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군위 인각사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24번째 줄: 24번째 줄:
 
[[군위 인각사|인각사(麟角寺)]]의 창건과 관련해서는 두 가지 설이있다. 하나는 642년에 [[의상|의상(義湘)]]이 창건했다는 것이고, 또 하나는 643년에 [[원효|원효(元曉)]]가 창건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642년이면 의상(625~702)이 불과 18세 때이고, 원효(617~686) 648년에 황룡사에서 출가한 것으로 알려져있어 두 가지 설 모두 신빙성이 떨어진다.<ref>사찰문화연구원, 『전국사찰총서16 - 경북의 전통사찰Ⅲ』, 사찰문화연구원, 2001, 136쪽.</ref> 1991년 말 경북대학 박물관에서 실시한 발굴조사를 통해 대웅전터로 추정되는 기단부에서 통일신라시대의 유구가 확인되어 신라 말기에는 이미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3742 군위 인각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군위 인각사|인각사(麟角寺)]]의 창건과 관련해서는 두 가지 설이있다. 하나는 642년에 [[의상|의상(義湘)]]이 창건했다는 것이고, 또 하나는 643년에 [[원효|원효(元曉)]]가 창건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642년이면 의상(625~702)이 불과 18세 때이고, 원효(617~686) 648년에 황룡사에서 출가한 것으로 알려져있어 두 가지 설 모두 신빙성이 떨어진다.<ref>사찰문화연구원, 『전국사찰총서16 - 경북의 전통사찰Ⅲ』, 사찰문화연구원, 2001, 136쪽.</ref> 1991년 말 경북대학 박물관에서 실시한 발굴조사를 통해 대웅전터로 추정되는 기단부에서 통일신라시대의 유구가 확인되어 신라 말기에는 이미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3742 군위 인각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이후 고려 때 크게 중창하였고, [[일연|일연(一然)]]이 1284년(충렬왕 10)부터 5년간 이 절에서 머물며 『[[삼국유사|삼국유사(三國遺事)]]』를 지은 장소로 널리 알려져 있다. 지금 인각사에는 법당과 두 채의 건물이 남아 있으며, 중요문화재로 인각사 보각국사 탑과 비가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3740000,37 군위 인각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검색』<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이후 고려 때 크게 중창하였고, [[일연|일연(一然)]]이 1284년(충렬왕 10)부터 5년간 이 절에서 머물며 『[[삼국유사|삼국유사(三國遺事)]]』를 지은 장소로 널리 알려져 있다. 1992년 이후 5차에 걸친 발굴조사를 마쳤고, 이를 토대로 2010년부터 2017년까지 8년간 국비 등 총 113억 원을 투입하여 인각사 복원사업을 추진중이다.<ref>"[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4441 인각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지금 인각사에는 법당과 두 채의 건물이 남아 있으며, 중요문화재로 인각사 보각국사 탑과 비가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3740000,37 군위 인각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검색』<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2017년 7월 18일 (화) 21:09 판

군위 인각사지
(軍威 麟角寺址)
대표명칭 군위 인각사지
한자 軍威 麟角寺址
주소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삼국유사로 250(화북리 612)
문화재 지정번호 사적 제374호
문화재 지정일 1992년 05월 28일
교구정보 대한불교조계종
건립시기 642년
경내문화재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군위 인각사 삼층석탑, 군위 인각사 미륵당 석불좌상,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



정의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화북리에 있는 고려시대 절터이다.

내용

인각사(麟角寺)의 창건과 관련해서는 두 가지 설이있다. 하나는 642년에 의상(義湘)이 창건했다는 것이고, 또 하나는 643년에 원효(元曉)가 창건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642년이면 의상(625~702)이 불과 18세 때이고, 원효(617~686) 648년에 황룡사에서 출가한 것으로 알려져있어 두 가지 설 모두 신빙성이 떨어진다.[1] 1991년 말 경북대학 박물관에서 실시한 발굴조사를 통해 대웅전터로 추정되는 기단부에서 통일신라시대의 유구가 확인되어 신라 말기에는 이미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2]

이후 고려 때 크게 중창하였고, 일연(一然)이 1284년(충렬왕 10)부터 5년간 이 절에서 머물며 『삼국유사(三國遺事)』를 지은 장소로 널리 알려져 있다. 1992년 이후 5차에 걸친 발굴조사를 마쳤고, 이를 토대로 2010년부터 2017년까지 8년간 국비 등 총 113억 원을 투입하여 인각사 복원사업을 추진중이다.[3] 지금 인각사에는 법당과 두 채의 건물이 남아 있으며, 중요문화재로 인각사 보각국사 탑과 비가 있다.[4]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군위 인각사지 A는 B에 있다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군위 인각사지 A는 B에 있다
군위 인각사 삼층석탑 군위 인각사지 A는 B에 있다
군위 인각사 미륵당 석불좌상 군위 인각사지 A는 B에 있다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 군위 인각사지 A는 B에 있다
일연 군위 인각사지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일연 A는 B를 위한 비이다
삼국유사 군위 인각사지 A는 B와 관련있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284년 일연군위 인각사에 주석하며 삼국유사를 저술하였다
1289년 일연군위 인각사에서 입적하였다
1362년 군위 인각사에 무무당이 건립되었다
1407년 군위 인각사가 자복사찰로 지정되었다
1890년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가 훼손되었다
1992년 군위 인각사지에 대한 발굴조사가 시작되었다
2010년 군위 인각사지에 대한 복원사업이 시작되었다

주석

  1. 사찰문화연구원, 『전국사찰총서16 - 경북의 전통사찰Ⅲ』, 사찰문화연구원, 2001, 136쪽.
  2. "군위 인각사지", 『두산백과』online.
  3. "인각사", 『조선왕조실록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군위 인각사지, 『문화재검색』online, 문화재청.

참고문헌

  • 김진덕, 「군위 인각사지 5차발굴조사 개보」, 신라사학보 15호, 2009, 271~296쪽.
  • 박기용, 『문학:명저의 탐방; 삼국유사의 산실 인각사』, 선비문화 1권 0호, 2004.
  • 사찰문화연구원, 『전국사찰총서16 - 경북의 전통사찰Ⅲ』, 사찰문화연구원, 2001.
  • 황원갑, 『고승과 명찰』, 바움, 2010.
  • 이민수(역), 『신증동국여지승람』제 27권 경상도 의흥현, 1969. 온라인 참조: "의흥현", 신증동국여지승람 제 27권 경상도 의흥현, 『한국고전종합DB』online, 한국고전번역원.
  • "⑬군위 인각사" 『금강신문』, 작성일: 2009년 3월 20일.
  • "군위인각사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인각사", 『조선왕조실록사전 』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군위 인각사지", 『두산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