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김창락-울주 반구대 암각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판 1개를 가져왔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Back.png|right|thumb|[[민족기록화]]]]
+
{{틀:민족기록화 Top icon}}
[[파일:김창락-반구대암각도-1978s.jpg|김창락 「울주 반구대 암각도」 1978]]
+
{{민족기록화_샘플
 +
|사진= 김창락-반구대암각도-1978s.jpg
 +
|작품명= 울주 반구대 암각도
 +
|작가= [[김창락]]
 +
|제작연도= 1978년
 +
|규격= 300호(290.9x197cm)
 +
|유형= 예술
 +
|분류= 유화
 +
|소장처=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
 +
|필드수=7
 +
}}
 +
=='''개요'''==
 +
[[파일:김창락-반구대암각도-1978s.jpg|800px|center]]
 +
<center>[[민족기록화 작품 시각화 예시]]</center>
  
==울주 반구대 암각화==
+
=='''내용'''==
태화강 상류 西岸의 석벽하부 水磨된 면에 새겨진 신석기 시대의 암각화. 당시 인간들의 正面觀,裸身立像, 그리고 그들의 생활과 직접 관련이 있는 포경 장면, 수렵, 어류각종, 거북이, 호랑이, 사슴 등 다양한 대상을 묘사하였다. 이 유적이 세상에 알려지게 된 것은 1970년 12월 겨울 가뭄으로 수면위에 들어난 것을 동국대학교 박물관에서 확인조사한 뒤 부터이다. 이 암각화의 기법은 측면관을 주로 하여 형상을 쪼아 낸 것, 윤관선만을 음각한 것 등이 있는데 투시법(X-Ray법)에 의한 것도 볼 수 있다. 이러한 기법은 북구에서 시베리아 아무르강 유역의 연해주에 걸치는 넓은 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
[[태화강]] 상류 서쪽 절벽의 석벽 하부 면에 새겨진 신석기 시대의 암각화. 당시 인간들의 정면관(正面觀), 나신입상(裸身立像), 그리고 그들의 생활과 직접 관련이 있는 포경 장면, 수렵, 어류각종, 거북이, 호랑이, 사슴 등 다양한 대상을 묘사하였다. 이 유적이 세상에 알려지게 된 것은 1970년 12월 겨울 가뭄으로 수면위에 들어난 것을 동국대학교 박물관에서 확인조사한 뒤 부터이다. 이 암각화의 기법은 측면관을 주로 하여 형상을 쪼아 낸 것, 윤관선만을 음각한 것 등이 있는데 투시법(X-Ray법)에 의한 것도 볼 수 있다. 이러한 기법은 북구에서 시베리아 아무르강 유역의 연해주에 걸치는 넓은 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작가==
+
=='''관련 민족기록화'''==
김창락(金昌洛): 1924∼1989. 서양화가. 경상북도 성주 출생. 도쿄의 무사시노미술대학(武藏野美術大學) 졸업. 1961년 「추경(秋景)」으로 국전 특선 입상.  1962년  「사양(斜陽)」으로 대통령상을 차지하고 파리에서 아카데미 뒤 퓨(Academie du Feu)에서 연구하며, 1963년과 1964년 르 살롱에 작품을 출품하여 은상과 금상을 획득. 국전 추천작가·초대작가·심사위원.
+
예술 소재 작품
작품경향은 시종 세밀하고 정확한 현실 시각의 사실주의로 일관하였고, 풍경화를 통하여 자연미를 깊이있게 관조하는 태도를 보였다. 1961년 수도여자사범대학(현 세종대학교) 교수로 재직.
+
<gallery>
 +
파일:이종상-쌍영총고분벽화-1977s.jpg|[[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
 +
파일:김창락-반구대암각도-1978s.jpg|[[김창락-울주 반구대 암각화]]
 +
파일:문학진-고려청자-1977s.jpg|[[문학진-고려청자]]
 +
</gallery>
  
==지도==
 
<googlemap width="800" height="400" lat="35.6039443" lon="129.1762343" type="normal" zoom="8"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35.6039443,129.1762343,반구대
 
</googlemap>
 
  
 +
=='''추출정보'''==
 +
===작품정보 연결망===
 +
[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김지선/김지선1/김지선_김정호.htm 네트워크 그래프가 보이지 않는다면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김지선/김지선1/김지선_김정호.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분류:민족기록화]]
+
===관련항목===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노드||width="33%"|관계||width="33%"|노드
 +
|-
 +
|{{PAGENAME}} || ~에 의해 그려지다 ||[[김창락]]
 +
|-
 +
|{{PAGENAME}} || ~에 소장되어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
|-
 +
|{{PAGENAME}} || ~를 소재로 삼다 ||[[울주 반구대 암각화]]
 +
|-
 +
|{{PAGENAME}} || ~를 배경으로 하다 ||[[대곡천]]
 +
|}
 +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
 +
|{{PAGENAME}}||제작연도|| 1978년
 +
|}
 +
 
 +
===공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
 +
|{{PAGENAME}}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37.393554 || 127.053661
 +
|}
 +
 
 +
=='''참고문헌'''==
 +
* "김정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042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 (2017년 1월 31일 확인)
 +
* "목제 곱자",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콘텐츠진흥원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1&cp_code=cp0308&index_id=cp03080116&content_id=cp030801160001&search_left_menu= 문화콘텐츠닷컴 온라인 서비스](2017년 2월 14일 확인)
 +
* "대동여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4266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 (2017년 1월 31일 확인)
 +
* "대동여지도 1부 22개의 책에 거대한 조선을 담다", 문화유산채널. [http://www.k-heritage.tv/brd/board/229/L/CATEGORY/2337/menu/373?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2337&bbIdx=10879&brdType=R 7분다큐 영상] (2017년 1월 31일 확인)
 +
* "대동여지도 2부 고산자 김정호, 그를 다시 읽다", 문화유산채널. [http://www.k-heritage.tv/brd/board/229/L/CATEGORY/2337/menu/373?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2337&bbIdx=10877&brdType=R 7분다큐 영상] (2017년 1월 31일 확인)
 +
 
 +
=='''주석'''==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고대]][[분류:예술]]

2017년 2월 22일 (수) 14:42 판


울주 반구대 암각도
김창락-반구대암각도-1978s.jpg
작가 김창락
제작연도 1978년
규격 300호(290.9x197cm)
유형 예술
분류 유화
소장처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


개요

김창락-반구대암각도-1978s.jpg
민족기록화 작품 시각화 예시

내용

태화강 상류 서쪽 절벽의 석벽 하부 면에 새겨진 신석기 시대의 암각화. 당시 인간들의 정면관(正面觀), 나신입상(裸身立像), 그리고 그들의 생활과 직접 관련이 있는 포경 장면, 수렵, 어류각종, 거북이, 호랑이, 사슴 등 다양한 대상을 묘사하였다. 이 유적이 세상에 알려지게 된 것은 1970년 12월 겨울 가뭄으로 수면위에 들어난 것을 동국대학교 박물관에서 확인조사한 뒤 부터이다. 이 암각화의 기법은 측면관을 주로 하여 형상을 쪼아 낸 것, 윤관선만을 음각한 것 등이 있는데 투시법(X-Ray법)에 의한 것도 볼 수 있다. 이러한 기법은 북구에서 시베리아 아무르강 유역의 연해주에 걸치는 넓은 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관련 민족기록화

예술 소재 작품


추출정보

작품정보 연결망

네트워크 그래프가 보이지 않는다면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관련항목

노드 관계 노드
김창락-울주 반구대 암각도 ~에 의해 그려지다 김창락
김창락-울주 반구대 암각도 ~에 소장되어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김창락-울주 반구대 암각도 ~를 소재로 삼다 울주 반구대 암각화
김창락-울주 반구대 암각도 ~를 배경으로 하다 대곡천

시간정보

중심 시간정보명 시간값
김창락-울주 반구대 암각도 제작연도 1978년

공간정보

중심 연결정보 공간정보이름 경도 위도
김창락-울주 반구대 암각도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37.393554 127.053661

참고문헌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