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첩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식정보 |이미지= |사진출처= |대표명칭= 어여머리 |한자표기= |이칭별칭= |복식구분= 수식 |착용신분= 황후...)
 
3번째 줄: 3번째 줄:
 
|이미지=  
 
|이미지=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 어여머리
+
|대표명칭= 첩지
|한자표기=  
+
|한자표기= 貼只
 
|이칭별칭=  
 
|이칭별칭=  
 
|복식구분= 수식
 
|복식구분= 수식
|착용신분= [[황후]], [[황태자비]],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외명부]], [[궁녀]]
+
|착용신분= [[황후]], [[황태자비]],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외명부]]
 
|착용성별= 여성
 
|착용성별= 여성
|관련복식= [[원삼]], [[떨잠]], [[다리]]
+
|관련복식= [[조짐머리]], [[비녀]]
 
|필드수= 10
 
|필드수= 10
 
}}
 
}}
  
 
==정의==
 
==정의==
조선시대 상류층 부인들이 예장용(禮裝用)으로 하던 머리 모양이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513쪽.</ref>
+
여성들이 평상시 혹은 예복을 입을 때 앞 가르마 위에 얹는 [[다리]]이다. 지금은 비녀 장식을 흔히 첩지라고 한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41쪽.</ref>
  
 
==내용==
 
==내용==
 
===복식구성===
 
===복식구성===
 
===착용신분===
 
===착용신분===
왕실 여성 및 상류층 부녀자들이 착용한다.
+
[[황후]], [[황태자비]],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외명부]]
  
 
===착용상황===
 
===착용상황===
조선후기 사진자료들을 보면 [[원삼]]을 착용할 때 어여머리를 한 모습을 볼 수 있다.
+
 
  
 
===형태===
 
===형태===
어여머리를 할 때에는 뒤통수에 쪽을 지고 앞머리에는 아청색 공단에 솜을 두어 만든 [[어염족두리]]를 그 위에 굵게 땋아 만든 큰 [[다리]]를 쪽 밑에서 어염족두리 위로 얹어 화려한 옥판이나 화잠으로 장식한다. 이처럼 어여머리를 할 때에는 어여머리용 다리를 받치기 위해 뒤통수에는 쪽을 지고 비녀를 꽂게 되는데 이를 또야머리라고 한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513쪽.</ref>
+
다리 중앙에는 봉이나 개구리 비녀 장식이 있다. 예복을 입을 때 머리에 족두리나 화관이 흘러내리지 않게 고정하는 역할도 한다. 신분을 나타내는 비녀가 받침대에 부착되어 있고 양쪽에 다리가 붙어 있다. 첩지를 가르마 위에 얹은 뒤 양쪽의 다리를 원래 머리와 함께 빗어내려 쪽을 지어 고정한다. 황후는 도금 용첩지, 왕비는 도금 봉첩지를 착용했다. 내외명부는 품계에 따라 도금이나 흑색 무소뿔로 만든 개구리 첩지를 착용했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41쪽.</ref><br/>
  
 
===기타===
 
===기타===
어여머리는 [[큰머리]]에 버금가는 예장용으로, 궁중이나 반가의 부녀자들이 하였고 상궁은 지밀상궁만이 하였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513쪽.</ref>
+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41번째 줄: 41번째 줄:
 
| '''{{PAGENAME}}''' || [[왕세손빈]] || A는 B를 착용하였다
 
| '''{{PAGENAME}}''' || [[왕세손빈]]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PAGENAME}}'''  || [[원삼]] || A는 B에 착용한다
+
|'''{{PAGENAME}}'''  || [[홍장삼]] || A는 B에 착용한다
 
|-
 
|-
 
|'''{{PAGENAME}}'''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PAGENAME}}'''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2017년 5월 20일 (토) 16:59 판


첩지
(貼只)
[[file:|360px|thumb|center|]]
대표명칭 첩지
한자표기 貼只
착용신분 황후, 황태자비,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외명부
착용성별 여성



정의

여성들이 평상시 혹은 예복을 입을 때 앞 가르마 위에 얹는 다리이다. 지금은 비녀 장식을 흔히 첩지라고 한다.[1]

내용

복식구성

착용신분

황후, 황태자비,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외명부

착용상황

형태

다리 중앙에는 봉이나 개구리 비녀 장식이 있다. 예복을 입을 때 머리에 쓴 족두리나 화관이 흘러내리지 않게 고정하는 역할도 한다. 신분을 나타내는 비녀가 받침대에 부착되어 있고 그 양쪽에 다리가 붙어 있다. 첩지를 가르마 위에 얹은 뒤 양쪽의 다리를 원래 머리와 함께 빗어내려 쪽을 지어 고정한다. 황후는 도금 용첩지, 왕비는 도금 봉첩지를 착용했다. 내외명부는 품계에 따라 도금이나 흑색 무소뿔로 만든 개구리 첩지를 착용했다.[2]

기타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첩지 왕비 A는 B를 착용하였다
첩지 왕세자빈 A는 B를 착용하였다
첩지 왕세손빈 A는 B를 착용하였다
첩지 홍장삼 A는 B에 착용한다
첩지 의궤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41쪽.
  2.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41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