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인물정보 |사진=초상화 최영 표준영정.png |사진출처="[http://www.kculture.or.kr/korean/portrait/portraitPartList.jsp 선현의 표준영정]", <html><online style="...) |
|||
89번째 줄: | 89번째 줄: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69389&cid=59015&categoryId=59015 최영]", 네이버캐스트-인물한국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69389&cid=59015&categoryId=59015 최영]", 네이버캐스트-인물한국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분류: | + | [[분류:역사인물]][[분류:김누리]][[분류:인물]] |
2017년 9월 16일 (토) 14:26 판
최영(崔瑩) | |
대표명칭 | 최영 |
---|---|
한자표기 | 崔瑩 |
생몰년 | 1316년-1388년 |
본관 | 창원(昌原) |
시호 | 무민(武愍) |
출생지 | 고봉현 |
사망지 | 개경 |
시대 | 고려 |
국적 | 고려 |
대표직함 | 팔도도통사(八道都統使) |
부 | 최원직(崔元直) |
유형 | 장군 |
목차
정의
고려 후기의 명장.[1]
내용
출생 및 전공
평장사(平章事) 유청(惟淸)의 5세손, 아버지는 사헌규정(司憲糾正) 원직(元直)이다.[2]양광도도순문사(楊廣道都巡問使) 휘하에서 수차 왜구를 토벌, 우달치[于達赤:司門人]가 되었으며, 1352년(공민왕 1) 조일신(趙日新)의 난을 평정하고 호군(護軍)에 올랐다. 1354년 대호군(大護軍) 때 원(元)나라의 요청으로 중국에서 장사성(張士誠)의 난군을 토벌하고 귀국, 서북면병마부사(西北面兵馬副使)가 되어 원나라에 속했던 압록강 서쪽의 8참(站)을 수복했다.
1358년에는 오예포(吾乂浦)에 침입한 왜선 400여 척을 격파하였고, 1359년 4만의 홍건적(紅巾賊)이 서경(西京:平壤)을 함락하자 1360년 서북면병마사(西北面兵馬使) 이방실(李芳實) 등과 함께 이를 물리쳤다. 1363년 흥왕사(興王寺)의 변(金鏞의 난)이 일어나자 이를 진압하기도 하였다. 1376년(우왕 2) 왜구가 삼남지방을 휩쓸고 원수(元帥) 박원계(朴元桂)가 참패당하자, 최영이 홍산(鴻山)에서 적을 대파, 철원부원군(鐵原府院君)에 봉해졌다. 1377년 서강(西江)에, 1378년 승천부(昇天府:豐德)에 쳐들어온 왜구를 이성계 등과 섬멸, 안사공신(安社公臣)의 호를 받았다.[3]
죽음
1381년 영삼사사(領三司事) 등을 지내고 벼슬을 사퇴했다가 88년 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이 되었는데, 이 때 명나라가 철령위(鐵嶺衛)를 설치하고 북변 일대를 요동[遼東]에 귀속시키려 하자, 요동정벌을 계획, 팔도도통사(八道都統使)가 되어 정벌군의 출정을 명했으나, 이성계 등의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으로 요동정벌이 좌절되었다. 후에 이성계군이 개성에 난입하자 이를 맞아 싸우다가 체포되어 고봉(高峰:高陽) 등지에 유배되었다가 개경(開京)에서 참형(斬刑)되었다.[4]
상훈과 추모
이성계는 새 왕조를 세우고 나서 6년 만에 무민(武愍)이라는 시호를 내려 넋을 위로하였다. 개풍군(開豐郡) 덕물산(德物山)에 있는 그의 무덤은 풀이 나지 않는다 하여 적분(赤墳)으로 불린다. 그 산 위에는 장군당(將軍堂)이 있어 무당들에게 숭상의 대상이 되고 있다.[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최영 | 최원직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A ekc:hasFather B |
최영 | 홍산전투 | A는 B를 주도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최영 | 개풍 장군당 | A는 B에 배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최영 | 이방실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최영 | 안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최영 | 유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최영 | 염제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최영 | 염흥방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최영 | 임견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최영 | 이성계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최영 | 신돈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최영 | 최유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최영 | 김용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 ↑ "최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최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최영",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최영",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최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