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근정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장원석DH (토론)의 54866판 편집을 되돌림)
30번째 줄: 30번째 줄:
 
===역사적 변천===
 
===역사적 변천===
 
현재의 건물은 1867년 중건된 것으로, 경복궁 창건 당시인 1395년(태조 4)에 지은 건물이 임진왜란 때 불타버린 뒤 270여 년 만에 다시 지은 건물이다. 중건 당시 태조 때의 건물을 원래대로 복구하지 않고 회랑(廻廊)을 단랑(單廊)에서 복랑(複廊)으로 바꾸고 월대(月臺: 궁전 앞에 있는 섬돌)도 새로 만드는 등 변화가 있었다. 현재의 근정전은, 경복궁 복원사업의 일환으로 2000년부터 진행되어온 보수공사의 결과이다. 근정전의 보수는 건물을 지탱해주는 고주(高柱, 높은 기둥) 4개의 맞춤부분이 벌어지고 용마루와 처마가 처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견되어 1층의 연목과 2층에 해당하는 부분을 완전히 해체하여 재조립한 대규모 공사로, 2000년 1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46개월에 걸쳐 약 72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하여 완료하였다.
 
현재의 건물은 1867년 중건된 것으로, 경복궁 창건 당시인 1395년(태조 4)에 지은 건물이 임진왜란 때 불타버린 뒤 270여 년 만에 다시 지은 건물이다. 중건 당시 태조 때의 건물을 원래대로 복구하지 않고 회랑(廻廊)을 단랑(單廊)에서 복랑(複廊)으로 바꾸고 월대(月臺: 궁전 앞에 있는 섬돌)도 새로 만드는 등 변화가 있었다. 현재의 근정전은, 경복궁 복원사업의 일환으로 2000년부터 진행되어온 보수공사의 결과이다. 근정전의 보수는 건물을 지탱해주는 고주(高柱, 높은 기둥) 4개의 맞춤부분이 벌어지고 용마루와 처마가 처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견되어 1층의 연목과 2층에 해당하는 부분을 완전히 해체하여 재조립한 대규모 공사로, 2000년 1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46개월에 걸쳐 약 72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하여 완료하였다.
 +
<!--
 
===세부 구조===
 
===세부 구조===
 
기단부는 월대라 하며 이중으로 되어 있는데, 아래위층 월대 주위에는 긴 댓돌을 돌리고, 그 위에 하엽동자(荷葉童子)와 팔각 돌란대[廻欄石]로 구성된 석난간(石欄干)을 세웠다. 각 난간의 엄지기둥에는 12지상(十二支像)을 방위에 맞게 조각하여 정전을 상징적으로 수호하게 하였다. 계단은 앞뒷면에 각 1개, 좌우 측면에 각 2개씩을 두었다. 앞쪽 중앙계단에는 답도(踏道)를 마련하여 구름 속에 노니는 봉황을 새겼고 건물 내부의 바닥에는 전돌을 깔았다. 또, 내부의 가구(架構) 구성을 보면 바깥두리기둥[外陣柱]과 안두리기둥[內陣柱]을 기본으로 하고 여기에 다른 건물에서는 보기 힘든 귀고주[隅高柱]를 두었다. 뒷면 중앙칸 안두리기둥 사이에 보좌(寶座)를 마련하고 그 위에 어좌를 설치하였다. 어좌 뒤에는 일월오악병풍(日月五岳屛風)을 배경으로 삼아 사룡수(四龍首)를 조각한 삼절병(三折屛)을 두었다. 어좌의 상부에는 사각평면에 다출목(多出目)의 작은 공포를 짜고 네 귀를 모접이 한 뒤 다시 다출목의 작은 공포를 짜서 이른바 말각천장(抹角天障)형식의 보개(寶蓋)를 마련하였다. 그 중앙에는 쌍룡과 여의보주를 조각하였다.
 
기단부는 월대라 하며 이중으로 되어 있는데, 아래위층 월대 주위에는 긴 댓돌을 돌리고, 그 위에 하엽동자(荷葉童子)와 팔각 돌란대[廻欄石]로 구성된 석난간(石欄干)을 세웠다. 각 난간의 엄지기둥에는 12지상(十二支像)을 방위에 맞게 조각하여 정전을 상징적으로 수호하게 하였다. 계단은 앞뒷면에 각 1개, 좌우 측면에 각 2개씩을 두었다. 앞쪽 중앙계단에는 답도(踏道)를 마련하여 구름 속에 노니는 봉황을 새겼고 건물 내부의 바닥에는 전돌을 깔았다. 또, 내부의 가구(架構) 구성을 보면 바깥두리기둥[外陣柱]과 안두리기둥[內陣柱]을 기본으로 하고 여기에 다른 건물에서는 보기 힘든 귀고주[隅高柱]를 두었다. 뒷면 중앙칸 안두리기둥 사이에 보좌(寶座)를 마련하고 그 위에 어좌를 설치하였다. 어좌 뒤에는 일월오악병풍(日月五岳屛風)을 배경으로 삼아 사룡수(四龍首)를 조각한 삼절병(三折屛)을 두었다. 어좌의 상부에는 사각평면에 다출목(多出目)의 작은 공포를 짜고 네 귀를 모접이 한 뒤 다시 다출목의 작은 공포를 짜서 이른바 말각천장(抹角天障)형식의 보개(寶蓋)를 마련하였다. 그 중앙에는 쌍룡과 여의보주를 조각하였다.
39번째 줄: 40번째 줄:
 
===의의와 평가===
 
===의의와 평가===
 
조선 중기 이후 차츰 기술적 세련미를 잃어가던 수법을 가다듬어 완성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아울러 조선의 가장 큰 궁궐의 정전이라는 점에도 의미가 있다. 그러나 양식과 수법·의장 등과 단청의 색조·무늬 등을 모두 앞서 지어진 인정전(仁政殿) 양식을 본떴으나 충분히 소화시키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조선 중기 이후 차츰 기술적 세련미를 잃어가던 수법을 가다듬어 완성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아울러 조선의 가장 큰 궁궐의 정전이라는 점에도 의미가 있다. 그러나 양식과 수법·의장 등과 단청의 색조·무늬 등을 모두 앞서 지어진 인정전(仁政殿) 양식을 본떴으나 충분히 소화시키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
-->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2017년 8월 17일 (목) 02:38 판

경복궁 근정전
(景福宮勤政殿)
대표명칭 경복궁 근정전
한자표기 景福宮勤政殿
유형 유적, 궁궐
시대 조선/1396년
지정번호 국보 제223호
지정일 1985년 1월 8일



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에 있는 경복궁의 정전(正殿)으로, 조선 후기의 전각. [1]

내용

구조

정면 5칸, 측면 5칸의 팔작지붕 중층건물로 공포(栱包)는 다포계(多包系)이고, 구조는 전후 툇간 11량(前後退間十一樑)구조이다.

성격

신하들의 조하(朝賀)를 받거나 정령(政令)을 반포하는 정전(正殿)으로, 때로는 사신을 맞아들이기도 하고 양로연(養老宴)이나 위로연을 베풀기도 하던 곳이다.

역사적 변천

현재의 건물은 1867년 중건된 것으로, 경복궁 창건 당시인 1395년(태조 4)에 지은 건물이 임진왜란 때 불타버린 뒤 270여 년 만에 다시 지은 건물이다. 중건 당시 태조 때의 건물을 원래대로 복구하지 않고 회랑(廻廊)을 단랑(單廊)에서 복랑(複廊)으로 바꾸고 월대(月臺: 궁전 앞에 있는 섬돌)도 새로 만드는 등 변화가 있었다. 현재의 근정전은, 경복궁 복원사업의 일환으로 2000년부터 진행되어온 보수공사의 결과이다. 근정전의 보수는 건물을 지탱해주는 고주(高柱, 높은 기둥) 4개의 맞춤부분이 벌어지고 용마루와 처마가 처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견되어 1층의 연목과 2층에 해당하는 부분을 완전히 해체하여 재조립한 대규모 공사로, 2000년 1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46개월에 걸쳐 약 72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하여 완료하였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경복궁 근정전 명성황후 상존호옥책문 A는 B와 관련이 있다

주석

  1. 김동현, "경복궁 근정전(景福宮勤政殿)",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저서
    • 허균, 『사료와 함께 새로 보는 경복궁』,한림미디어, 2005.
    • 신응수, 『경복궁 근정전』, 현암사, 2005.
    • 신영훈, 『조선의 정궁 경복궁』, 조선일보사, 2003.
    • 문화재관리국, 『조선조왕궁중요건축물지정조사서』,문화재관리국, 1984.
    • 고적편, 『서울특별시사』,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1963.
    • 장대원, 『경복궁중건에 대한 소고』, 향토서울 16, 19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