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동-감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내용)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 | }} | ||
=='''개요'''== | =='''개요'''== | ||
− | + | 제주도는 감귤의 장려시책을 마련하고 1972년 서귀포 집단재배지에 400헥타의 기반에 100만본을 식재하여 감귤단지를 조성했다.<ref>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3년, 20쪽.</ref> | |
− | < | ||
− | ==''' | + | =='''설명'''== |
− | + | ===작품 소재=== | |
+ | ===작품 배경=== | ||
=='''관련 민족기록화'''== | =='''관련 민족기록화'''== |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새마을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left" > | |
− | |||
파일:이인영-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1973s.jpg |[[이인영-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 | 파일:이인영-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1973s.jpg |[[이인영-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 | ||
파일: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1973s.jpg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 파일: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1973s.jpg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 ||
29번째 줄: | 28번째 줄: | ||
파일:천칠봉-대단위뽕밭-1975s.jpg |[[천칠봉-대단위뽕밭]] | 파일:천칠봉-대단위뽕밭-1975s.jpg |[[천칠봉-대단위뽕밭]] | ||
파일:정영렬-무진장조림단지-1973s.jpg |[[정영렬-무진장조림단지]] | 파일:정영렬-무진장조림단지-1973s.jpg |[[정영렬-무진장조림단지]] | ||
− | |||
− | |||
− | |||
− | |||
</gallery> | </gallery> | ||
+ | <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 | ||
=='''추출정보'''== | =='''추출정보'''== | ||
74번째 줄: | 70번째 줄: | ||
=='''주석'''== | =='''주석'''==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새마을]] |
2017년 4월 20일 (목) 09:48 판
감귤 | |
작가 | 이마동 |
---|---|
제작연도 | 1973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새마을 |
분류 | 유화 |
소장처 |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 |
목차
개요
제주도는 감귤의 장려시책을 마련하고 1972년 서귀포 집단재배지에 400헥타의 기반에 100만본을 식재하여 감귤단지를 조성했다.[1]
설명
작품 소재
작품 배경
관련 민족기록화
추출정보
작품정보 연결망
관련항목
노드 | 관계 | 노드 |
---|---|---|
이마동-감귤 | ~에 의해 그려지다 | 장두건 |
이마동-감귤 | ~에 소장되어 있다 | 군산문화원 |
이마동-감귤 | ~를 배경으로 한다 | 묵현리 |
이마동-감귤 | ~을 소재로 삼다 | 천마산 |
이마동-감귤 | ~을 소재로 삼다 | 새마을운동 |
시간정보
중심 | 시간정보명 | 시간값 |
---|---|---|
이마동-감귤 | 제작연도 | 1973년 |
공간정보
중심 | 연결정보 | 공간정보이름 | 경도 | 위도 |
---|---|---|---|---|
이마동-감귤 | 소장처 |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 | 37.392958 | 127.158241 |
참고문헌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03년.
주석
-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3년, 2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