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보우가 사미 경종에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불교 중흥의 꿈도 잠시 뿐)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법난의 시대에 불교가 갈 길=== | ===법난의 시대에 불교가 갈 길=== | ||
+ | [[파일:BHST Bou(Joseon).jpg|thumb|180px|left|보우 진영<ref>강석근,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84107 40.허응당 보우스님]", 『불교신문』, 2007년 11월 14일.</ref>]] | ||
신묵 등 제자들은 스승 [[보우(조선)|허응보우(虛應普雨, 1510?-1565)]]를 참으로 희유한 존재로 여겼다. 사슴처럼 두려움이 많아 보이다가도 어느 순간 호랑이보다 용맹했다. 산승(山僧)임에도 일단 직책을 맡으면 어느 행정가보다 유능했다. 언어로 도의 경지를 헤아리지 않는 선사였으나 한번 붓을 들면 천하의 명문이었다. | 신묵 등 제자들은 스승 [[보우(조선)|허응보우(虛應普雨, 1510?-1565)]]를 참으로 희유한 존재로 여겼다. 사슴처럼 두려움이 많아 보이다가도 어느 순간 호랑이보다 용맹했다. 산승(山僧)임에도 일단 직책을 맡으면 어느 행정가보다 유능했다. 언어로 도의 경지를 헤아리지 않는 선사였으나 한번 붓을 들면 천하의 명문이었다. | ||
11번째 줄: | 12번째 줄: | ||
[[보우(조선)|보우]]는 출가자들이 승려라는 본분에 철저하면서도 도를 향한 마음을 잃지 않는 것, 그것이 피눈물 나도록 서러운 법난의 시대에 불교가 살 길이라고 믿었다. 불교의 부흥은 왕실의 지원에 달려 있는 것이 아니라 불교계를 이끌어갈 젊은 승려들의 수행력과 청정성에 달려 있다는 게 [[보우(조선)|보우]]의 확신이었다. | [[보우(조선)|보우]]는 출가자들이 승려라는 본분에 철저하면서도 도를 향한 마음을 잃지 않는 것, 그것이 피눈물 나도록 서러운 법난의 시대에 불교가 살 길이라고 믿었다. 불교의 부흥은 왕실의 지원에 달려 있는 것이 아니라 불교계를 이끌어갈 젊은 승려들의 수행력과 청정성에 달려 있다는 게 [[보우(조선)|보우]]의 확신이었다. | ||
− | + | ||
===불교가 탄압받고 유린되던 시대=== | ===불교가 탄압받고 유린되던 시대=== | ||
− | 조선 중기는 성리학으로 무장한 사대부들의 혹독한 억불정책으로 불교계가 존폐의 기로에 섰던 시대였다. 금강산에서 유유자적 살다 적멸에 들었을 [[보우(조선)|보우]]를 세간으로 이끈 것도 그러한 시대였다. [[조선 성종|성종]]은 불경을 간행하던 [[간경도감|간경도감(刊經都監)]]을 폐쇄했으며, 양반가 여인들의 출가를 금지시켰다. 연산군은 선교양종의 승과를 폐지하고 [[선종]]의 본산인 흥천사와 [[교종]]의 본산인 흥덕사를 연회 장소로 이용했다. 심지어 [[조선 세조|세조]]의 비원이 담긴 원각사까지 기생방으로 만들었다. 중종도 법치의 근간인 『경국대전|경국대전(經國大典) | + | 조선 중기는 성리학으로 무장한 사대부들의 혹독한 억불정책으로 불교계가 존폐의 기로에 섰던 시대였다. 금강산에서 유유자적 살다 적멸에 들었을 [[보우(조선)|보우]]를 세간으로 이끈 것도 그러한 시대였다. [[조선 성종|성종]]은 불경을 간행하던 [[간경도감|간경도감(刊經都監)]]을 폐쇄했으며, 양반가 여인들의 출가를 금지시켰다. 연산군은 선교양종의 승과를 폐지하고 [[선종]]의 본산인 흥천사와 [[교종]]의 본산인 흥덕사를 연회 장소로 이용했다. 심지어 [[조선 세조|세조]]의 비원이 담긴 원각사까지 기생방으로 만들었다. 중종도 법치의 근간인 [[『경국대전|경국대전(經國大典)』]]에서 승과제도를 아예 없애버림으로써 승려들이 국가의 보호를 아예 받을 수 없도록 했다. |
일반 유생들의 탄압도 갈수록 노골화됐다. 절에 놀러가 고기와 술을 요구하고 산행할 때면 승려들에게 가마를 메도록 했다. 사찰의 재물을 약탈하고 불사르는 일도 버젓이 자행됐으며, 터 좋은 사찰은 폐사시켜 자기 조상의 묘지로 사용하기도 했다. 행여 승려들이 행패를 일삼는 유생들을 관아에 제소하면 오히려 죄를 뒤집어 씌웠으며, 사찰에 불을 지른 유생이 영웅처럼 떠받들어졌다. | 일반 유생들의 탄압도 갈수록 노골화됐다. 절에 놀러가 고기와 술을 요구하고 산행할 때면 승려들에게 가마를 메도록 했다. 사찰의 재물을 약탈하고 불사르는 일도 버젓이 자행됐으며, 터 좋은 사찰은 폐사시켜 자기 조상의 묘지로 사용하기도 했다. 행여 승려들이 행패를 일삼는 유생들을 관아에 제소하면 오히려 죄를 뒤집어 씌웠으며, 사찰에 불을 지른 유생이 영웅처럼 떠받들어졌다. | ||
24번째 줄: | 25번째 줄: | ||
이때 등장한 인물이 바로 [[문정왕후|문정왕후(文定王后, 1501-1565)]]였다. 중종의 계비(繼妃)였던 그녀는 아들 명종이 12살 어린 나이로 왕위에 오르자 수렴청정을 시작했다. 불심이 깊었던 [[문정왕후]]는 중종이 폐불을 단행할 때도 왕실의 재산을 관리했던 내수사(內需司)를 통해 여러 사찰에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사림과 대립각을 세운 왕후의 친동생인 윤원형을 중심으로 윤춘년, 심연원, 정만종, 한지원 등이 은근히 지지하고 나섰다. [[문정왕후]]는 불교가 살아야 나라가 살고, 왕권이 강화돼 나라가 안정된다고 확신했다. 그녀는 도성 내 비구니 사찰인 정업원 옛터에 인수사(仁壽寺)를 세우는 것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불사 계획을 세웠다. 그러려면 자신이 믿고 의지할 고승이 필요했다. 그때 정만종이 추천한 인물이 금강산과 함흥 일대에서 고승으로 명망이 높았던 [[보우(조선)|보우]]였다. | 이때 등장한 인물이 바로 [[문정왕후|문정왕후(文定王后, 1501-1565)]]였다. 중종의 계비(繼妃)였던 그녀는 아들 명종이 12살 어린 나이로 왕위에 오르자 수렴청정을 시작했다. 불심이 깊었던 [[문정왕후]]는 중종이 폐불을 단행할 때도 왕실의 재산을 관리했던 내수사(內需司)를 통해 여러 사찰에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사림과 대립각을 세운 왕후의 친동생인 윤원형을 중심으로 윤춘년, 심연원, 정만종, 한지원 등이 은근히 지지하고 나섰다. [[문정왕후]]는 불교가 살아야 나라가 살고, 왕권이 강화돼 나라가 안정된다고 확신했다. 그녀는 도성 내 비구니 사찰인 정업원 옛터에 인수사(仁壽寺)를 세우는 것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불사 계획을 세웠다. 그러려면 자신이 믿고 의지할 고승이 필요했다. 그때 정만종이 추천한 인물이 금강산과 함흥 일대에서 고승으로 명망이 높았던 [[보우(조선)|보우]]였다. | ||
− | + | ||
===허물어져가는 불교를 위하여=== | ===허물어져가는 불교를 위하여=== | ||
어려서 부모를 잃은 [[보우(조선)|보우]]는 15살에 금강산 마하연으로 출가했다. 불교는 물론 유교 경전에도 이해가 깊었던 그는 25살 되던 해 깨달음을 목표로 용맹정진에 돌입했다. 죽을 각오로 수행하던 [[보우(조선)|보우]]가 6년 뒤 선방에서 나올 때는 세상을 바라보는 안목이 크게 달라져 있었다. | 어려서 부모를 잃은 [[보우(조선)|보우]]는 15살에 금강산 마하연으로 출가했다. 불교는 물론 유교 경전에도 이해가 깊었던 그는 25살 되던 해 깨달음을 목표로 용맹정진에 돌입했다. 죽을 각오로 수행하던 [[보우(조선)|보우]]가 6년 뒤 선방에서 나올 때는 세상을 바라보는 안목이 크게 달라져 있었다. | ||
34번째 줄: | 35번째 줄: | ||
1년간의 만행을 끝내고 금강산으로 돌아온 [[보우(조선)|보우]]는 교류의 폭을 넓히는 등 대중들과 호흡하려 애썼다. 수륙재를 열었고 무차대회를 베풀었다. [[보우(조선)|보우]]의 명성은 점점 높아졌고 오래지않아 금강산의 고승으로 불리기 시작했다. | 1년간의 만행을 끝내고 금강산으로 돌아온 [[보우(조선)|보우]]는 교류의 폭을 넓히는 등 대중들과 호흡하려 애썼다. 수륙재를 열었고 무차대회를 베풀었다. [[보우(조선)|보우]]의 명성은 점점 높아졌고 오래지않아 금강산의 고승으로 불리기 시작했다. | ||
− | [[문정왕후]]에게 소식이 온 것도 이 무렵이다. 한양 봉은사 주지로 | + | [[문정왕후]]에게 소식이 온 것도 이 무렵이다. 한양 인근 봉은사 주지로 부임해달라는 부탁을 받은 것이다. [[보우(조선)|보우]]는 그 길이 고난의 길임을 직감했다. 행호, 월심 계엄, 지성, 상명, 의철, 학선, 죽변, 해초, 학전, 설준 등 명망 있는 숱한 고승들이 유생들의 온갖 음해로 혹독한 고문을 받거나 참수됐음을 잘 알았기 때문이다. [[보우(조선)|보우]]는 처음 담장을 넘어 도망치려 하다가 다시 또 귀를 씻고 못 들은 것으로 여기며 온갖 꾀를 내보았다. 하지만 결국 그것이 자신에게 주어진 길임을 잘 알았다. |
− | + | ||
===불교 중흥의 꿈도 잠시 뿐=== | ===불교 중흥의 꿈도 잠시 뿐=== | ||
깊은 고민 끝에 [[문정왕후]]의 뜻을 받아들인 [[보우(조선)|보우]]는 이후 불교 중흥에 온 힘을 기울였다. 사찰을 난입해 소란을 피운 유생들이 사찰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조치했고, 승과 부활 및 선교양종을 복구하는 경이적인 성과를 이뤄냈다. 그럴수록 반발도 거셌다. [[보우(조선)|보우]]가 선종판사에 임용된 후 6개월 동안 올라온 상소 중에는 양종 복구를 반대하는 상소가 423건, 역적인 [[보우(조선)|보우]]를 죽여야 한다는 상소는 75건이나 됐다. | 깊은 고민 끝에 [[문정왕후]]의 뜻을 받아들인 [[보우(조선)|보우]]는 이후 불교 중흥에 온 힘을 기울였다. 사찰을 난입해 소란을 피운 유생들이 사찰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조치했고, 승과 부활 및 선교양종을 복구하는 경이적인 성과를 이뤄냈다. 그럴수록 반발도 거셌다. [[보우(조선)|보우]]가 선종판사에 임용된 후 6개월 동안 올라온 상소 중에는 양종 복구를 반대하는 상소가 423건, 역적인 [[보우(조선)|보우]]를 죽여야 한다는 상소는 75건이나 됐다. | ||
− | 이 같은 비난에도 [[보우(조선)|보우]]는 흔들리지 않았다. 오히려 인욕과 자비로 적대자들을 감싸 안으려 애쓰는 동시에 불교 중흥을 지속적으로 추진했다. [[보우(조선)|보우]]는 계속되는 위협 속에서도 16년 동안 수많은 사찰들을 보호하고 | + | 이 같은 비난에도 [[보우(조선)|보우]]는 흔들리지 않았다. 오히려 인욕과 자비로 적대자들을 감싸 안으려 애쓰는 동시에 불교 중흥을 지속적으로 추진했다. [[보우(조선)|보우]]는 계속되는 위협 속에서도 16년 동안 수많은 사찰들을 보호하고 5,000여 명이 정식 승려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도첩을 주었다. 특히 여러 차례 승과를 실시해 150명의 뛰어난 승려들을 선발했다. 그 중에는 임진왜란 때 나라를 위해 큰 활약을 했던 [[휴정|청허휴정(淸虛休靜, 1520-1604)]]과 [[유정|사명유정(四溟惟政, 1544-1610)]] 등도 포함돼 있었다. |
1565년 4월에는 조선 초 왕실사찰인 [[양주 회암사|회암사]]를 중건하고 그곳에서 무차대회를 성대하게 봉행했다. 바야흐로 척불의 시대는 가고 불교 중흥이 도래하는 듯 했다. 하지만 막강한 불교후원자였던 [[문정왕후]]가 그해 서거하자 유생들은 ‘불교가 흥하면 유교는 쇠한다’는 허황된 논리로 대대적인 공세에 나섰다. 불교를 당부하는 [[문정왕후]]의 마지막 유언도 아무런 소용 없었다. 오히려 [[성균관]] 유생들은 더욱 극렬하게 보우를 죽이라고 상소하고 마침내 [[성균관]]을 비우고 나가버리는 사태까지 발생했다. | 1565년 4월에는 조선 초 왕실사찰인 [[양주 회암사|회암사]]를 중건하고 그곳에서 무차대회를 성대하게 봉행했다. 바야흐로 척불의 시대는 가고 불교 중흥이 도래하는 듯 했다. 하지만 막강한 불교후원자였던 [[문정왕후]]가 그해 서거하자 유생들은 ‘불교가 흥하면 유교는 쇠한다’는 허황된 논리로 대대적인 공세에 나섰다. 불교를 당부하는 [[문정왕후]]의 마지막 유언도 아무런 소용 없었다. 오히려 [[성균관]] 유생들은 더욱 극렬하게 보우를 죽이라고 상소하고 마침내 [[성균관]]을 비우고 나가버리는 사태까지 발생했다. | ||
64번째 줄: | 65번째 줄: | ||
*[[양주 회암사]] | *[[양주 회암사]] | ||
*[[춘천 청평사]] | *[[춘천 청평사]]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2017년 12월 29일 (금) 00:43 기준 최신판
특별기고 목록 | |
---|---|
목차
조선 보우가 사미 경종에게
이미 공문(空門, 승가)에 들었으니 크게 앓는 사람이 되고, 차라리 옳음을 위해 죽을지언정 헛되이 살지 말라. 평소 성현을 스승 삼아 행동하되, 추하고 어리석게 한 평생을 허비하지 말라. |
법난의 시대에 불교가 갈 길
신묵 등 제자들은 스승 허응보우(虛應普雨, 1510?-1565)를 참으로 희유한 존재로 여겼다. 사슴처럼 두려움이 많아 보이다가도 어느 순간 호랑이보다 용맹했다. 산승(山僧)임에도 일단 직책을 맡으면 어느 행정가보다 유능했다. 언어로 도의 경지를 헤아리지 않는 선사였으나 한번 붓을 들면 천하의 명문이었다.
그런 보우는 제자들에 대한 애틋함도 각별했다. 수많은 유생들이 퍼붓는 “요승” “간승”이라는 비판이 무색할 정도로 보우는 제자들을 근본으로 이끌었다. 출가한 이상 견성해서 대자유에 이를 것과 어떤 상황에도 생사에 초연한 금강 같은 신념을 지닐 것을 요구했다. 보우는 선승이면서도 제자들에게 염불하고 경전 읽기는 물론 각종 재(齋)나 소소한 사찰의례까지 익힐 것을 권했다. 행여 누군가 보우 자신의 이름에 기대어 권력을 탐하는 기색이 있으면 가차 없이 꾸짖었다. 세간의 정치에 얼씬 거리면 반드시 화를 당한다는 질책이었다.
보우는 출가자들이 승려라는 본분에 철저하면서도 도를 향한 마음을 잃지 않는 것, 그것이 피눈물 나도록 서러운 법난의 시대에 불교가 살 길이라고 믿었다. 불교의 부흥은 왕실의 지원에 달려 있는 것이 아니라 불교계를 이끌어갈 젊은 승려들의 수행력과 청정성에 달려 있다는 게 보우의 확신이었다.
불교가 탄압받고 유린되던 시대
조선 중기는 성리학으로 무장한 사대부들의 혹독한 억불정책으로 불교계가 존폐의 기로에 섰던 시대였다. 금강산에서 유유자적 살다 적멸에 들었을 보우를 세간으로 이끈 것도 그러한 시대였다. 성종은 불경을 간행하던 간경도감(刊經都監)을 폐쇄했으며, 양반가 여인들의 출가를 금지시켰다. 연산군은 선교양종의 승과를 폐지하고 선종의 본산인 흥천사와 교종의 본산인 흥덕사를 연회 장소로 이용했다. 심지어 세조의 비원이 담긴 원각사까지 기생방으로 만들었다. 중종도 법치의 근간인 경국대전(經國大典)』에서 승과제도를 아예 없애버림으로써 승려들이 국가의 보호를 아예 받을 수 없도록 했다.
일반 유생들의 탄압도 갈수록 노골화됐다. 절에 놀러가 고기와 술을 요구하고 산행할 때면 승려들에게 가마를 메도록 했다. 사찰의 재물을 약탈하고 불사르는 일도 버젓이 자행됐으며, 터 좋은 사찰은 폐사시켜 자기 조상의 묘지로 사용하기도 했다. 행여 승려들이 행패를 일삼는 유생들을 관아에 제소하면 오히려 죄를 뒤집어 씌웠으며, 사찰에 불을 지른 유생이 영웅처럼 떠받들어졌다.
보우는 시대의 아픔을 이렇게 시로 읊었다.
“불교가 쇠퇴하기가 이 해보다 더하겠는가. 피눈물을 뿌리며 수건을 적시네. 구름 속에 산이 있어도 발붙일 곳이 없고 티끌세상 어느 곳에 이 몸을 맡겨야 하나.”
말법시대였다. 불교는 이 땅에서 사라져야 할 불온한 사상이었으며, 승려들은 더 이상 조선의 백성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불교의 명운은 바람 앞에 등잔불처럼 위태로웠다.
이때 등장한 인물이 바로 문정왕후(文定王后, 1501-1565)였다. 중종의 계비(繼妃)였던 그녀는 아들 명종이 12살 어린 나이로 왕위에 오르자 수렴청정을 시작했다. 불심이 깊었던 문정왕후는 중종이 폐불을 단행할 때도 왕실의 재산을 관리했던 내수사(內需司)를 통해 여러 사찰에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사림과 대립각을 세운 왕후의 친동생인 윤원형을 중심으로 윤춘년, 심연원, 정만종, 한지원 등이 은근히 지지하고 나섰다. 문정왕후는 불교가 살아야 나라가 살고, 왕권이 강화돼 나라가 안정된다고 확신했다. 그녀는 도성 내 비구니 사찰인 정업원 옛터에 인수사(仁壽寺)를 세우는 것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불사 계획을 세웠다. 그러려면 자신이 믿고 의지할 고승이 필요했다. 그때 정만종이 추천한 인물이 금강산과 함흥 일대에서 고승으로 명망이 높았던 보우였다.
허물어져가는 불교를 위하여
어려서 부모를 잃은 보우는 15살에 금강산 마하연으로 출가했다. 불교는 물론 유교 경전에도 이해가 깊었던 그는 25살 되던 해 깨달음을 목표로 용맹정진에 돌입했다. 죽을 각오로 수행하던 보우가 6년 뒤 선방에서 나올 때는 세상을 바라보는 안목이 크게 달라져 있었다.
1538년(중종 33) 보우는 만행을 떠났다. 이때 그는 불교계의 실상을 직접 목도할 수 있었다. 승려들을 도적이라며 몰아내고 그 사찰을 헐어 재목을 가져가는 일도 있었다. 몇몇 승려가 잘못하면 이를 빌미로 깊은 산중에서 수행하는 승려들까지 처벌당했다. 보우는 옥석을 구분하지 않고 모든 승려들이 한꺼번에 박해받고 있음에 비통해했고, 잘잘못을 가리지 않고 처벌함에 따라 용과 뱀이 한꺼번에 죽어가는 현실에 분개했다. 승려도 다 같은 임금의 백성인데 이토록 처절하게 외면 받고 있는 것이었다.
승려들의 자질이 급격히 하락하고 있는 점도 안타까웠다. 합법적으로 승려가 되는 도첩제가 사라지면서 부역의 과중함을 견디지 못하거나 범죄를 저지른 뒤 사찰로 도피해 승려로 살아가는 이들도 크게 늘었다. 그는 이대로라면 불교가 회생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를 수 있음을 직감했다.
1년간의 만행을 끝내고 금강산으로 돌아온 보우는 교류의 폭을 넓히는 등 대중들과 호흡하려 애썼다. 수륙재를 열었고 무차대회를 베풀었다. 보우의 명성은 점점 높아졌고 오래지않아 금강산의 고승으로 불리기 시작했다.
문정왕후에게 소식이 온 것도 이 무렵이다. 한양 인근 봉은사 주지로 부임해달라는 부탁을 받은 것이다. 보우는 그 길이 고난의 길임을 직감했다. 행호, 월심 계엄, 지성, 상명, 의철, 학선, 죽변, 해초, 학전, 설준 등 명망 있는 숱한 고승들이 유생들의 온갖 음해로 혹독한 고문을 받거나 참수됐음을 잘 알았기 때문이다. 보우는 처음 담장을 넘어 도망치려 하다가 다시 또 귀를 씻고 못 들은 것으로 여기며 온갖 꾀를 내보았다. 하지만 결국 그것이 자신에게 주어진 길임을 잘 알았다.
불교 중흥의 꿈도 잠시 뿐
깊은 고민 끝에 문정왕후의 뜻을 받아들인 보우는 이후 불교 중흥에 온 힘을 기울였다. 사찰을 난입해 소란을 피운 유생들이 사찰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조치했고, 승과 부활 및 선교양종을 복구하는 경이적인 성과를 이뤄냈다. 그럴수록 반발도 거셌다. 보우가 선종판사에 임용된 후 6개월 동안 올라온 상소 중에는 양종 복구를 반대하는 상소가 423건, 역적인 보우를 죽여야 한다는 상소는 75건이나 됐다.
이 같은 비난에도 보우는 흔들리지 않았다. 오히려 인욕과 자비로 적대자들을 감싸 안으려 애쓰는 동시에 불교 중흥을 지속적으로 추진했다. 보우는 계속되는 위협 속에서도 16년 동안 수많은 사찰들을 보호하고 5,000여 명이 정식 승려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도첩을 주었다. 특히 여러 차례 승과를 실시해 150명의 뛰어난 승려들을 선발했다. 그 중에는 임진왜란 때 나라를 위해 큰 활약을 했던 청허휴정(淸虛休靜, 1520-1604)과 사명유정(四溟惟政, 1544-1610) 등도 포함돼 있었다.
1565년 4월에는 조선 초 왕실사찰인 회암사를 중건하고 그곳에서 무차대회를 성대하게 봉행했다. 바야흐로 척불의 시대는 가고 불교 중흥이 도래하는 듯 했다. 하지만 막강한 불교후원자였던 문정왕후가 그해 서거하자 유생들은 ‘불교가 흥하면 유교는 쇠한다’는 허황된 논리로 대대적인 공세에 나섰다. 불교를 당부하는 문정왕후의 마지막 유언도 아무런 소용 없었다. 오히려 성균관 유생들은 더욱 극렬하게 보우를 죽이라고 상소하고 마침내 성균관을 비우고 나가버리는 사태까지 발생했다.
명종은 왕후가 죽은 지 두 달 만에 보우를 제주도로 유배 보냈다. 제주 목사 변협은 귀양 온 보우에게 혹독한 일을 시키고 힘센 장사를 시켜 매일 구타하게 함으로써 결국 죽음에 이르도록 했다.
크게 앓으며 헛되지 않게
보우가 선종판사에 있을 때 경종(敬宗)이라는 사미에게 이런 글을 써서 건넸다. “이미 공문(空門, 승가)에 들었으니 크게 앓는 사람이 되고, 차라리 옳음을 위해 죽을지언정 헛되이 살지 말라”는 내용이었다. 크게 앓는 사람이란 일상사에 얽매이지 않고 삶의 문제, 시대의 문제와 부딪히며, 옳음을 저버려서는 안 된다는 가르침이었다.
보우는 제자에게 당부했던 말처럼 누구보다 크게 앓았고, 옳음을 위해 죽음의 길을 향해 기꺼이 스스로 걸어 들어갔다. 훗날 『허응당집(虛應堂集)』을 편찬한 사명당 유정은 “우리 대사께서는 100년 동안 전해지지 못했던 도의 실마리를 열어 후학들이 돌아갈 바를 얻게 하셨다. 그 분은 천고에 홀로 오셨다가 홀로 가신 분이다”라는 찬사를 남겼다.
보우의 문집은 유림의 질시로 오랫동안 전해지지 않다가 1959년 일본에서 극적으로 발견됐다. 이 편지는 그 때 발견된 『허응당집(虛應堂集)』에 실려 있다.
같이보기
주석
- ↑ 강석근, "40.허응당 보우스님", 『불교신문』, 2007년 11월 14일.
참고문헌
- 이종찬 역, 『허응당집』, 불사리탑, 2004.
- 박영기, 『허응당보우』, 한길사, 2013.
- 황인규, 「나암보우와 조선 불교계의 고승」, 『보조사상』 24집, 불일출판사, 2005.
- 김상영, 「보우의 불교부흥운동과 그 지원세력」, 『중앙승가대 논문집』3, 중앙승가대학교, 1994.
- 강석근, 「선시로 살펴본 허응당 보우의 행적」, 『불교문화연구』 3집, 한국불교문화학회, 2004.
- 손성필, 「허응 보우의 불교사적 위상 재검토」, 『한국사상사학』 제46집, 한국사상사학회, 2014.
- 한춘순, 「조선 명종대 불교정책과 그 성격」, 『한국사상사학』 44집, 한국사상사학회, 2014.
- 김정희, 「문정왕후의 중흥불사와 16세기의 왕실발원 불화」, 『미술사학연구』 제231호, 한국미술사학회,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