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대대(왕실여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궁중기록화관 Top icon}}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식정보
 
{{복식정보
|사진=  
+
|사진= 궁중기록화 복식 대대후수01 영친왕비 고궁박물관.jpg
|사진출처=  
+
|사진출처= 영친왕비(英親王妃)의 대대와 후수,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대표명칭= 대대
 
|대표명칭= 대대
 
|한자표기= 大帶
 
|한자표기= 大帶
11번째 줄: 11번째 줄:
 
}}
 
}}
  
==정의==
+
=='''정의'''==
대례복인 [[적의]] 차림을 할 때 겉옷 위로 허리에 띠는 비단띠이다. 큰 띠라 하여 붙여진 명칭이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11쪽.</ref>
+
조선시대 [[왕비]]와 [[왕세자빈]], 대한제국시대 [[황후]]와 [[황태자비]]가 국가의 큰 [[제례]]에 참여하거나 [[혼례]]를 올릴 때 또는 [[책례]]를 받는 등 [[적의]]를 착용할 때 겉옷 위로 허리에 띠는 띠이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11쪽.</ref>
  
==내용==
+
=='''내용'''==
===복식구성===
+
전체 형태는 허리에 두르는 부분인 ‘[[요|요(繞)]]’와 아래로 늘어뜨린 부분인 ‘[[신|신(紳)]]’으로 이루어져 있고, <ref>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61~62쪽.</ref> 가장자리에 선이 둘러져 있다. 양 옆에 달린 청색 끈으로 배 앞에서 묶어 고정한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11쪽.</ref> [[숙종-인현왕후가례]]에는 대홍색 [[대대(왕실여성)]]에 초록색으로 선을 두르고 안감은 흰색을 사용했흐며 [[숙종-인원왕후가례]] 이후에는 모두 초록색 [[대대(왕실여성)]]에 대홍색으로 선을 두르고 흰색으로 안을 둘렀다. 이후 [[상방정례|『상방정례』]]에도 초록색 [[대대(왕실여성)]]에 대홍색 선을 두르고 흰색으로 안을 두른다고 했으나, [[국조속오례의보서례|『국조속오례의보서례』]]에는 홍색 단으로 겉을 하고 백색 릉(綾)을 안감으로 하여 만든 후 녹색 선[綠緣]을 두른다고 하여 홍색 [[대대(왕실여성)]]를 띠었음을 알 수 있다. 대한제국 시기에는 백색 겉감에 다홍색 안감을 대고 녹색 선을 둘렀다.<ref>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3, 113쪽.</ref>
===착용신분===
 
[[황후]], [[왕비]], [[황태자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등이 착용한다.  
 
  
===착용상황===
+
=='''지식 관계망'''==
국가의 큰 [[제례]]를 올리거나 [[혼례]]를 올릴 때 또는 책봉을 받을 때<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00쪽.</ref> 등에 착용한다.
 
 
 
===형태===
 
허리에 두리는 요(繞)와 아래로 늘어뜨리는 신(紳)으로 되어 있고, 가장자리에 선이 둘러져 있다. 양 옆에 달린 청색 끈으로 배 앞에서 묶어 고정한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11쪽.</ref>
 
숙종인현왕후가례에는 대홍대대에 초록색으로 선을 두르고 안감은 흰색을 사용했흐며 숙종인원왕후 이후에는 모두 초록색 대대에 대홍색으로 선을 두르고 흰색으로 안을 둘렀다. 이후 『상방정례』에도 초록대대에 대홍색 선을 두르고 흰색으로 안을 두른다고 했으나. 『국조속오례의보서례』에는 홍단으로 겉을 하고 백릉(白綾)을 안감으로 하여 만든 후 녹색 선[녹연(綠緣)]을 두른다고 하여 홍색대대를 띠었음을 알 수 있다. 대한제국 시기에는 백색 겉감에 다홍색 안감을 대고 녹색 선을 둘렀다.<ref>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3, 113쪽.</ref>
 
 
 
===기타===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항목A!!항목B!!관계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황후]] ||  대대(왕실여성)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황태자비]] ||  대대(왕실여성)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왕비]] || 대대(왕실여성)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왕세자빈]] || 대대(왕실여성)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왕세손빈]] ||  대대(왕실여성)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황후의 대례복]] ||  대대(왕실여성)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 '''{{PAGENAME}}''' || [[왕비]] || A는 B를 착용하였다
+
|[[황태자비의 대례복]] ||  대대(왕실여성)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 '''{{PAGENAME}}''' || [[왕세자빈]] || A는 B를 착용하였다
+
|[[왕비의 대례복]] ||  대대(왕실여성)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 '''{{PAGENAME}}''' || [[왕세손빈]] || A는 B를 착용하였다
+
|[[왕세자빈의 대례복]] ||  대대(왕실여성)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PAGENAME}}''' || [[홍장삼]] || A는 B에 착용한다
+
대대(왕실여성) || [[적의]]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PAGENAME}}'''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 대대(왕실여성)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A ekc:mentions B
 
|}
 
|}
 
===시간정보===
 
===시간정보===
48번째 줄: 48번째 줄:
 
===공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
=='''시각자료'''==
 
===갤러리===
 
===갤러리===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55번째 줄: 55번째 줄:
 
===영상===
 
===영상===
  
==주석==
+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참고문헌==
+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 金永才, 「法服衍義 -여자 법복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
* 김소현ㆍ안인실ㆍ장정윤, 「조선시대 적의의 용례와 제작에 대한 고찰」, 『服飾』 57권 6호, 한국복식학회, 2007.
 +
* 김연자, 「조선왕조 왕세자빈 적의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 金永才, 「法服衍義 -여자법복을 중심으로- 」,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
* 林柍住, 「翟衣에 關한 硏究」,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
 +
* 朴聖實, 「翟衣制度의 變遷 硏究」, 『服飾』 9권, 1985.
 +
* 白英子, 「嘉禮都監을 通해 본 李朝 宮中法服의 變遷」, 『한국의류학회지』 1권 2호, 1977.
 +
* 백영자, 「嘉禮都監을 통해 본 법복(翟衣)의 附隨服飾 의대(露衣, 長衫)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권 1호, 한국의류학회. 1978.
 +
* 백영자․김정진, 「조선시대 『嘉禮都監儀軌』의 班次圖에 나타난 服飾 연구」, 『韓國衣類學會誌』 14권 2호, 한국의류학회, 1990.
 +
* 유송옥, 「조선왕조시대 가례도감의궤와 그에 나타난 복식」, 『大東文化硏究』 20,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1986.
 +
* 유송옥, 『朝鮮王朝 宮中儀軌服飾』 , 수학사, 1991.
 +
* 이경자, 「『嘉禮都監儀軌』의 服飾 硏究」, 『服飾』 1권, 한국복식학회. 1977.
 +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
* 이은주, 「『덕온공주가례등록』을 통해 본 공주가례복식」, 『한국복식』 30,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12.
 +
* 임명미, 「우리나라 翟衣의 由來와 制度에 관한 考察」,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5.
 +
* 洪那英ㆍ柳喜卿, 「朝鮮王朝의 王妃法服에 관한 硏究」, 『服飾』 7권, 1983.
  
 
===더 읽을거리===
 
===더 읽을거리===

2017년 9월 15일 (금) 17:19 판


대대
(大帶)
영친왕비(英親王妃)의 대대와 후수,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대표명칭 대대
한자표기 大帶
구분
착용신분 황후, 왕비, 황태자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착용성별 여성



정의

조선시대 왕비왕세자빈, 대한제국시대 황후황태자비가 국가의 큰 제례에 참여하거나 혼례를 올릴 때 또는 책례를 받는 등 적의를 착용할 때 겉옷 위로 허리에 띠는 띠이다.[1]

내용

전체 형태는 허리에 두르는 부분인 ‘요(繞)’와 아래로 늘어뜨린 부분인 ‘신(紳)’으로 이루어져 있고, [2] 가장자리에 선이 둘러져 있다. 양 옆에 달린 청색 끈으로 배 앞에서 묶어 고정한다.[3] 숙종-인현왕후가례에는 대홍색 대대(왕실여성)에 초록색으로 선을 두르고 안감은 흰색을 사용했흐며 숙종-인원왕후가례 이후에는 모두 초록색 대대(왕실여성)에 대홍색으로 선을 두르고 흰색으로 안을 둘렀다. 이후 『상방정례』에도 초록색 대대(왕실여성)에 대홍색 선을 두르고 흰색으로 안을 두른다고 했으나, 『국조속오례의보서례』에는 홍색 단으로 겉을 하고 백색 릉(綾)을 안감으로 하여 만든 후 녹색 선[綠緣]을 두른다고 하여 홍색 대대(왕실여성)를 띠었음을 알 수 있다. 대한제국 시기에는 백색 겉감에 다홍색 안감을 대고 녹색 선을 둘렀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황후 대대(왕실여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황태자비 대대(왕실여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비 대대(왕실여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세자빈 대대(왕실여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세손빈 대대(왕실여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황후의 대례복 대대(왕실여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태자비의 대례복 대대(왕실여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비의 대례복 대대(왕실여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세자빈의 대례복 대대(왕실여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대대(왕실여성) 적의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대대(왕실여성) 의궤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A ekc:mentions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11쪽.
  2.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61~62쪽.
  3.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11쪽.
  4.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3, 113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金永才, 「法服衍義 -여자 법복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 김소현ㆍ안인실ㆍ장정윤, 「조선시대 적의의 용례와 제작에 대한 고찰」, 『服飾』 57권 6호, 한국복식학회, 2007.
  • 김연자, 「조선왕조 왕세자빈 적의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金永才, 「法服衍義 -여자법복을 중심으로- 」,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 林柍住, 「翟衣에 關한 硏究」,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
  • 朴聖實, 「翟衣制度의 變遷 硏究」, 『服飾』 9권, 1985.
  • 白英子, 「嘉禮都監을 通해 본 李朝 宮中法服의 變遷」, 『한국의류학회지』 1권 2호, 1977.
  • 백영자, 「嘉禮都監을 통해 본 법복(翟衣)의 附隨服飾 의대(露衣, 長衫)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권 1호, 한국의류학회. 1978.
  • 백영자․김정진, 「조선시대 『嘉禮都監儀軌』의 班次圖에 나타난 服飾 연구」, 『韓國衣類學會誌』 14권 2호, 한국의류학회, 1990.
  • 유송옥, 「조선왕조시대 가례도감의궤와 그에 나타난 복식」, 『大東文化硏究』 20,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1986.
  • 유송옥, 『朝鮮王朝 宮中儀軌服飾』 , 수학사, 1991.
  • 이경자, 「『嘉禮都監儀軌』의 服飾 硏究」, 『服飾』 1권, 한국복식학회. 1977.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 이은주, 「『덕온공주가례등록』을 통해 본 공주가례복식」, 『한국복식』 30,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12.
  • 임명미, 「우리나라 翟衣의 由來와 制度에 관한 考察」,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5.
  • 洪那英ㆍ柳喜卿, 「朝鮮王朝의 王妃法服에 관한 硏究」, 『服飾』 7권, 1983.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