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내용) |
(→내용) |
||
33번째 줄: | 33번째 줄: | ||
}} | }} | ||
− | [[지장]]이 입적하자 공공산(龔公山)을 떠나 중국의 명산대찰(名山大刹)을 두루 순례하다가, 서주(西州) 부사사(浮沙寺)에 자리잡고 3년 동안 대장경을 열람한 다음 839년([[신라 문성왕|문성왕]] 1)에 귀국하였다.<ref>김영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3644 혜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귀국 후 [[화순 쌍봉사|쌍봉사(雙峰寺)]]에서 [[하안거|하안거(夏安居)]]를 지냈으며,<ref>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02166&cid=50763&categoryId=50784 쌍봉사]", 용어해설,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곡성 태안사|대안사(大安寺)]]에서 법회를 베풀어 [[동리산문|동리산파(桐裡山派)]]의 개조(開祖)가 되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63439&cid=40942&categoryId=33380 혜철]",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지장]]이 입적하자 공공산(龔公山)을 떠나 중국의 명산대찰(名山大刹)을 두루 순례하다가, 서주(西州) 부사사(浮沙寺)에 자리잡고 3년 동안 대장경을 열람한 다음 839년([[신라 문성왕|문성왕]] 1)에 귀국하였다.<ref>김영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3644 혜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귀국 후 [[화순 쌍봉사|쌍봉사(雙峰寺)]]에서 [[하안거|하안거(夏安居)]]를 지냈으며,<ref>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02166&cid=50763&categoryId=50784 쌍봉사]", 용어해설,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곡성 태안사|대안사(大安寺)]]에서 법회를 베풀어 [[동리산문|동리산파(桐裡山派)]]의 개조(開祖)가 되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63439&cid=40942&categoryId=33380 혜철]",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이 때 문성왕은 때때로 사신을 보내어 설법과 정치의 정도를 청하여 물었다.<ref>김영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3644 혜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blockquote | {{blockquote | ||
|이윽고 무주 관내 쌍봉난야에서 여름 안거를 하였을 때 햇볕이 너무 뜨거워 산천이 말라붙었는데 비는 물론 조각구름조차 없었다. 州司가 선사에게 간절히 청하니 선사가 고요한 방에 들어가 좋은 향을 사르며 하늘과 땅에 기원하였다. 잠시 후 단비가 미미하게 내려 무주 관내의 들을 적시더니 죽죽 쏟아져 큰 비가 되었다. ...(중략)... | |이윽고 무주 관내 쌍봉난야에서 여름 안거를 하였을 때 햇볕이 너무 뜨거워 산천이 말라붙었는데 비는 물론 조각구름조차 없었다. 州司가 선사에게 간절히 청하니 선사가 고요한 방에 들어가 좋은 향을 사르며 하늘과 땅에 기원하였다. 잠시 후 단비가 미미하게 내려 무주 관내의 들을 적시더니 죽죽 쏟아져 큰 비가 되었다. ...(중략)... | ||
42번째 줄: | 42번째 줄: | ||
|출처= | |출처= | ||
}} | }} | ||
+ | |||
+ | 혜철은 861년([[신라 경문왕|경문왕]] 1) 77세의 나이로 입적하였으며, 탑비는 [[신라 경문왕|경문왕]]의 왕명으로 872년([[신라 경문왕|경문왕]] 12)에 건립되었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2818 대안사적인선사조륜청정탑비(大安寺寂忍禪師照輪淸淨塔碑)]", 금석문 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2017년 8월 14일 (월) 22:16 판
혜철(惠哲) | |
대표명칭 | 혜철 |
---|---|
한자 | 惠哲 |
생몰년 | 785년(원성왕 1)-861년(경문왕 1) |
시호 | 적인(寂忍) |
호 | 혜철(慧徹) |
법명 | 혜철(惠哲) |
탑호 | 조륜청정(照輪淸淨) |
자 | 체공(體空) |
이칭 | 동리화상(桐裏和尙) |
성씨 | 박씨(朴氏) |
출신지 | 경상북도 경주 |
승탑 |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 |
정의
신라시대의 승려
내용
혜철은 어려서 출가하여 영주 부석사(浮石寺)에서 화엄학을 배우고, 806년(애장왕 7) 22세에 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1] 선법이 전해지기 전인 814년(헌덕왕 6)에 당나라로 갔으며, 마조(馬祖)의 제자이자 남종선(南宗禪) 계통의 선사인 지장선사(地藏禪師) 문하에서 선법(禪法)을 전해 받았다.[2][3]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 제9권의 기록에 의하면, 지장의 법통을 전수받은 자 넷 가운데 셋이 신라인으로서 계림의 도의선사(道義禪師), 신라국의 홍직선사(洪直禪師)와 혜선사(慧禪師)라고 적고 있으며, 혜철의 탑비에는 그가 지장을 만나서 한 말이 기록되어 있다.[4]
지장이 입적하자 공공산(龔公山)을 떠나 중국의 명산대찰(名山大刹)을 두루 순례하다가, 서주(西州) 부사사(浮沙寺)에 자리잡고 3년 동안 대장경을 열람한 다음 839년(문성왕 1)에 귀국하였다.[5] 귀국 후 쌍봉사(雙峰寺)에서 하안거(夏安居)를 지냈으며,[6] 대안사(大安寺)에서 법회를 베풀어 동리산파(桐裡山派)의 개조(開祖)가 되었다.[7] 이 때 문성왕은 때때로 사신을 보내어 설법과 정치의 정도를 청하여 물었다.[8]
혜철은 861년(경문왕 1) 77세의 나이로 입적하였으며, 탑비는 경문왕의 왕명으로 872년(경문왕 12)에 건립되었다.[9]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혜철",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김영길, "혜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혜철",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김영길, "혜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영길, "혜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쌍봉사",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혜철",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김영길, "혜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대안사적인선사조륜청정탑비(大安寺寂忍禪師照輪淸淨塔碑)",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참고문헌
- 이지관, "곡성 대안사 적인선사 조륜청정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신라편,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74-93쪽.
- 한국고대사회연구소, 「대안사 적인선사탑비」,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제3책 통일신라,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온라인 참조: "대안사 적인선사탑비 해석문",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한국사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