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기본 정보)
1번째 줄: 1번째 줄:
 +
{{궁중기록화관 Top icon}}
 
{{의궤정보
 
{{의궤정보
|이미지=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jpg
+
|이미지= 궁중기록화_의궤_가례_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상_외규장각.jpg
 +
|사진출처= 국립중앙박물관
 
|대표명칭=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대표명칭=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한자표기= 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
 
|한자표기= 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
|주제= [[가례|가례(嘉禮)]]
+
|주제= 가례
|작성주체= [[가례도감|가례도감(嘉禮都監)]]
+
|작성주체= [[가례도감]]
 
|의례담당자= [[신만|신만(申晩)]]
 
|의례담당자= [[신만|신만(申晩)]]
 
|작성지역= 한성부
 
|작성지역= 한성부
 
|작성시기= 1759년(영조 35년)
 
|작성시기= 1759년(영조 35년)
|소장처(원소장처)= [[국립중앙박물관]]([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a&id=uig_203&searchKeyword=&searchKeyword2=&sortField=&sortOrder=asc&dataType=&listAll=&lmenuType=&totalCount=0&currentIndex=1&pageIndex=1&pageUnit=10 어람용 상책]), [[국립중앙박물관]]([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a&id=uig_204&hl=content@%E8%8B%B1%E7%A5%96%E8%B2%9E%E7%B4%94%E7%8E%8B%E5%90%8E%E5%98%89%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5E%EC%98%81%EC%A1%B0%EC%A0%95%EC%88%9C%EC%99%95%ED%9B%84%EA%B0%80%EB%A1%80%EB%8F%84%EA%B0%90%EC%9D%98%EA%B6%A4$title@%E8%8B%B1%E7%A5%96%E8%B2%9E%E7%B4%94%E7%8E%8B%E5%90%8E%E5%98%89%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tablename@_%5E_BANCHA%5E_DOSUL%5E_HAEJE%5E_SEOJI%5Eimg%5Eimg_uig%5Euig%5Euig_bancha%5Euig_dosul%5Euig_haeje%5Euig_seoji$kname@%E8%8B%B1%E7%A5%96%E8%B2%9E%E7%B4%94%E7%8E%8B%E5%90%8E%E5%98%89%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5E%EC%98%81%EC%A1%B0%EC%A0%95%EC%88%9C%EC%99%95%ED%9B%84%EA%B0%80%EB%A1%80%EB%8F%84%EA%B0%90%EC%9D%98%EA%B6%A4 어람용 하책]),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 태백산])
+
|소장처(원소장처)=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br/>[[규장각한국학연구원]](태백산)
 
|판본= 필사본
 
|판본= 필사본
 
|표기문자= 한자, 이두
 
|표기문자= 한자, 이두
|수량= 2책 288장(상책 150장, 하책 138장): 어람용/2책 291장(제1책 152장, 제2책 139장): 태백산
+
|수량= 어람용: 총 2책 288장(상책 150장, 하책 138장)<br/>태백산: 2책 291장(제1책 152장, 제2책 139장)
|도설= 18면(제1책 4면, 제2책 14면)(채색), 반차도 50면(제2책)(채색)
+
|도설= 18면(제1책 4면, 제2책 14면)(채색)
|필드수= 12
+
|반차도= 반차도 50면(제2책)(채색), 각 면 크기 47.2×33.8
 +
|필드수= 13
 
}}
 
}}
  
 
=='''정의'''==
 
=='''정의'''==
1759년(영조 35년) [[영조|영조(英祖]], 1694~1776, 재위 1724~1776)와 [[정순왕후|정순왕후(貞純王后]]) 김씨(金氏, 1745-1805)의 혼례식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
1759년 [[영조|영조(英祖]]와 계비 [[정순왕후|정순왕후(貞純王后]])의 혼례를 치르는 가례(嘉禮) 과정을 기록한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0216300 의궤]이다.
  
 
=='''내용'''==
 
=='''내용'''==
1759년 5월 5일 [[영조]]의 명으로 [[가례]] 준비가 시작되었다. 6월 9일 [[삼간택]], 13일 [[납채|납채(納采)]], 17일 [[납징|납징(納徵)]], 19일 [[고기|고기(告期)]], 20일 왕비 [[책봉]], 22일 [[친영|친영(親迎)]] 및 [[동뢰연|동뢰연(同牢宴)]]이 거행되었다. [[창경궁]]의 [[통명전]]에서 주요 의식들이 이루어졌다고 기록되어 있다.  
+
1757년 영조의 정비 [[정성왕후]]가 승하한 후 새로운 왕비를 맞이하기 위해 1759년 5월 [[가례도감]]이 설치되었다. 그리고 6월 2일 [[초간택]], 6월 4일 [[재간택]], 6월 9일 [[삼간택]], 13일 [[납채]], 17일 [[납폐]], 19일 [[고기]], 20일 [[책비]], 22일 [[친영]] 및 [[동뢰]] 등에 이르는 가례 의식을 거행하였다.   
 
 
===목록===
 
상책: 전교(傳敎), 계사(啓辭), 예관질(禮關秩), 이문질(移文秩), 내관질(來關秩), 감결질(甘結秩), 일방의궤(一房儀軌)<br/>
 
하책: 이방의궤(二房儀軌), 삼방의궤(三房儀軌), 별공작의궤(別工作儀軌), 수리소의궤(修理所儀軌)
 
 
 
===특징===
 
[[친영]]하여 왕비를 궁궐로 맞이해 들어오는 행렬을 그린 [[반차도]]이다. 왕과 왕비의 행렬이 함께 그려진 최초의 [[의궤]]이다. 또한 비용을 줄이고 간소하게 치르도록 하라는 [[영조]]의 전교(傳敎,임금이 명령을 내림)가 기록되어 있다.
 
  
 
===해제===
 
===해제===
[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b&id=uig_203&searchKeyword=&searchKeyword2=&sortField=&sortOrder=asc&dataType=&lmenuType=&listAll=&totalCount=0&currentIndex=1&pageIndex=1&pageUnit=10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 상책 해제] <br/>
+
[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b&id=uig_203&searchKeyword=&searchKeyword2=&sortField=&sortOrder=asc&dataType=&lmenuType=&listAll=&totalCount=0&currentIndex=1&pageIndex=1&pageUnit=10 국립중앙박물관 해제(상책)]<br/>
[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a&id=uig_204&hl=content@%E8%8B%B1%E7%A5%96%E8%B2%9E%E7%B4%94%E7%8E%8B%E5%90%8E%E5%98%89%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5E%EC%98%81%EC%A1%B0%EC%A0%95%EC%88%9C%EC%99%95%ED%9B%84%EA%B0%80%EB%A1%80%EB%8F%84%EA%B0%90%EC%9D%98%EA%B6%A4$title@%E8%8B%B1%E7%A5%96%E8%B2%9E%E7%B4%94%E7%8E%8B%E5%90%8E%E5%98%89%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tablename@_%5E_BANCHA%5E_DOSUL%5E_HAEJE%5E_SEOJI%5Eimg%5Eimg_uig%5Euig%5Euig_bancha%5Euig_dosul%5Euig_haeje%5Euig_seoji$kname@%E8%8B%B1%E7%A5%96%E8%B2%9E%E7%B4%94%E7%8E%8B%E5%90%8E%E5%98%89%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5E%EC%98%81%EC%A1%B0%EC%A0%95%EC%88%9C%EC%99%95%ED%9B%84%EA%B0%80%EB%A1%80%EB%8F%84%EA%B0%90%EC%9D%98%EA%B6%A4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 하책 해제] <br/>
+
[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a&id=uig_204&hl=content@%E8%8B%B1%E7%A5%96%E8%B2%9E%E7%B4%94%E7%8E%8B%E5%90%8E%E5%98%89%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5E%EC%98%81%EC%A1%B0%EC%A0%95%EC%88%9C%EC%99%95%ED%9B%84%EA%B0%80%EB%A1%80%EB%8F%84%EA%B0%90%EC%9D%98%EA%B6%A4$title@%E8%8B%B1%E7%A5%96%E8%B2%9E%E7%B4%94%E7%8E%8B%E5%90%8E%E5%98%89%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tablename@_%5E_BANCHA%5E_DOSUL%5E_HAEJE%5E_SEOJI%5Eimg%5Eimg_uig%5Euig%5Euig_bancha%5Euig_dosul%5Euig_haeje%5Euig_seoji$kname@%E8%8B%B1%E7%A5%96%E8%B2%9E%E7%B4%94%E7%8E%8B%E5%90%8E%E5%98%89%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5E%EC%98%81%EC%A1%B0%EC%A0%95%EC%88%9C%EC%99%95%ED%9B%84%EA%B0%80%EB%A1%80%EB%8F%84%EA%B0%90%EC%9D%98%EA%B6%A4 국립중앙박물관 해제(하책)] <br/>
[http://e-kyujanggak.snu.ac.kr/home/center/inspection/ins_view.jsp?setid=686568&pos=0&total_df=1&uci=GK13102_00&sWord=%EC%98%81%EC%A1%B0%EC%A0%95%EC%88%9C%EC%99%95%ED%9B%84%EA%B0%80%EB%A1%80%EB%8F%84%EA%B0%90%EC%9D%98%EA%B6%A4 규장각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태백산본 해제]
+
[http://e-kyujanggak.snu.ac.kr/home/center/inspection/ins_view.jsp?setid=686568&pos=0&total_df=1&uci=GK13102_00&sWord=%EC%98%81%EC%A1%B0%EC%A0%95%EC%88%9C%EC%99%95%ED%9B%84%EA%B0%80%EB%A1%80%EB%8F%84%EA%B0%90%EC%9D%98%EA%B6%A4 규장각한국학중앙연구원 해제]
  
 
===판본===
 
===판본===
39번째 줄: 35번째 줄: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적상산성본(K2-259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적상산성본(K2-2591)
  
==시각 자료==
+
=='''지식 관계망'''==
===가상 현실===
+
===관계정보===
<html>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B002/S001/B00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html>
+
|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
 +
|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
 +
|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
 +
|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 [[가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
|}
  
===갤러리===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20%px"|시간!!style="width:80%px"|내용
==관련항목==
 
===문헌 → 소장처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소장한다 ||
 
 
|-
 
|-
|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A는 B에 소장한다 ||
+
| 1759년 || [[영조]]과 [[정순왕후]][[가례]]가 거행되었다
 
|-
 
|-
|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한다 ||
+
| 1759년 ||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가 편찬되었다
 
|}
 
|}
  
===문헌 → 복식 ===
+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 [[가례복]] || A는 B를 보여준다 ||
+
|  || ||  
 
|}
 
|}
  
===문헌 → 의례 ===
+
=='''시각자료'''==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가상현실===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html>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 [[가례]] || A는 B를 기록한다 ||
+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B002/S001/B00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html>
 +
 
 +
=='''주석'''==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 『국혼정례』
 +
* 『상방정례』
  
===의례 → 기관===
+
===더 읽을거리===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 임민혁, 『조선 국왕 장가보내기』, 글항아리, 2017.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신병주, 『왕실의 혼례식 풍경』, 돌베개, 2013.
|-
+
*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저, 『조선 왕실의 혼례 이야기』,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11.
| [[가례]]  || [[가례도감]] || A는 B에서 주관한다 ||
+
* 이성미, 『가례도감의궤와 미술사』, 소와당, 2008.
|}
+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 신병주, 『66세의 영조 15세의 신부를 맞이하다』, 효형출판, 2001.
  
===인물 → 복식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영조]]  || [[면복]] || A는 B를 착용한다 ||
 
|-
 
| [[정순왕후]]  || [[적의]] || A는 B를 착용한다 ||
 
|}
 
  
[[분류:궁중기록화]] [[분류:의궤]]
+
[[분류:궁중기록화]]
 +
[[분류:의궤]]

2017년 6월 2일 (금) 01:31 판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
[[file:|360px|thumb|center|국립중앙박물관]]
대표명칭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한자표기 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
주제 가례
작성주체 가례도감
의례담당자 신만(申晩)
작성지역 한성부
작성시기 1759년(영조 35년)
소장처(원소장처)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
규장각한국학연구원(태백산)
판본 필사본
표기문자 한자, 이두
수량 어람용: 총 2책 288장(상책 150장, 하책 138장)
태백산: 총 2책 291장(제1책 152장, 제2책 139장)
도설 18면(제1책 4면, 제2책 14면)(채색)
반차도 반차도 50면(제2책)(채색), 각 면 크기 47.2×33.8



정의

1759년 영조(英祖와 계비 정순왕후(貞純王后)의 혼례를 치르는 가례(嘉禮)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내용

1757년 영조의 정비 정성왕후가 승하한 후 새로운 왕비를 맞이하기 위해 1759년 5월 가례도감이 설치되었다. 그리고 6월 2일 초간택, 6월 4일 재간택, 6월 9일 삼간택, 13일 납채, 17일 납폐, 19일 고기, 20일 책비, 22일 친영동뢰 등에 이르는 가례 의식을 거행하였다.

해제

국립중앙박물관 해제(상책)
국립중앙박물관 해제(하책)
규장각한국학중앙연구원 해제

판본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2534), (2535)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예조본(奎 13104), 태백산본(奎 13102), 오대산본(奎 13103)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적상산성본(K2-2591)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규장각한국학연구원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가례 A는 B를 기록하였다

시간정보

시간 내용
1759년 영조정순왕후가례가 거행되었다
1759년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가 편찬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시각자료

가상현실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국혼정례』
  • 『상방정례』

더 읽을거리

  • 임민혁, 『조선 국왕 장가보내기』, 글항아리, 2017.
  • 신병주, 『왕실의 혼례식 풍경』, 돌베개, 2013.
  •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저, 『조선 왕실의 혼례 이야기』,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11.
  • 이성미, 『가례도감의궤와 미술사』, 소와당, 2008.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신병주, 『66세의 영조 15세의 신부를 맞이하다』, 효형출판,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