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마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Monica-jang (토론 | 기여) |
Monica-jang (토론 | 기여)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대표명칭= 견마기 | |대표명칭= 견마기 | ||
|한자표기= 肩亇只 | |한자표기= 肩亇只 | ||
− | |이칭별칭= 곁마기, 겻마기 | + | |이칭별칭= 곁마기, 겻마기[旁障衣] |
|복식구분= 관 및 쓰개 | |복식구분= 관 및 쓰개 | ||
|착용신분=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외명부]] | |착용신분=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외명부]] | ||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조선시대 | + | 조선시대 부녀자들의 의례용 저고리이다. |
==내용== | ==내용== | ||
===복식구성=== | ===복식구성=== | ||
===착용신분=== | ===착용신분=== | ||
− | 왕실 여성 및 상류층 부녀자들이 착용한다. | + | 왕실 여성 및 상류층 부녀자들이 착용한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81쪽.</ref> |
===착용상황=== | ===착용상황=== | ||
30번째 줄: | 30번째 줄: | ||
===기타=== | ===기타=== | ||
− | + | 조선 전기 유물로 볼때, 장저고리(당의)와 단저고리의 중간 길이에 해당된다. 본래 곁마기는 길이가 길어서 겨드랑이 아래 쪽 옆선 부분인 곁이 막혔다는 의미의 곁막이라는 말에서 생성된 명칭이다. 요즈음 곁막이 또는 곁마기라는 용어는 옷의 명칭으로 보다는 저고리 겨드랑이 부분의 이색 장식 조각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81쪽.</ref> | |
−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2017년 5월 21일 (일) 11:23 판
견마기 (肩亇只) |
|
[[file:|360px|thumb|center|]] | |
대표명칭 | 견마기 |
---|---|
한자표기 | 肩亇只 |
이칭별칭 | 곁마기, 겻마기[旁障衣] |
착용신분 |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외명부 |
착용성별 | 여성 |
목차
정의
조선시대 부녀자들의 의례용 저고리이다.
내용
복식구성
착용신분
왕실 여성 및 상류층 부녀자들이 착용한다.[1]
착용상황
왕실에서는 가례시와 같이 의례용이나 외출시 사용한다.
민간에서는 조선전기에는 외출 시 내외용 반드시 면사를 드리워야 했으며 조선후기에는 외출용 쓰개로 사용된 예는 나타나지 않고, 혼례시 신부가 착용한 사실만 기록으로 남아있다.[2]
형태
사각 보자기 모양이며 금박으로 길상 무늬를 입혀 장식한다.[3]
머리 위에 얹어 어깨를 가릴 정도의 길이이다.
기타
조선 전기 유물로 볼때, 장저고리(당의)와 단저고리의 중간 길이에 해당된다. 본래 곁마기는 길이가 길어서 겨드랑이 아래 쪽 옆선 부분인 곁이 막혔다는 의미의 곁막이라는 말에서 생성된 명칭이다. 요즈음 곁막이 또는 곁마기라는 용어는 옷의 명칭으로 보다는 저고리 겨드랑이 부분의 이색 장식 조각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
견마기 | 왕비 | A는 B를 착용하였다 |
견마기 | 왕세자빈 | A는 B를 착용하였다 |
견마기 | 왕세손빈 | A는 B를 착용하였다 |
견마기 | 홍장삼 | A는 B에 착용한다 |
견마기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81쪽.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300쪽.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23쪽.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8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