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비문) |
|||
29번째 줄: | 29번째 줄: | ||
===비문=== | ===비문=== | ||
− | 비문의 내용은 국사가 산양에서 태어나 [[청도 운문사|운문사]] 연실선사(淵實禪師)에게 출가하여 승과에 급제하고 조계산에 가서 [[지눌|보조국사]]에 법요를 묻고 [[나주 문성암]]에서 [[능엄경]]을 열람하고 유점사 주지를 지내고 서울에 가서 [[강종]]·[[희종]]·[[고종]]의 우대를 받고 [[포항 보경사]] 주지를 지냈으며 기도와 덕행으로 감응을 많이 남기고 입적한 생애를 기술하였다. | + | 비문의 내용은 국사가 산양에서 태어나 [[청도 운문사|운문사]] 연실선사(淵實禪師)에게 출가하여 승과에 급제하고 조계산에 가서 [[지눌|보조국사]]에 법요를 묻고 [[나주 문성암]]에서 [[능엄경]]을 열람하고 유점사 주지를 지내고 서울에 가서 [[강종]]·[[희종]]·[[고종]]의 우대를 받고 [[포항 보경사]] 주지를 지냈으며 기도와 덕행으로 감응을 많이 남기고 입적한 생애를 기술하였다.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2017년 6월 9일 (금) 17:55 판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浦項 寶鏡寺 圓眞國師碑) |
|
대표명칭 |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
---|---|
영문명칭 | Stele for State Preceptor Wonjin at Bogyeongsa Temple, Pohang |
한자 | 浦項 寶鏡寺 圓眞國師碑 |
주소 | 경북 포항시 북구 송라면 보경로 523, 보경사 (중산리)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252호 |
문화재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
찬자 | 이공로(李公老) |
서자 | 김효인(金孝印) |
승려 | 원진(圓眞) |
승탑 |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
|
정의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송라면 포항 보경사에 있는 원진국사 승형(圓眞國師 承逈, 1171-1221)의 탑비.
내용
개요
비신 높이 183cm, 너비 104cm, 두께 17cm.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는 이수가 없는 형식으로 비신 상단 양 끝을 접듯이 잘라놓았다.[1] 넓다란 바닥돌과 하나의 돌로 이루어진 거북받침돌은 여의주를 물고 있는 용머리를 하고 있다. 등에는 6각형의 무늬마다 ‘왕(王)’자를 질서정연하게 새겨놓았으며, 등 중앙에는 연꽃을 둘러 새긴 네모난 받침대를 조각하여 비몸을 끼워두게 하였다. 비몸의 둘레에는 덩굴무늬가 장식되어 있는데 이 역시 고려 중기의 특색이라 할 수 있다.[2] 비문은 당대의 문신 이공로(李公老)가 구양순체(歐陽詢體)로 지었고 김효인(金孝印)이 썼다.[3] 현재 보물 제252호에 지정되어있다.
비문
비문의 내용은 국사가 산양에서 태어나 운문사 연실선사(淵實禪師)에게 출가하여 승과에 급제하고 조계산에 가서 보조국사에 법요를 묻고 나주 문성암에서 능엄경을 열람하고 유점사 주지를 지내고 서울에 가서 강종·희종·고종의 우대를 받고 포항 보경사 주지를 지냈으며 기도와 덕행으로 감응을 많이 남기고 입적한 생애를 기술하였다.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 원진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 이공로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 김효인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김세호,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문화재검색』online . 문화재청 - ↑ 김세호,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