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성 서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1번째 줄: 21번째 줄:
 
|그림=달성 서씨의 종문.svg|그림 설명=달성 서씨의 종문
 
|그림=달성 서씨의 종문.svg|그림 설명=달성 서씨의 종문
 
'''달성 서씨'''(達城徐氏)는 [[대구광역시|대구]]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달성 서씨'''(達城徐氏)는 [[대구광역시|대구]]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
 +
== 역사 ==
 +
시조 서진(徐晉)은 고려 때 봉익대부(奉翊大夫), 판도판서(版圖判書)에 오르고 달성군(達城君)에 봉해졌다고 한다. 출생년도는 대략 서기 1260년에서 1280년 사이로 추정된다. 부인은 [[초계 주씨]]이다. 유허비는 대구 달성공원(達城公園)에 있다. 2세는 도관좌랑 기준(奇俊), 3세는 찬성사(贊成事) 서영(穎)이다.
 +
 +
4세 [[서균형|균형]](鈞衡, 1340년 ~ 1391년)이 1360년(공민왕 9년) 문과에 급제하여 문하평리(門下評理) 등을 거쳐 1389년(공양왕 1) 정당문학(政堂文學)으로 재직시 왕명으로 폐왕 우왕을 강릉에서 살해하였고, 1390년 예문관대제학을 거쳐 1391년 양광도도관찰사가 되었다. 시호는 정평(貞平)이다.
 +
 +
5세 [[서침|침]](沈)은 조선조에 전의소감(典醫少監)을 거쳐 전라도처치사를 지냈다. 조선 세종조에서 [[대구 달성|달성]]을 나라의 관방으로 쓰겠다며 거두어 들이고자 하며 그 보상책을 논하자 침이 보상받기를 사양하고 그 대신 대구 부민들이 관청에 바치는 적모의 이자를 한 석당 닷되씩을 감해 줄것을 주청하니 조정에서 특별히 허락하여 대구 부민들이 조선말까지 그 혜택을 받았다.<ref>[http://www.daegu.go.kr/cmsh/daegu.go.kr/file/introduction/%EA%B5%AD%EC%97%AD%EB%8C%80%EA%B5%AC%EB%B6%80%EC%9D%8D%EC%A7%80_2017.pdf  대구부읍지 - 정병호]</ref> 서침의 박시제중(博施濟衆)에 감복(感服)한 대구 사림(士林)들이 1665년에 대구에 구암서원을 건립하고 침을 봉안하여 매년 제향하였다. 세종이 회화나무를 심어 침의 마음을 기리게 했는데 현재 [[달성공원 (대구)|달성공원]] 내에 있는 서침나무가 그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021073 오마이뉴스 - 대구 달성공원에서 보는 항일의 역사]</ref>
 +
 +
침은 3형제를 두었는데, 장남 문한(文翰)은 승사랑으로 광흥창 부승을 거쳐 현감을 지냈고, 차남인 문간(文幹)도 중시에 올라 현감을 역임했으며, 3남 문덕(文德)은 이조정랑과 만경현감을 지냈다. 대사간이었던 충(衷)의 증손인 한정(翰廷)은 세종 때 진사로 태학에서 학문을 연구했으나, 수양대군(세조)이 왕위를 찬탈하자 벼슬을 버리고 소백산 기슭에 은거하였다.<ref>[http://www.segye.com/content/html/2014/01/07/20140107004584.html 세계일보 - 김성회의 뿌리를 찾아서, 달성서씨]</ref>

2022년 2월 20일 (일) 11:33 판

| 성씨 = 달성 서씨 (達城 徐氏)

| 관향 = 대구광역시

| 시조 = 서진(徐晋)

| 중시조 =

| 집성촌 =

| 인물 = 서균형, 서침, 서사선, 서변, 서상돈, 서정주, 서중호, 서영훈, 서병호, 서종철, 서정화, 서석재, 서정돈, 서석구, 서상기, 서상목, 서병수, 서승환, 서범수, 서영교, 서용교

| 년도 = 2015

| 인구 = 407,431명

| 순위 =

| 비고 =

|그림=달성 서씨의 종문.svg|그림 설명=달성 서씨의 종문 달성 서씨(達城徐氏)는 대구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역사

시조 서진(徐晉)은 고려 때 봉익대부(奉翊大夫), 판도판서(版圖判書)에 오르고 달성군(達城君)에 봉해졌다고 한다. 출생년도는 대략 서기 1260년에서 1280년 사이로 추정된다. 부인은 초계 주씨이다. 유허비는 대구 달성공원(達城公園)에 있다. 2세는 도관좌랑 기준(奇俊), 3세는 찬성사(贊成事) 서영(穎)이다.

4세 균형(鈞衡, 1340년 ~ 1391년)이 1360년(공민왕 9년) 문과에 급제하여 문하평리(門下評理) 등을 거쳐 1389년(공양왕 1) 정당문학(政堂文學)으로 재직시 왕명으로 폐왕 우왕을 강릉에서 살해하였고, 1390년 예문관대제학을 거쳐 1391년 양광도도관찰사가 되었다. 시호는 정평(貞平)이다.

5세 (沈)은 조선조에 전의소감(典醫少監)을 거쳐 전라도처치사를 지냈다. 조선 세종조에서 달성을 나라의 관방으로 쓰겠다며 거두어 들이고자 하며 그 보상책을 논하자 침이 보상받기를 사양하고 그 대신 대구 부민들이 관청에 바치는 적모의 이자를 한 석당 닷되씩을 감해 줄것을 주청하니 조정에서 특별히 허락하여 대구 부민들이 조선말까지 그 혜택을 받았다.[1] 서침의 박시제중(博施濟衆)에 감복(感服)한 대구 사림(士林)들이 1665년에 대구에 구암서원을 건립하고 침을 봉안하여 매년 제향하였다. 세종이 회화나무를 심어 침의 마음을 기리게 했는데 현재 달성공원 내에 있는 서침나무가 그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침은 3형제를 두었는데, 장남 문한(文翰)은 승사랑으로 광흥창 부승을 거쳐 현감을 지냈고, 차남인 문간(文幹)도 중시에 올라 현감을 역임했으며, 3남 문덕(文德)은 이조정랑과 만경현감을 지냈다. 대사간이었던 충(衷)의 증손인 한정(翰廷)은 세종 때 진사로 태학에서 학문을 연구했으나, 수양대군(세조)이 왕위를 찬탈하자 벼슬을 버리고 소백산 기슭에 은거하였다.[3]
  1. 대구부읍지 - 정병호
  2. 오마이뉴스 - 대구 달성공원에서 보는 항일의 역사
  3. 세계일보 - 김성회의 뿌리를 찾아서, 달성서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