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고리(여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Monica-jang (토론 | 기여) (→착용신분) |
Monica-jang (토론 | 기여) (→정의) |
||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조선시대 | + | 조선시대 남자·여자 상의류를 총칭하는 용어이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10쪽.</ref> |
==내용== | ==내용== |
2017년 6월 8일 (목) 17:16 판
저고리 (赤古里) |
|
[[file:|360px|thumb|center|]] | |
대표명칭 | 저고리 |
---|---|
한자표기 | 赤古里 |
착용신분 | 황후, 황태자비,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외명부, 궁녀 |
착용성별 | 여성 |
목차
정의
조선시대 남자·여자 상의류를 총칭하는 용어이다.[1]
내용
복식구성
착용신분
황후, 황태자비,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외명부, 궁녀등 모든 신분이 귀천 없이 착용한다.
착용상황
일상적인 상황에서는 겉옷으로 예복에는 받침옷으로 입는 상의류이다.
형태
여자 저고리는 외의의 성격이 강하여 장식적인 경향이 있다. 구성방법에 따라 홑(單), 겹(裌), 누비(衲), 솜(襦) 등으로 수식 되었으며 길이와 구성상의 차이 색상 그리고 소재 깃의 형태 등의 차이에 따라 소(小), 장(長), 당(唐), 회장(回粧)의 수식어가 붙어 더 다양하게 나뉘며 시대에 따라서는 길이가 점차 짧아지고 품이 작아지는 경향이 보인다. 깃의 형태는 16세기까지 목판깃이 일반적이었으나 17세기 초에 당코 목판깃으로 변화되었다가 19세기에 당코 둥그레깃으로그리고 20세기에는 둥그레깃으로 변화되었다.[2]
기타
문헌에 보이는 ‘저고리’라는 명칭은 세종 2년(1420) 원경왕후국상 천전의(薦奠儀)에 처음 나타난다.[3] 1483년 편찬된 『악학궤범(樂學軌範)』 여기(女妓) 복식중에도 깃, 끝동, 무에 금선(金線)을 댄 장저고리 형태의 도상이 있고 여기에 ‘남저고리(藍赤古里)’라고 기록되어 있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
저고리(여성) | 왕비 | A는 B를 착용하였다 |
저고리(여성) | 왕세자빈 | A는 B를 착용하였다 |
저고리(여성) | 왕세손빈 | A는 B를 착용하였다 |
저고리(여성) | 치마 | A는 B에 착용한다 |
저고리(여성) | 악학궤범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10쪽.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11쪽.
- ↑ 『世宗實錄』 세종 2년 9월 13일 : “……粉紅綾裌長衫一, 紫的段子裌隔音一, 粉紅段子繡甫老一, 紅段子赤古里一, 藍羅裌赤亇一, 帛綾裌襪裙一, 白苧布襪裙一, 白綃汗衫一, …….”
- ↑ 문화재청,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② 복식․자수편, 문화재청 무형문화재과, 2006, 21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