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광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7번째 줄: 27번째 줄:
 
|능묘=  
 
|능묘=  
 
|성격= 인물
 
|성격= 인물
|유형= 문무백관
+
|유형= [[백관]]
 
}}
 
}}
  
 
=='''정의'''==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청남의 지도자로 [[대사례의궤]]의 도제조를 역임하였다.
+
조선 후기의 [[백관]] 중 문관으로 청남의 지도자이다. [[대사례의궤]]의 도제조를 역임하였다.
  
 
=='''내용'''==
 
=='''내용'''==
96번째 줄: 96번째 줄:
 
===유용한 정보===
 
===유용한 정보===
  
[[분류:궁중기록화]]
+
[[분류:궁중기록화]] [[분류:인물]] [[분류:백관]]
[[분류:인물]]
 

2017년 8월 20일 (일) 01:19 판

오광운(吳光運)
대표명칭 오광운
한자표기 吳光運
생몰년 1689년-1745년
본관 동복(同福)
시호 충장(忠章)
약산(藥山)
영백(永伯)
시대 조선
대표저서 약산만고
대표직함 개성부 유수, 예조참판, 부사과, 대가산, 대사헌
배우자 권경의 딸 권씨
돈녕부도정 오상순
안후열의 딸 광주 안씨
자녀 병조좌랑 오대관, 오대성
성격 인물
유형 백관



정의

조선 후기의 백관 중 문관으로 청남의 지도자이다. 대사례의궤의 도제조를 역임하였다.

내용

관직

1714년(숙종 40) 사마시에 급제하였고, 1719년(숙종 45)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설서에 올라 연잉군의 서연관이 되었으며 승지를 지냈다. 1728년(영조 4) 홍문관 수찬, 교리 및 동부승지를 역임하였다. 3월 이인좌(李麟佐)의 난이 일어나자 대비할 것을 주장하였다. 영조의 탕평책을 지지하여 당인 가운데 뛰어난 인물들을 고루 등용할 것을 주장하였다. 1737년(영조 13) 대사간을 거쳐 1740년(영조 16) 부사과가 되었다. 이 때 소론인 원경하 등과 함께 다시 대탕평론을 주장하였다. 1743년(영조 19) 예조참판을 역임하였고, 다음해 사직을 거쳐 개성부 유수가 되었다.

학문

어려서부터 문장에 뛰어났고 『반계수록(磻溪隨錄)』의 서문을 썼다. 저서로 『약산만고』가 있다. 이 책에는 탕평론과 이인좌의 난, 화폐의 유통문제, 역사평론 등의 내용이 있다.

사후

이조판서와 대제학에 추증되어 1788년(정조 12) ‘충장(忠章)’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오광운 대사례의궤 A는 B를 담당하였다
오상순 오광운 A는 B의 아버지이다
안후열 오광운 A는 B의 외조부이다
광주 안씨 오광운 A는 B의 어머니이다
권경 오광운 A는 B의 장인이다
권씨 오광운 A는 B의 아내이다
오대관 오광운 A는 B의 장남이다
오대성 오광운 A는 B의 차남이다
오광운 약산만고 A는 B를 저술하였다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네이버 지식백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