하은미, 「종묘제기와 조선시대 제기도설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