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새 문서: {{복식문헌정보 |이미지=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JPG |대표명칭=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 |주제= 가...)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복식문헌정보 | {{복식문헌정보 | ||
− | |이미지= | + | |이미지=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JPG |
|대표명칭=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 | |대표명칭=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 | ||
− | |주제= [[가례|가례(嘉禮]] | + | |주제= [[가례|가례(嘉禮)]] |
|작성주체= [[가례도감|가례도감(嘉禮都監)]] | |작성주체= [[가례도감|가례도감(嘉禮都監)]] | ||
|의례담당자= [[신만|신만(申晩)]] | |의례담당자= [[신만|신만(申晩)]] |
2017년 3월 20일 (월) 22:52 판
정의
1759년(영조 35) 영조(英祖, 1694~1776, 재위 1724~1776)와 정순왕후(貞純王后 김씨(金氏, 1745-1805)의 혼례식 과정을 기록한 의궤.
기본 정보
- 간략한 내용
- 특징
- 친영하여 왕비를 궁궐로 맞이해 들어오는 행렬을 그린 반차도는 왕과 왕비의 행렬이 함께 그려진 최초.
- 비용을 줄이고 간소하게 치르도록 하라는 영조의 전교.
- 목록(目錄)
- 상책: 전교(傳敎), 계사(啓辭), 예관질(禮關秩), 이문질(移文秩), 내관질(來關秩), 감결질(甘結秩), 일방의궤(一房儀軌)
- 하책: 이방의궤(二房儀軌), 삼방의궤(三房儀軌), 별공작의궤(別工作儀軌), 수리소의궤(修理所儀軌).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 상책 해제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 하책 해제
- '판본’
-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2534), (2535)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예조본(奎 13104), 태백산본(奎 13102), 오대산본(奎 13103)
- 장서각한국학중앙연구원: 적상산성본(K2-2591)
관련항목
문헌 → 소장처
항목A | 항목B | 관계 |
---|---|---|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소장한다 |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A는 B에 소장한다 |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에 소장한다 |
문헌 → 복식
항목A | 항목B | 관계 |
---|---|---|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 가례복 | A는 B를 보여준다 |
문헌 → 의례
항목A | 항목B | 관계 |
---|---|---|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 가례 | A는 B를 기록한다 |
의례 → 기관
항목A | 항목B | 관계 |
---|---|---|
가례 | 가례도감 | A는 B에서 주관한다 |
인물 → 복식
항목A | 항목B | 관계 |
---|---|---|
영조 | 면복 | A는 B를 착용한다 |
정순왕후 | 적의 | A는 B를 착용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