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첩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형태)
25번째 줄: 25번째 줄:
  
 
===형태===
 
===형태===
신분을 나타내는 비녀가 받침대에 부착되어 있고 그 양쪽에 [[다리]]가 붙어 있다. 첩지를 가르마 위에 얹은 뒤 양쪽의 다리를 원래 머리와 함께 빗어내려 쪽을 지어 고정한다. 황후는 도금 용첩지, 왕비는 도금 봉첩지를 착용했다. 내외명부는 품계에 따라 도금이나 흑색 무소뿔로 만든 개구리 첩지를 착용했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41쪽.</ref>
+
형태는 앞부분의 장식만 달랐을 뿐 7~8㎝ 길이의 동체는 모두 수평을 이루고 꼬리부분만 날씬하게 위로 향한 모양이다. 첩지는 동체만으로는 사용할 수 없으므로 받침대 위에 얹고, 받침대 양쪽으로 [[다리]]를 붙여 사용한다. 받침대 중앙에 올려놓은 첩지는 앞부분과 중앙, 꼬리부분 등 세곡을 다홍색 실로 5~7번정도 떠서 고정시키며, 받침대는 검정색 천으로 싸고 다리는 양쪽 끝부분만 조금 땋아 댕기를 드려노하 끝이 흐트러지지 않게 한다.<br/>
 +
착용방법은 첩지를 가르마 위에 얹은 뒤 양쪽의 다리를 원래 머리와 함께 빗어내려 쪽을 지어 고정한다.<br/>
 +
황후는 도금 용첩지, 왕비는 도금 봉첩지를 착용했다. 내외명부는 품계에 따라 도금이나 흑색 무소뿔로 만든 개구리 첩지를 착용했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41쪽.</ref>
  
 
===기타===
 
===기타===

2017년 5월 21일 (일) 17:41 판


첩지
(貼只)
[[file:|360px|thumb|center|]]
대표명칭 첩지
한자표기 貼只
착용신분 황후, 황태자비,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외명부, 궁녀
착용성별 여성



정의

조선시대 여성들이 평상시 혹은 예복을 입을 때 앞 가르마 위에 얹어 치장하던 장신구이다.[1]

내용

복식구성

착용신분

황후, 황태자비,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외명부, 궁녀

착용상황

평상시 혹은 예복을 입을 때 착용한다.

형태

형태는 앞부분의 장식만 달랐을 뿐 7~8㎝ 길이의 동체는 모두 수평을 이루고 꼬리부분만 날씬하게 위로 향한 모양이다. 첩지는 동체만으로는 사용할 수 없으므로 받침대 위에 얹고, 받침대 양쪽으로 다리를 붙여 사용한다. 받침대 중앙에 올려놓은 첩지는 앞부분과 중앙, 꼬리부분 등 세곡을 다홍색 실로 5~7번정도 떠서 고정시키며, 받침대는 검정색 천으로 싸고 다리는 양쪽 끝부분만 조금 땋아 댕기를 드려노하 끝이 흐트러지지 않게 한다.
착용방법은 첩지를 가르마 위에 얹은 뒤 양쪽의 다리를 원래 머리와 함께 빗어내려 쪽을 지어 고정한다.
황후는 도금 용첩지, 왕비는 도금 봉첩지를 착용했다. 내외명부는 품계에 따라 도금이나 흑색 무소뿔로 만든 개구리 첩지를 착용했다.[2]

기타

첩지는 예복을 입을 때 머리에 쓴 족두리나 화관이 흘러내리지 않게 고정하는 역할도 한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첩지 왕비 A는 B를 착용하였다
첩지 왕세자빈 A는 B를 착용하였다
첩지 왕세손빈 A는 B를 착용하였다
첩지 홍장삼 A는 B에 착용한다
첩지 의궤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91쪽.
  2.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41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