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서봉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새 문서: {{사찰사지정보 |사진= |대표명칭=용인 서봉사 |영문= |한자=龍仁 瑞峰寺 |이칭= |지정번호= |지정일= |주소= |위도= |경도= |소유자= |관리자...) |
(→내용) |
||
26번째 줄: | 26번째 줄: | ||
[[임진왜란]] 때 절에서 떠내려 오는 쌀뜨물이 10리 나 흘러내렸기 때문에 왜적이 뭍을 따라 올라가서 절을 불태웠다고 하며, 임진왜란 때 전라감사 [[이광|이광(李廣)]]이 이끄는 근왕병 5만이 이곳에서 왜적과 싸웠다는 기록이 전한다. 이 절에서는 『[[인천안목|인천안목(人天眼目)]]』·『[[불조삼경|불조삼경(佛祖三經)]]』 등 10여종의 목판본을 간행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불설예수시왕경|불설예수시왕경(佛說豫修十王經)]]』은 특출하였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7772 서봉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임진왜란]] 때 절에서 떠내려 오는 쌀뜨물이 10리 나 흘러내렸기 때문에 왜적이 뭍을 따라 올라가서 절을 불태웠다고 하며, 임진왜란 때 전라감사 [[이광|이광(李廣)]]이 이끄는 근왕병 5만이 이곳에서 왜적과 싸웠다는 기록이 전한다. 이 절에서는 『[[인천안목|인천안목(人天眼目)]]』·『[[불조삼경|불조삼경(佛祖三經)]]』 등 10여종의 목판본을 간행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불설예수시왕경|불설예수시왕경(佛說豫修十王經)]]』은 특출하였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7772 서봉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태종실록』 7년에 따르면 | + | 『태종실록』 7년에 따르면 용인 서봉사를 전국적인 자복사(資福寺)의 하나로 선정하고, [[천태종]] 소속으로 삼았다 한다. 또한 조선 전기에 시행된 사찰의 혁파 대상에서 제외된 거찰(巨刹)로서, ‘명찰(名刹)’ 또는 ‘명당 터의 대가람’에 해당하는 절이었다.<ref>"[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0901811 서봉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2017년 8월 27일 (일) 23:47 판
용인 서봉사 (龍仁 瑞峰寺) |
|
대표명칭 | 용인 서봉사 |
---|---|
한자 | 龍仁 瑞峰寺 |
정의
경기도 용인시 수지읍 신봉리에 있었던 절.
내용
창건연대 및 창건자는 미상이나 고려시대 국사 현오(玄梧)가 이곳에 주석하면서 국왕을 강학(講學)하였다는 일설이 전해지고 있으며, 절에 대한 역사는 거의 전래되지 않고 있다. 임진왜란 때 절에서 떠내려 오는 쌀뜨물이 10리 나 흘러내렸기 때문에 왜적이 뭍을 따라 올라가서 절을 불태웠다고 하며, 임진왜란 때 전라감사 이광(李廣)이 이끄는 근왕병 5만이 이곳에서 왜적과 싸웠다는 기록이 전한다. 이 절에서는 『인천안목(人天眼目)』·『불조삼경(佛祖三經)』 등 10여종의 목판본을 간행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불설예수시왕경(佛說豫修十王經)』은 특출하였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1]
『태종실록』 7년에 따르면 용인 서봉사를 전국적인 자복사(資福寺)의 하나로 선정하고, 천태종 소속으로 삼았다 한다. 또한 조선 전기에 시행된 사찰의 혁파 대상에서 제외된 거찰(巨刹)로서, ‘명찰(名刹)’ 또는 ‘명당 터의 대가람’에 해당하는 절이었다.[2]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관련 기록으로 보아 18세기 후반까지 운영되었고, 19세기경에 폐사(廢寺)된 것으로 추정된다. [3]
관련문화유산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 | 용인 서봉사 | A는 B에 있었다 | |
용인 서봉사지 | 용인 서봉사 | A는 B의 터이다 | |
종린 | 용인 서봉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
인천안목 | 용인 서봉사 | A는 B와 관련있다 | |
천태종 | 용인 서봉사 | A는 B를 포함한다 |
시각자료
주석
- ↑ "서봉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서봉사지",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용인 서봉사지",
『두산백과』online .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