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이종상-태종무열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시간정보)
(가상현실)
116번째 줄: 116번째 줄:
 
<html>
 
<html>
 
<iframe width="100%" height="535px"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902/S001/S0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iframe width="100%" height="535px"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902/S001/S0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
</html><br/>
 +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902/S001/S001.htm 가상 미술관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갤러리===

2017년 12월 27일 (수) 00:45 판



태종무열왕
이종상-태종무열왕-1976s.jpg
작가 이종상
제작연도 1976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군사
분류 유화
소장처 전쟁기념관


정의

신라의 태종 무열왕백제 정벌을 논의하는 장면을 그린 이종상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민족기록화 인덱스맵 이종상-태종무열왕-1976s.jpg

신라의 태종 무열왕(武烈王, 603~661)이 660년 경 설봉산성에서 ①②③④⑤⑥ 김유신(金庾信, 595~673), 김인문(金仁問, 629~694) 등을 대동하고 백제 정벌을 논의하는 장면을 그린 민족기록화이다. 이 때의 승리는 신라 삼국통일의 위업을 다지는 전초가 되었다.
무열왕은 신라의 29대 왕으로, 본명은 김춘추(金春秋, 604~661)이다. 654년 즉위한 후 660년부터 본격적인 백제정벌을 추진하였고, 같은 해 5월에 태자 법민김유신·진주(眞珠)·천존(天存) 등 장군들과 더불어 친히 정병(精兵) 5만명을 이끌고 당군의 백제공격을 지원하였다. 7월에는 김유신황산벌 전투에서 계백(階伯)이 이끄는 5,000명의 백제군을 격파하고 당군과 연합해 백제의 수도인 사비성(泗沘城)을 함락시켰다. 이어서 웅진성에서 의자왕의 항복을 받아냄으로써 백제를 병합하는 데 성공하였다.[1]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현재 경기도 이천에 있는 설봉산성(雪峯山城)으로, 사적 제423호로 지정되어 있다. 산성에서는 백제시대에 축조된 성벽과 함께 토기가 다량 출토되었으며, 신라토기 조각도 적지 않게 확인되었다. 따라서 신라가 6세기 중반 전후에, 흙으로 쌓은 백제 성곽 위에 다시 돌로 성벽을 쌓은 것으로 추정된다.[2]

그림 읽기

무열왕이종상-태종무열왕-1976s.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종상-태종무열왕 이종상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이종상-태종무열왕 전쟁기념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이종상-태종무열왕 이천 설봉산성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이종상-태종무열왕 신라 태종무열왕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이종상-태종무열왕 김유신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이종상-태종무열왕 김인문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신라 태종무열왕 김유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신라 태종무열왕 김용춘 A는 아버지 B가 있다 A ekc:hasFather B
신라 태종무열왕 문명왕후 A는 B의 남편이다 A ekc:hasWife B
신라 태종무열왕 법민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신라 태종무열왕 김인문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신라 태종무열왕 삼국사기 A는 B에 언급되었다 A ekc:isMentionedIn B
신라 태종무열왕 삼국유사 A는 B에 언급되었다 A ekc:isMentionedIn B
신라 태종무열왕 백제 의자왕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신라 태종무열왕 신라 선덕여왕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신라 태종무열왕 신라 진덕여왕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6년 이종상이종상-태종무열왕을 그렸다.
1998년 12월 30일-현재 전쟁기념관이종상-태종무열왕을 소장하고 있다.
654년 신라 태종무열왕이 신라의 29대 왕으로 즉위하였다.
660년 신라 태종무열왕이 본격적인 백제 정벌을 추진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32103 126.914133 전쟁기념관이종상-태종무열왕을 소장하고 있다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미술관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주석

  1. 김영하, "태종무열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김길식, "이천설봉산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민족기록화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4. "민족기록화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5. "민족기록화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6. "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엄편전람회관람5",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7. "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엄편전람회관람5",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8. "민족기록화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9. "민족기록화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10. "민족기록화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11. "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엄편전람회관람5",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12. "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엄편전람회관람5",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자원
    • 김길식, "이천설봉산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영하, "태종무열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태종무열왕", 『doopedia』online, 두산백과.
    • "김춘추", 네이버캐스트-인물한국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