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가상현실)
(목록)
27번째 줄: 27번째 줄:
  
 
===목록===
 
===목록===
예관(禮關), 의궤(儀軌), 논상(論賞), 일방(一房), 이방(二房), 삼방(三房), 의장색(儀仗色), 삼방옥책색(三房玉冊色), 삼방기명색(三房器皿色), 반차도(班次圖)
+
예관(禮關), 의궤(儀軌), 논상(論賞), 일방(一房), 이방(二房), 삼방(三房), 의장색(儀仗色), 삼방옥책색(三房玉冊色), 삼방기명색(三房器皿色)
 
 
 
[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b&id=uig_004&searchKeyword=&searchKeyword2=&sortField=&sortOrder=asc&dataType=&lmenuType=&listAll=&totalCount=0&currentIndex=1&pageIndex=1&pageUnit=10 국립중앙박물관 해제]<br/>  
 
[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b&id=uig_004&searchKeyword=&searchKeyword2=&sortField=&sortOrder=asc&dataType=&lmenuType=&listAll=&totalCount=0&currentIndex=1&pageIndex=1&pageUnit=10 국립중앙박물관 해제]<br/>  
 
[http://e-kyujanggak.snu.ac.kr/home/center/inspection/ins_viewInfo.jsp?setid=2415591&pos=0&total_df=1&uci=GK13061_00&c1=&c2=&c3=&sType=&sWord=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해제]
 
[http://e-kyujanggak.snu.ac.kr/home/center/inspection/ins_viewInfo.jsp?setid=2415591&pos=0&total_df=1&uci=GK13061_00&c1=&c2=&c3=&sType=&sWord=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해제]

2017년 6월 6일 (화) 17:01 판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
(仁祖莊烈王后嘉禮都監儀軌)
[[file:|360px|thumb|center|국립중앙박물관]]
대표명칭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
한자표기 仁祖莊烈王后嘉禮都監儀軌
주제 가례(嘉禮)
작성주체 가례도감(嘉禮都監)
의례담당자 신경진(申景禛)
작성지역 한성부
작성시기 1638년(인조 18년)
소장처(원소장처)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
규장각한국학연구원(강화부)
판본 필사본
표기문자 한자, 이두
수량 어람용: 총 1책 193장
강화부: 총 1책 164장
크기 어람용: 47.2×31.9
강화부: 44.4×30.4
도설 9면(채색)
반차도 8면(채색)



정의

1638년 인조(仁祖와 계비 장렬왕후(莊烈王后)의 혼례를 치르는 가례(嘉禮)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내용

1635년 인조의 정비 인렬왕후가 승하한 후 새로운 왕비를 맞이하기 위해 1638년 10월 5일 가례도감이 설치되었다. 10월 26일 장렬왕후가 최종 낙점되었으며 이후 11월 4일 납채, 11월 16일 납폐, 11월 30일 고기, 12월 2일 책비, 12월 3일 친영[1]동뢰 등에 이르는 가례 의식이 거행되었다.

목록

예관(禮關), 의궤(儀軌), 논상(論賞), 일방(一房), 이방(二房), 삼방(三房), 의장색(儀仗色), 삼방옥책색(三房玉冊色), 삼방기명색(三房器皿色) 국립중앙박물관 해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해제

판본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2524)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강화부본(奎 13061)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 규장각한국학연구원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 가례 A는 B를 기록하였다

시간정보

시간 내용
1638년 인조장렬왕후가례가 거행되었다
1638년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가 편찬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시각자료

가상현실

주석

  1. 10월 7일 인조는 태평관(太平館) 대신 어의동(於義洞) 별궁에서 친영례를 거행하도록 하였으며, 이후 입궁 전 간택된 왕비와 세자빈의 별궁으로 이용되었다.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국혼정례』
  • 『상방정례』

더 읽을거리

  • 임민혁, 『조선 국왕 장가보내기』, 글항아리, 2017.
  • 신병주, 『왕실의 혼례식 풍경』, 돌베개, 2013.
  •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저, 『조선 왕실의 혼례 이야기』,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11.
  • 이성미, 『가례도감의궤와 미술사』, 소와당, 2008.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신병주, 『66세의 영조 15세의 신부를 맞이하다』, 효형출판,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