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강사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항목)
2번째 줄: 2번째 줄:
 
{{복식정보
 
{{복식정보
 
|이미지= 고종황제어진고궁.JPG
 
|이미지= 고종황제어진고궁.JPG
|대표명칭= 강사포(絳紗袍)
+
|사진출처=
 +
|대표명칭= 강사포
 +
|한자표기= 絳紗袍
 
|이칭별칭=  
 
|이칭별칭=  
|착용시대= 조선, 대한제국
+
|복식구분= 의복
|착용신분= 왕실
+
|착용신분= [[황제]], [[왕]], [[황태자]], [[왕세자]], [[왕세손]]
 
|착용성별= 남성
 
|착용성별= 남성
|착용연령= 성인
+
|관련복식= [[원유관|원유관(遠遊冠)]], [[통천관|통천관(通天冠)]]
|복식구성=
+
|필드수= 7
|관련복식= [[원유관|원유관(遠遊冠)]], [[통천관|통천관(通天冠)]], [[조복|조복(朝服)]]
 
|복식구분= 남성 예복
 
|필드수= 10
 
 
}}
 
}}
  
 
==정의==
 
==정의==
 +
[[통천관]]복, [[원유관]]복 차림을 할 때 입는 겉옷이다. 붉은색[강색(絳色)]의 사(紗)로 만든 포(袍)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67쪽.</ref>
  
==착용신분과 착용상황==
+
==내용==
 +
===복식구성===
 +
===착용신분===
 +
[[황제]], [[왕]], [[황태자]], [[왕세자]], [[왕세손]]이 착용한다.
  
==복식 구성==
+
===착용상황===
 +
정월 초하루, 동짓날, 경축일이나 [[가례]] 때의 일부 의례에 참석할 때 입었던 옷이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64쪽.</ref>
  
==기본 정보==
+
===형태===
 +
소매가 넓고 곧은 깃이 달려 있으며 [[면복 상의]]와 형태는 같으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8257&cid=46671&categoryId=46671 장문(章文)]이 없다. 깃과 도련 소매끝에 몸판과 같은 붉은색 선을 둘렀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67쪽.</ref>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기타===
파일:고종황제어진고궁.JPG|고종황제어진<br />[[통천관]] 강사포 착용모습<ref>국립고궁박물관 소장.</ref>
 
</gallery>
 
  
==관련항목==
+
==지식 관계망==
===문헌/회화 → 복식===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항목B!!관계
|-  
+
|-
| 노드 || '''{{PAGENAME}}''' || A는 B를 보여준다 ||
+
| '''{{PAGENAME}}''' || [[왕]]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 노드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 '''{{PAGENAME}}''' || [[왕세자]]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
+
| '''{{PAGENAME}}''' || [[왕세손]] || A는 B를 착용하였다
 
 
===복식 → 복식===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PAGENAME}}''' || 노드 || A는 B의 부분이다 ||
 
 
|-
 
|-
|}
+
|'''{{PAGENAME}}''' || [[갓]] || A는 B에 착용한다
 
 
===인물 → 복식===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노드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한다 ||
 
 
|-
 
|-
 +
|'''{{PAGENAME}}'''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
 +
===시간정보===
  
===복식 → 기관===
+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PAGENAME}}''' || 노드 || A는 B에서 제작한다 ||
 
|-
 
|}
 
  
===기관/소장처 → 복식===
+
==시각자료==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갤러리===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
</gallery>
| 노드 || '''{{PAGENAME}}''' || A는 B를 소장한다 ||
 
|-
 
|}
 
  
==참고문헌==
+
===영상===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분류:궁중기록화]] [[분류:왕실]] [[분류:남성]] [[분류:성인]] [[분류:예복]]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
===더 읽을거리===
 +
 
 +
===유용한 정보===
 +
 
 +
[[분류:궁중기록화]]
 +
[[분류:복식]]

2017년 6월 5일 (월) 11:34 판


강사포
(絳紗袍)
[[file:|360px|thumb|center|]]
대표명칭 강사포
한자표기 絳紗袍
착용신분 황제, , 황태자, 왕세자, 왕세손
착용성별 남성



정의

통천관복, 원유관복 차림을 할 때 입는 겉옷이다. 붉은색[강색(絳色)]의 사(紗)로 만든 포(袍)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1]

내용

복식구성

착용신분

황제, , 황태자, 왕세자, 왕세손이 착용한다.

착용상황

정월 초하루, 동짓날, 경축일이나 가례 때의 일부 의례에 참석할 때 입었던 옷이다.[2]

형태

소매가 넓고 곧은 깃이 달려 있으며 면복 상의와 형태는 같으나 장문(章文)이 없다. 깃과 도련 소매끝에 몸판과 같은 붉은색 선을 둘렀다.[3]

기타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강사포 A는 B를 착용하였다
강사포 왕세자 A는 B를 착용하였다
강사포 왕세손 A는 B를 착용하였다
강사포 A는 B에 착용한다
강사포 의궤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67쪽.
  2.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64쪽.
  3.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67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