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35번째 줄: 35번째 줄:
 
=='''내용'''==
 
=='''내용'''==
 
===관직===
 
===관직===
1726년(영조 2) 알성문과에 별과로 급제하여 정자가 되고 이듬해 실록청도청 낭청이 되었으나 정미환국(丁未換局)<ref>정미환국(丁未換局): 영조 초기 탕평책의 일환으로 당색이 온건한 인물로 인사를 개편한 사건이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47114&cid=46622&categoryId=46622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정미환국]</ref>으로 파직당했다. 1729년(영조 5) 검열로 다시 등용되어 헌납, 지평, 이조참의, 대사성, 도승지, 이조참판 등을 거쳐 1747년(영조 23) 예조판서, 다음해 이조판서, 1753년(영조 29) 호조판서, 병조판서를 지냈다. 1756년(영조 32)년에 우의정, 1758년 좌의정을 거쳐 1762년(영조 38)에 영의정에 이르렀으나, [[사도세자]]가 죽을 때 방관하였다는 이유로 파직되었다.
+
1726년(영조 2) 알성문과에 별과로 급제하여 정자가 되고 이듬해 실록청도청 낭청이 되었으나 [[정미환국|정미환국(丁未換局)]]으로 파직당했다. 1729년(영조 5) 검열로 다시 등용되어 헌납, 지평, 이조참의, 대사성, 도승지, 이조참판 등을 거쳐 1747년(영조 23) 예조판서, 다음해 이조판서, 1753년(영조 29) 호조판서, 병조판서를 지냈다. 1756년(영조 32)년에 우의정, 1758년 좌의정을 거쳐 1762년(영조 38)에 영의정에 이르렀으나, [[사도세자]]가 죽을 때 방관하였다는 이유로 파직되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8838&cid=40942&categoryId=33383 신만]",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학문===
 
===학문===
[[영조]]의 집권의리를 옹호한 [[천의소감|천의소감(闡義昭鑑)]]』을 저술하였다. 이 책은 [[영조]]의 [[탕평책]] 성립 과정을 살펴보는 중요한 자료이나 노론의 입장에서 서술되었다는 한계가 있다. [[근묵|근묵(槿墨)]]』에 신만의 초서 간찰이 남아 있다.
+
[[영조]]의 집권의리를 옹호한 [[천의소감|『천의소감(闡義昭鑑)]]저술하였다. 이 책은 [[영조]]의 [[탕평책]] 성립 과정을 살펴보는 중요한 자료이나 노론의 입장에서 서술되었다는 한계가 있다. [[근묵|『근묵(槿墨)]]에 [[신만]]의 초서 간찰이 남아 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60154&cid=46622&categoryId=46622 신만]",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45번째 줄: 45번째 줄: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신만]]||[[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A는 B를 담당하였다 ||  
+
| 신만 ||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 A는 B의 담당자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신명규]]||[[신만]]||A는 B의 증조부이다 ||  
+
| [[신명규]] || 신만|| A는 B의 선조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
| [[신단]]||[[신만]]||A는 B의 조부이다 ||  
+
| [[신단]] || 신만 || A는 B의 선조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
| [[신사철]]||[[신만]]||A는 B의 아버지이다 ||  
+
| [[신사철]] || 신만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이규일]]||[[신만]]||A는 B의 외조부이다 ||  
+
| [[이규일]] || 신만 || A는 B의 선조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
| [[이씨]]||[[신만]]||A는 B의 어머니이다 ||  
+
| [[이씨]] || 신만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신회]]||[[신만]]||A는 B의 동생이다 ||  
+
| 신만 || [[신회]] || A는 형제 B가 있다 || A ekc:hasBrother B
 
|-
 
|-
| [[이현응]]||[[신만]]||A는 B의 장인이다 ||  
+
| [[이현응]] || 신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전주 이씨]]||[[신만]]||A는 B의 아내이다 ||  
+
| 신만 [[전주 이씨]] || [[신만]]||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
| [[최명원]]||[[신만]]||A는 B의 장인이다 ||  
+
| [[최명원]] || 신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최씨]]||[[신만]]||A는 B의 아내이다 ||  
+
| 신만 || [[최씨]]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
| [[신광소]]||[[신만]]||A는 B의 장남이다 ||  
+
| 신만 || [[신광소]]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신광집]]||[[신만]]||A는 B의 차남이다 ||  
+
| 신만 || [[신광집]]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신광동]]||[[신만]]||A는 B의 삼남이다 ||  
+
| 신만  || [[신광동]]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신광위]]||[[신만]]||A는 B의 사남이다 ||  
+
| 신만 || [[신광위]]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시간정보===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20%px"|시간!!style="width:80%px"|내용
 +
|-
 +
| 1759년 || 신만은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를 담당하였다
 +
|}
 +
 
===공간정보===
 
===공간정보===
  
82번째 줄: 88번째 줄:
 
===갤러리===
 
===갤러리===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350px>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350px>
파일:궁중기록화 인물 신만 성균관대학교.jpg| 『근묵』에 수록된 신만 간찰.<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45238&cid=51293&categoryId=51293 네이버 이뮤지엄]</ref>
+
파일:궁중기록화 인물 신만 성균관대학교.jpg| 『근묵』에 수록된 신만 간찰.<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45238&cid=51293&categoryId=51293 신만간찰]", e뮤지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gallery>
</gallery>
 
  
 
===영상===
 
===영상===
94번째 줄: 99번째 줄:
 
* 『영조실록』
 
* 『영조실록』
 
* 『한국계행보』
 
* 『한국계행보』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60154&cid=46622&categoryId=46622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83078&cid=40942&categoryId=34255 두산백과]
 
  
 
===더 읽을거리===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
 
  
 
[[분류:궁중기록화]] [[분류:인물]] [[분류:백관]]
 
[[분류:궁중기록화]] [[분류:인물]] [[분류:백관]]

2017년 10월 9일 (월) 00:36 판

신만(申晩)
대표명칭 신만
한자표기 申晩
생몰년 1703년-1765년
본관 평산(平山)
시호 효정(孝正)
여성(汝成), 성백(成伯)
시대 조선
배우자 이현응의 딸 전주 이씨, 최명원의 딸 최씨.
영중추부사 신사철
이규일의 딸 이씨
자녀 참봉 신광소, 영성위 신광수, 신광집, 신광동, 신광위
능묘 서울시 중랑구 망우동
성격 인물
유형 문무백관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노론의 일원으로, 영조 때 별시에 급제하여 영의정까지 올랐으며,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도제조를 역임하였다.

내용

관직

1726년(영조 2) 알성문과에 별과로 급제하여 정자가 되고 이듬해 실록청도청 낭청이 되었으나 정미환국(丁未換局)으로 파직당했다. 1729년(영조 5) 검열로 다시 등용되어 헌납, 지평, 이조참의, 대사성, 도승지, 이조참판 등을 거쳐 1747년(영조 23) 예조판서, 다음해 이조판서, 1753년(영조 29) 호조판서, 병조판서를 지냈다. 1756년(영조 32)년에 우의정, 1758년 좌의정을 거쳐 1762년(영조 38)에 영의정에 이르렀으나, 사도세자가 죽을 때 방관하였다는 이유로 파직되었다.[1]

학문

영조의 집권의리를 옹호한 『천의소감(闡義昭鑑)』을 저술하였다. 이 책은 영조탕평책 성립 과정을 살펴보는 중요한 자료이나 노론의 입장에서 서술되었다는 한계가 있다. 『근묵(槿墨)』신만의 초서 간찰이 남아 있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신만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A는 B의 담당자였다 A edm:isRelatedTo B
신명규 신만 A는 B의 선조이다 A ekc:hasDescendant B
신단 신만 A는 B의 선조이다 A ekc:hasDescendant B
신사철 신만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이규일 신만 A는 B의 선조이다 A ekc:hasDescendant B
이씨 신만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신만 신회 A는 형제 B가 있다 A ekc:hasBrother B
이현응 신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신만 전주 이씨 신만 A는 B의 남편이다 A ekc:hasWife B
최명원 신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신만 최씨 A는 B의 남편이다 A ekc:hasWife B
신만 신광소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신만 신광집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신만 신광동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신만 신광위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1759년 신만은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를 담당하였다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신만",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2. "신만",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3. "신만간찰", e뮤지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영조실록』
  • 『한국계행보』

더 읽을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