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계량"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참고문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83번째 줄: | 83번째 줄: | ||
===더 읽을 거리=== | ===더 읽을 거리=== | ||
*논문 | *논문 | ||
− | **이한수, 「조선초기 변계량의 시대인식과 권도론」, | + | **이한수, 「조선초기 변계량의 시대인식과 권도론」, 『역사와사회』, Vol.27, No.-, 원광대학교 채문연구소, 2001, 77-113쪽. |
− | * | + | |
+ | *웹사이트 내 특정 페이지 | ||
**이진표, 『한국사상사』, 학문서, 2002.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805031&cid=41884&categoryId=55597 변계량의 실용주의적 경세사상]", 한국사상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이진표, 『한국사상사』, 학문서, 2002.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805031&cid=41884&categoryId=55597 변계량의 실용주의적 경세사상]", 한국사상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분류 : 한글고문서]] | + | [[분류:한글고문서]] |
− | [[분류 : 인물]] | + | [[분류:인물]] |
2017년 11월 25일 (토) 00:20 기준 최신판
변계량(卞季良) | |
대표명칭 | 변계량 |
---|---|
한자표기 | 卞季良 |
생몰년 | 1369-1430 |
본관 | 초계(草溪) |
시호 | 문숙(文肅) |
호 | 춘정(春亭) |
자 | 거경(巨卿) |
시대 | 고려-조선 |
국적 | 조선 |
부 | 변옥란(卞玉蘭) |
자녀 | 변영수(卞英壽) |
정의
조선 초기의 문신이자 문장가이다.
내용
생애
본관은 밀양이며, 자는 거경(巨卿), 호는 춘정(春亭)이다. 이색(李穡)과 권근(權近)의 문인으로 1420년(세종 2) 집현전이 설치된 뒤 대제학이 되었고, 1426년에 우군도총제부판사(右軍都摠制府判事)가 되었다가 1430년(세종 12)에 62세의 나이로 생을 마쳤다. 시호는 문숙(文叔)이었으며, 후에 거창의 병암서원(屛巖書院)에 형인 변중량과 함께 배향되었다. [1]
활동사항
1385년에 열일곱 살의 나이로 문과에 급제하였다. 태종-세종대를 대표하는 관료로서, 당대의 주요한 글들을 작성하고 실록을 비롯한 다수의 주요 도서들을 편찬하였으며, 과거제를 개혁하는 등 다방면에 참여하였다. 또 태종이 대마도를 토벌한 기해동정(己亥東征)을 결행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2]
저술활동
무학대사 비명, 문묘중수비문, 돈화문루종명, 태종의 신도비명, 낙천정기, 기자묘비명 등이 모두 변계량의 손에서 나왔으며 『열성후비지문』을 언해하기도 했다. 『삼강행실도』를 비롯해 당대의 주요 편찬사업에도 빠짐없이 관여하였다. 실록의 경우 『태조실록(太祖實錄)』부터 『정종실록(定宗實錄)』, 『태종실록(太宗實錄)』의 편찬을 주도하였으며 , 『국조보감(國朝寶鑑)』 편찬에 참여하였다. 또한 태종대 부터 세종 대에 이르기까지 여러 차례에 걸쳐 이루어진 『고려사』의 개수에도 관여하였다. 이외에도 여러 악장 가사를 여럿 지었는데, 『하성명가』 , 『화산별곡(華山別曲)』 등이 대표적이며, 『청구영언』에 시조 2수가 전하기도 한다. [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이색 | 변계량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권근 | 변계량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집현전 | 변계량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변계량 | 거창 병암서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조선 태종 | 기해동정 | A는 B를 명령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변계량 | 태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변계량 | 기해동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양주 회암사 무학대사비 | 변계량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문묘중수비문 | 변계량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태종 신도비명 | 변계량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조선왕조실록 | 변계량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국조보감 | 변계량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변계량 | 고려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주석
- ↑ 이광렬, "변계량",
『한국사콘텐츠』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이광렬, "변계량",
『한국사콘텐츠』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이광렬, "변계량",
『한국사콘텐츠』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이한수, 「조선초기 변계량의 시대인식과 권도론」, 『역사와사회』, Vol.27, No.-, 원광대학교 채문연구소, 2001, 77-113쪽.
- 웹사이트 내 특정 페이지
- 이진표, 『한국사상사』, 학문서, 2002. 온라인 참조: "변계량의 실용주의적 경세사상", 한국사상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이진표, 『한국사상사』, 학문서, 2002. 온라인 참조: "변계량의 실용주의적 경세사상", 한국사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