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봉화 태자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19번째 줄: 19번째 줄:
 
}}
 
}}
 
=='''정의'''==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태자동에 위치하였을꺼라 추정되는 절.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태자동에 위치한 것으로 추정되는 절.
  
 
=='''내용'''==
 
=='''내용'''==

2017년 9월 1일 (금) 20:36 판

봉화 태자사
(奉化 太子寺)
대표명칭 봉화 태자사
영문명칭 Taejasa Temple, Bonghwa
한자 奉化 太子寺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태자동에 위치한 것으로 추정되는 절.

내용

태자사(太子寺)의 위치는 정확히 지적하기 어렵다. 다만 1964년부터 실시한 '신라오악학술조사'의 일환으로 이 절터 탐색을 시도한 일이 있었고, 그 결과 안동시 도산면 태자동의 폐사지 한 곳을 이 절터로 추정하였다. 이처럼 태자사가 봉화군 소재로 기록되었으나 행정구역의 변경의 결과인지 알 수 없고, 안동군으로 추정할 수밖에 없다.[1]

태자사에는 낭공대사탑비(朗空大師塔碑)가 있었는데, 이 비가 태자사에 954년에 세워졌으나, 태자사는 조선 중기에 폐사되었다.[2]

태자사에 관한 옛 기록들은 다음과 같다.

Quote-left.png 『태종실록(太宗實錄)』 태종 7년 12월 2일조에 제주자복사(諸州資福寺)를 논하는 가운데 태자사를 ‘봉화태자사(奉化太子寺)’로 기록하였고, ……『조선금석고(朝鮮金石攷)』에는 ‘봉화군 하남면 태자리’로 기록하였고,『범우고(梵宇攷)』에는 ‘봉화태자사’로 기록하였다. Quote-right.png
출처: 진홍섭, 『묵재한화』, (주)대원사, 1999.[3]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있다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 행적 A는 B를 위한 비이다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 봉화 태자사 A는 B에 있었다

주석

  1. 진홍섭, 『묵재한화』, (주)대원사, 1999. 190-191쪽.
  2. 김원규, "『해동 명필-김생』",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진홍섭, 『묵재한화』, (주)대원사, 1999. 190-191쪽.

참고문헌

  • 진홍섭, 『묵재한화』, (주)대원사, 1999. 190-191쪽.
  • 김원규, "『해동 명필-김생』",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