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활동) |
(→활동) |
||
61번째 줄: | 61번째 줄: | ||
}} | }} | ||
− | 낙진은 [[고려 숙종|숙종]](재위: 1095년-1105년) 때 [[수좌|수좌(首座)]]를 거쳐 [[승통|승통(僧統)]]이 되었으며,<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74615&cid=40942&categoryId=33382 낙진]",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114년([[고려 예종|예종]] 9)에는 [[왕사|왕사(王師)]]가 되어 '오공통혜(悟空通慧)'라는 | + | 낙진은 [[고려 숙종|숙종]](재위: 1095년-1105년) 때 [[수좌|수좌(首座)]]를 거쳐 [[승통|승통(僧統)]]이 되었으며,<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74615&cid=40942&categoryId=33382 낙진]",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114년([[고려 예종|예종]] 9)에는 [[왕사|왕사(王師)]]가 되어 '오공통혜(悟空通慧)'라는 법호(法號)를 받았다.<ref>정병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1658 낙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에 [[고려 예종|예종]]은 [[개성 귀법사|귀법사(歸法寺)]]와 [[성주 법수사|법수사(法水寺)]]를 정진(精進)과 기도의 처소로 삼게 하였으며, 낙진은 두 절에서 주석하였다.<ref>이지관, "합천 반야사 원경왕사 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92쪽.</ref> |
{{blockquote | {{blockquote | ||
|갑오년(甲午年) 3월 예종(睿宗)이 봉은사(奉恩寺)에 행행(幸行)하여 배(拜) (결락) 임금께서 왕사로 모시고자 하였으나, 스님은 간절히 사양하였다. 이(而) (결락) 그리하여 또 '오공통혜(悟空通慧)'란 법호(法號)를 첨가(添加)하였다. 왕사의 법호가 최초에는 '자응구리(慈應究理)'라고 받았는데, 그 후로부터 연오(演奧)·정관(正觀)·원응(圓應)·법인(法印) 등으로 여러 차례에 걸쳐 첨가를 받았다. 그리고 이제 또 오공통혜(悟空通慧)라는 사자(四字)를 가한 것은 모두 왕사의 덕행(悳行)을 나타낸 것이다. 식자(識者)들은 왈양(曰楊) (결락) 객우(客尤) (결락) 예종(睿宗)께서 귀법사(歸法寺)로써 스님의 연식(燕息)할 장소로 삼고, 법수사(法水寺)로써 왕사가 향화(香火)를 받들면서 기도하는 처소로 삼게 하였다. | |갑오년(甲午年) 3월 예종(睿宗)이 봉은사(奉恩寺)에 행행(幸行)하여 배(拜) (결락) 임금께서 왕사로 모시고자 하였으나, 스님은 간절히 사양하였다. 이(而) (결락) 그리하여 또 '오공통혜(悟空通慧)'란 법호(法號)를 첨가(添加)하였다. 왕사의 법호가 최초에는 '자응구리(慈應究理)'라고 받았는데, 그 후로부터 연오(演奧)·정관(正觀)·원응(圓應)·법인(法印) 등으로 여러 차례에 걸쳐 첨가를 받았다. 그리고 이제 또 오공통혜(悟空通慧)라는 사자(四字)를 가한 것은 모두 왕사의 덕행(悳行)을 나타낸 것이다. 식자(識者)들은 왈양(曰楊) (결락) 객우(客尤) (결락) 예종(睿宗)께서 귀법사(歸法寺)로써 스님의 연식(燕息)할 장소로 삼고, 법수사(法水寺)로써 왕사가 향화(香火)를 받들면서 기도하는 처소로 삼게 하였다. |
2017년 8월 11일 (금) 15:19 판
낙진(樂眞) | |
대표명칭 | 낙진 |
---|---|
한자 | 樂眞 |
생몰년 | 1045년(정종 11)-1114년(예종 9) |
시호 | 원경(元景) |
호 | 오공통혜(悟空通慧) |
자 | 자정(子正) |
성씨 | 신씨 |
출신지 | 경기 이천 |
승탑비 | 합천 반야사지 원경왕사비 |
목차
정의
고려시대의 승려
내용
가계와 탄생
원경왕사 낙진(元景王師 樂眞)은 1045년(정종 11)에 태어났으며, 그의 선조는 이천군(利川郡)의 우족(右族)[1]이었다.[2]
출가수행
낙진은 어렸을 때 출가하여 영통사(靈通寺)의 경덕국사(景德國師)의 제자가 되어 학문을 닦았고, 1056년(문종 10) 12세에 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 1063년(문종 17) 19세에 승과(僧科)에 급제하여 대덕(大德)이 되었으며,[3] 경덕국사의 문하에서 계속 수학하였다.[4]
구법유학
낙진은 경덕국사가 입적한 후에는 대각국사 의천(大覺國師 義天)에게 사사(師事)하였으며, 1085년(선종 2) 의천이 송나라에 가자 왕명으로 뒤따라갔다.[5] 그곳에서 낙진은 의천과 함께 철종(哲宗) 황제를 만나고, 화엄종(華嚴宗)의 승려인 유성법사(有誠法師)와 항주 혜인원(抗州 惠因院)의 진수법사(晉水法師)를 만나 불법을 배웠다. 이후 낙진은 1086년(선종 3) 귀국하였다.[6]
활동
낙진은 의천이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과 『원종문류(圓宗文類)』를 편집할 때 그 작업을 도왔으며, 흥왕사(興王寺)에 교장도감(敎藏都監)을 두고 『속장경(續藏經)』을 조판할 때는 교정작업을 맡았다.[7]
낙진은 숙종(재위: 1095년-1105년) 때 수좌(首座)를 거쳐 승통(僧統)이 되었으며,[8] 1114년(예종 9)에는 왕사(王師)가 되어 '오공통혜(悟空通慧)'라는 법호(法號)를 받았다.[9] 이에 예종은 귀법사(歸法寺)와 법수사(法水寺)를 정진(精進)과 기도의 처소로 삼게 하였으며, 낙진은 두 절에서 주석하였다.[10]
입적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우족(右族): 적자(嫡子)의 계통. 고귀한 가문. 지방의 호족(豪族). 출처: 이지관, "합천 반야사 원경왕사 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86쪽, 주37.
- ↑ 이지관, "합천 반야사 원경왕사 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85쪽.
- ↑ 정병조, "낙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지관, "합천 반야사 원경왕사 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86쪽.
- ↑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낙진",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낙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정병조, "낙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낙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정병조, "낙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지관, "합천 반야사 원경왕사 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92쪽.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