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갤러리)
(참고문헌)
100번째 줄: 100번째 줄: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3580000,11&flag=Y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3580000,11&flag=Y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27400&cid=40942&categoryId=33382 영전사지 보제존자사리탑]",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27400&cid=40942&categoryId=33382 영전사지 보제존자사리탑]",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4898 원주 영전사 터 보제존자사리탑]", 주요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소장품』<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
+
*"[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4898 원주 영전사 터 보제존자사리탑]", 주요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소장품』<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
  
  
 
{{승탑비문 Top icon}}
 
{{승탑비문 Top icon}}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승탑]] [[분류:승탑/검토요청]]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승탑]] [[분류:승탑/검토요청]]

2017년 7월 26일 (수) 21:37 판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原州 令傳寺址 普濟尊者塔)
답사 이후 추가 예정
대표명칭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영문명칭 Stupas of Buddhist Monk Boje from Yeongjeonsa Temple Site, Wonju
한자 原州 令傳寺址 普濟尊者塔
주소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제358호
문화재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소유자 국유
관리자 국립중앙박물관
크기 높이 3.92m
건립시대 고려시대
관련승려 혜근(慧勤)
관련탑비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정의

강원도 원주시 영전사지(令傳寺址)에서 발견된 고려 말의 승려 혜근(慧勤, 1320-1376)승탑.

내용

개요

고려 후기의 승려인 혜근(慧勤)의 사리탑으로 모두 2기이다.[1] 혜근은 고려 후기의 고승으로 호는 나옹(懶翁), 시호는 선각(禪覺)이며 1371년(공민왕 18)에 왕사(王師)가 되어 왕으로부터 보제존자(普濟尊者)라는 호를 받았다.[2]

두 탑은 보통 승려의 사리탑과는 달리 석탑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더욱이 거의 같은 양식으로 2기를 건립하였다는 점도 특이한 예이다.[3]

이 탑들은 1915년 일본인에 의해 경복궁(景福宮)으로 옮겨졌고, 1990년에는 당시 국립중앙박물관(현 국립고궁박물관) 정원으로 이전되었으며, 현재는 용산에 있는 국립중앙박물관 야외 전시장에 있다.[4]

이 탑들이 있었던 영전사지(令傳寺址)는 관련 기록이 전혀 전해지지 않으며, 1912년에 이 탑들을 조사하였던 세키노 다다시(關野貞)는 “폐영전사지”로 기록하고 있어 당시에도 유래를 알 수 없을 정도로 황폐화된 절터였던 것으로 보인다.[5]

출토유물

1915년 탑들을 원래의 위치에서 서울로 옮길 때 두 탑 모두에서 사리장엄구(舍利莊嚴具)가 발견되었으며, 한 탑에서는 약 20cm 정사각형의 납석제(蠟石製) 탑지(塔誌)[6]가 발견되었다.[7]

동탑과 서탑에서 출토된 사리장엄구에는 시주자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고, 탑지 앞뒤 면에는 보제존자의 사리를 1과씩 각각 주탑(主塔)과 동탑에 봉안한다는 내용과 공덕주, 장인(匠人)의 이름들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홍무 21년(1388) 무진 4월에 목사(牧使) 강은(姜隱)이 이를 기록하였음이 새겨져 있어, 두 탑 모두 1388년에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8]


Quote-left.png 도인(道人) 각수(覺修)가 왕사(王師) 보제존자(普濟尊者)의 사리(舍利) 1과(粿)를 주탑(主塔)에 안치(安置)하였고, 비구니(比丘尼) 묘관(妙寬)도 보제존자(普濟尊者)의 사리 1과를 동탑(東塔)에 봉안(奉安)하였다.

대공덕주(大功德主) 봉익대부(奉翊大夫) 서윤현(徐允賢)의 법명(法名)은 각희(覺喜)이며, 처씨(妻氏)는 단산군부인(丹山郡夫人) 장씨(張氏)이니 법명(法名)은 묘연(妙然)이다. (이상은 전면부분(前面部分)이다)
석수(石手)는 도인(道人) 각훈(覺訓)이고
노야(爐冶)는 도인(道人) 각청(覺淸)이며
권화(勸化) 비구(比丘)는 각여(覺如)이다.
홍무(洪武) 21년(1388) 무진(戊辰) 4월 일에 기록한다.
목사(牧使)는 강은(姜隱)이다. (이상은 후면부분(後面部分)이다)
시주(施主) 원로(元老)
시주(施主) 원씨(元氏)
시주(施主) 원룡(元龍) (동함(銅盒)에 점각(點刻)하였다)

Quote-right.png
출처: "영전사지보제존자사리탑",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양주 회암사 나옹선사부도 혜근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1381년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혜근 A는 B를 위한 비이다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혜근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1379년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혜근 A는 B를 위한 비이다 1379년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혜근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1388년
양주 회암사 나옹선사부도 양주 회암사 A는 B에 있다
양주 회암사 선각왕사비 양주 회암사 A는 B에 있다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여주 신륵사 A는 B에 있다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여주 신륵사 A는 B에 있다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있다
혜근 순천 송광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혜근 양주 회암사 A는 B를 중창하였다
혜근 양주 회암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혜근 여주 신륵사 A는 B에서 입적하였다 1376년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2.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혜근",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4. 강병희,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강병희,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탑을 세우게 된 내력이나 시주자 등의 이름을 적은 글로 탑 내부에서 발견된다. 주로 금속이나 돌에 새겨 넣는 경우가 많은데, 탑의 제작 연대를 아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솔출판사 편집부, 『한국 미의 재발견 - 용어 모음』, 솔출판사, 2008. 온라인 참조: "탑지",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7. "영전사지 보제존자사리탑",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8. 강병희,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9. "천왕사 은도금 집모양 육각 사리기", 주요 소장품 검색, 『소장품』online, 국립중앙박물관.
  10. "천왕사 석제 사리 항아리", 주요 소장품 검색, 『소장품』online, 국립중앙박물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