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항목)
26번째 줄: 26번째 줄:
 
작가는 지배와 복종의 대조되는 시선과 화려한 의상을 통해 지휘자를 부각시킴으로써 지휘자가 상징적인 풍경에 대해서도 지배력을 행사할 수 있는 힘을 갖게 하고 있다.<ref>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년, 95쪽.</ref>
 
작가는 지배와 복종의 대조되는 시선과 화려한 의상을 통해 지휘자를 부각시킴으로써 지휘자가 상징적인 풍경에 대해서도 지배력을 행사할 수 있는 힘을 갖게 하고 있다.<ref>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년, 95쪽.</ref>
  
=='''시각적 안내'''==
+
===그림 읽기===
 
*그림 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그림 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41번째 줄: 41번째 줄:
 
</gallery>
 
</gallery>
  
=='''관련 민족기록화'''==
+
=='''지식 관계망'''==
<gallery mode=packed caption="군사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font color="red">'''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font>
파일:이종상-태종무열왕-1976s.jpg|신라시대 [[이종상-태종무열왕]]
 
파일:최대섭-화약제조(최무선)-1979s.jpg|조선시대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파일:신영상-백마산성훈련(임경업)-1976s.jpg|조선시대 1634년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gallery>
 
  
=='''관련항목'''==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80번째 줄: 76번째 줄:
 
|}
 
|}
  
=='''시간정보'''==
+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102번째 줄: 98번째 줄:
 
|}
 
|}
  
=='''공간정보'''==
+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112번째 줄: 108번째 줄:
 
|}
 
|}
  
=='''그래프'''==
+
===관련 민족기록화===
 +
<gallery mode=packed caption="군사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이종상-태종무열왕-1976s.jpg|신라시대 [[이종상-태종무열왕]]
 +
파일:최대섭-화약제조(최무선)-1979s.jpg|조선시대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
파일:신영상-백마산성훈련(임경업)-1976s.jpg|조선시대 1634년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
</gallery>
 +
 
 +
 
 +
=='''시각자료'''==
 +
===가상현실===
 +
<font color="red">'''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font>
 +
 
 +
===갤러리===
  
=='''참고문헌'''==
+
===영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7365 임경업]",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 웹자원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7365 임경업]",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조선]][[분류:군사]]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조선]][[분류:군사]]

2017년 6월 13일 (화) 20:37 판


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신영상-백마산성훈련(임경업)-1976s.jpg
작가 신영상
제작연도 1976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군사
분류 유화
소장처 전쟁기념관


정의

1633년(인조 11) 2월, 임경업(林慶業) 장군은 기복(起復: 상중에 벼슬에 나감)해 청북방어사안변부사가 되었는데, 이때 청나라 군사의 침입을 막기 위해 백마산성(白馬山城)에 웅거하면서 성을 수축하고 방비를 튼튼히 하였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임경업은 산성을 굳게 지켜 적의 진로를 둔화시키는 데 진력하여, 청군은 백마산성을 포기하고 직접 서울로 진격했으며, 인조남한산성으로 피신했다.
해당 작품은 병자호란이 일어나기 이전에 임경업백마산성을 수축했고 민병대(民兵隊)를 훈련시키는 장면을 그린 기록화[1]이다.

설명

작품 소재

작품 오른편에는 임경업과 장군들이 위치해 있고, 작품 하단에는 관군과 백성들로 이루어진 민병대가 그려져 있는데, 승려와 갓을 쓴 양반들을 확인할 수 있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인 백마산성평안북도 의주군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성[2]으로, 고구려 때 쌓인 우마성을 기초로 하여, 고려 현종강감찬이 수축했고, 1633년에 임경업이 수축하였다. 현재 성벽의 일부가 남아 있다. 해당 작품에서는 왼쪽 뒤편에 흐리게 그려진 백마산성의 성벽과 성문을 확인할 수 있다.

작품 구도

작가는 지배와 복종의 대조되는 시선과 화려한 의상을 통해 지휘자를 부각시킴으로써 지휘자가 상징적인 풍경에 대해서도 지배력을 행사할 수 있는 힘을 갖게 하고 있다.[3]

그림 읽기

임경업백마산성민병대신영상 「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1976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신영상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A는 B를 그렸다 1976년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임경업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백마산성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전쟁기념관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1998년-현재
중앙공무원 교육원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A는 B를 대여하였다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임경업 백마산성 A는 B를 수축하였다 1633년
강감찬 백마산성 A는 B를 수축하였다 1014년-1017년
백마산성 우마성 A는 B와 관련이 있다
임경업 이괄의 난 A는 B와 관련이 있다 1624년
임경업 정묘호란 A는 B에 참가하였다 1627년
임경업 병자호란 A는 B에 참가하였다 1636년
임경업 인조 A는 B의 신하이다
인조 남한산성 A는 B와 관련이 있다 1636년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6년 신영상이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를 제작하였다.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중앙공무원 교육원이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를 대여하였다.
1998년-현재 전쟁기념관이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을 소장하고 있다
1014년-1017년 강감찬백마산성을 수축하였다
1624년 임경업이괄의 난을 진압하는데 공을 세웠다
1627년 임경업정묘호란에 참가하였다
1633년 임경업백마산성을 수축하였다
1636년 임경업병자호란에 참가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423111 126.973591 중앙공무원 교육원이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을 대여하였다
37.532103 126.914133 전쟁기념관이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을 소장하고 있다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

갤러리

영상

주석

  1. "기록화 : 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 e뮤지엄,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서비스』online,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 참조: "기록화 : 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 e뮤지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최종확인: 2017년 02월 04일.
  2. "백마산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
  3.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년, 95쪽.
  4.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
  5. "민족기록화5",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
  6. "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자원
    • "임경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