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대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복식구성)
17번째 줄: 17번째 줄:
 
=='''내용'''==
 
=='''내용'''==
  
==복식구성==
+
===복식구성===
  
 
===착용신분===
 
===착용신분===
29번째 줄: 29번째 줄:
  
 
===기타===
 
===기타===
현존하는 유물로 유일하게 영친왕비의 대수가 있다. 사진자료로는 순정효황후와 영친왕비가 적의에 의왕비가 대례복으로 착용한 원삼에 대수를 한 모습을 볼 수 있다.  
+
현존하는 유물로 유일하게 영친왕비의 대수가 있다. 사진자료로는 순정효황후와 영친왕비가 적의에 의왕비가 대례복으로 착용한 원삼에 대수를 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시각자료==
 
==시각자료==

2017년 5월 19일 (금) 00:26 판


대수(大首)
()
[[file:|360px|thumb|center|]]
대표명칭 대수(大首)
이칭별칭 -
착용신분 왕실
착용성별 여성



정의

임진·병자 양란 이후 궁중의 제도를 정비하면서 적관(翟冠)을 구비할 수 없게 되자 국속에 따라 마련한 머리 장식이다.[1]


내용

복식구성

착용신분

황후, 왕비, 황태자비, 왕세자빈, 왕세손빈이 착용하였다.

착용상황

국가의 큰 제례를 올리거나 혼례를 올릴 때 또는 책봉을 받을 때 착용했다.[2]

형태

머리통 전체를 덮는 가발처럼 형태를 만들어 직접 머리에 쓰도록 한 것이다. 위가 높고 아래로 내려올수록 넓게 퍼지는 삼각형 모양이며, 어깨까지 넓게 펼쳐진 머리의 양쪽 끝에는 봉황 비녀를 꽂아 좌우로 팽팽하게 뻗치도록 하였다. 또한 앞머리에는 떨잠비녀 등으로 화려하게 장식했다. 뒤는 두 갈래로 머리를 땋아서 하나는 쪽을 지어 비녀를 꽂았고, 나머지는 새앙머리와 같이 둥글게 밑으로 말아 올려서 자색 댕기로 장식되어 있다.[3]

기타

현존하는 유물로 유일하게 영친왕비의 대수가 있다. 사진자료로는 순정효황후와 영친왕비가 적의에 의왕비가 대례복으로 착용한 원삼에 대수를 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시각자료

"대수머리",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조선시대 - 대수머리", 문화원형백과, 『네이버TV』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관련항목

참고문헌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주석

  1.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235쪽.
  2. 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00쪽.
  3.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235~23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