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15번째 줄: | 15번째 줄: | ||
|수량= 어람용: 총 2책 288장(상책 150장, 하책 138장)<br/>태백산: 총 2책 291장(제1책 152장, 제2책 139장) | |수량= 어람용: 총 2책 288장(상책 150장, 하책 138장)<br/>태백산: 총 2책 291장(제1책 152장, 제2책 139장) | ||
|도설= 18면(제1책 4면, 제2책 14면)(채색) | |도설= 18면(제1책 4면, 제2책 14면)(채색) | ||
− | |반차도= 반차도 50면(제2책)(채색) | + | |반차도= 반차도 50면(제2책)(채색)<br/>각 면 크기 47.2×33.8 |
|필드수= 13 | |필드수= 13 | ||
}} | }} |
2017년 6월 2일 (금) 01:31 판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 |
|
[[file:|360px|thumb|center|국립중앙박물관]] | |
대표명칭 |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
---|---|
한자표기 | 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 |
주제 | 가례 |
작성주체 | 가례도감 |
의례담당자 | 신만(申晩) |
작성지역 | 한성부 |
작성시기 | 1759년(영조 35년) |
소장처(원소장처) |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 규장각한국학연구원(태백산) |
판본 | 필사본 |
표기문자 | 한자, 이두 |
수량 | 어람용: 총 2책 288장(상책 150장, 하책 138장) 태백산: 총 2책 291장(제1책 152장, 제2책 139장) |
도설 | 18면(제1책 4면, 제2책 14면)(채색) |
반차도 | 반차도 50면(제2책)(채색) 각 면 크기 47.2×33.8 |
목차
정의
1759년 영조(英祖와 계비 정순왕후(貞純王后)의 혼례를 치르는 가례(嘉禮)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내용
1757년 영조의 정비 정성왕후가 승하한 후 새로운 왕비를 맞이하기 위해 1759년 5월 가례도감이 설치되었다. 그리고 6월 2일 초간택, 6월 4일 재간택, 6월 9일 삼간택, 13일 납채, 17일 납폐, 19일 고기, 20일 책비, 22일 친영 및 동뢰 등에 이르는 가례 의식을 거행하였다.
해제
국립중앙박물관 해제(상책)
국립중앙박물관 해제(하책)
규장각한국학중앙연구원 해제
판본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2534), (2535)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예조본(奎 13104), 태백산본(奎 13102), 오대산본(奎 13103)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적상산성본(K2-2591)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 가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시간정보
시간 | 내용 |
---|---|
1759년 | 영조과 정순왕후의 가례가 거행되었다 |
1759년 |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가 편찬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시각자료
가상현실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국혼정례』
- 『상방정례』
더 읽을거리
- 임민혁, 『조선 국왕 장가보내기』, 글항아리, 2017.
- 신병주, 『왕실의 혼례식 풍경』, 돌베개, 2013.
-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저, 『조선 왕실의 혼례 이야기』,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11.
- 이성미, 『가례도감의궤와 미술사』, 소와당, 2008.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신병주, 『66세의 영조 15세의 신부를 맞이하다』, 효형출판,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