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단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식정보 |이미지= .jpg |대표명칭= 단령 |이칭별칭= 원령(圓領), 반령(盤領) |착용시대= 신라, 고려, 조선 |착...)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2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궁중기록화관 Top icon}}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식정보
 
{{복식정보
|이미지= .jpg
+
|사진= 이진숭 단령.JPG
 +
|사진출처=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대표명칭= 단령
 
|대표명칭= 단령
|이칭별칭= [[원령(圓領)]], [[반령(盤領)]]
+
|한자표기= 團領
|착용시대= 신라, 고려, 조선
+
|이칭별칭= 원령(圓領), 반령(盤領)
|착용신분= 문무백관
+
|구분= 의복
 +
|착용신분= [[백관]]
 
|착용성별= 남성
 
|착용성별= 남성
|착용연령= 성인
+
}}
|복식구성= -
 
|관련복식= [[흉배(胸背)]], [[옥대(玉帶)]], [[흑화(黑靴)]]
 
|복식구분= 왕실 예관
 
|필드수= 10
 
}}  
 
  
==정의==
+
=='''정의'''==
깃이 둥근 모양을 한 포(袍)로, 문무백관의 [[공복(公服)]]과 [[상복(常服)]].
+
[[백관]]의 [[백관의 공복|공복]]과 [[백관의 상복|상복]]으로 착용한 깃을 둥글게 한 포()이다.<ref>崔銀水, 「조선시대 百官의 團領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쪽.</ref>
  
==착용신분과 착용상황==
+
=='''내용'''==
* 문무백관의 [[공복(公服)]]과 [[상복(常服)]]  
+
조선 초기에는 모두 홑옷으로 앞이 짧고 뒤가 긴 전단후장(前短後長)의 형태이다. 소매통은 좁은 편이며 화장<ref>화장:목 중심부터 팔끝까지의 길이를 말한다.</ref>이 길고, 대체로 진동<ref>진동:어깨부터 겨드랑이까지의 길이를 말한다.</ref>보다 수구<ref>수구: 소매 끝의 손목이 나오는 부분이다.</ref>가 좁은 곡선형으로 수구쪽으로 좁아지는 형태이다. 17세기는 홑옷과 겹옷이 나타나며, 앞뒤의 길이가 같다. 옷의 품이 차츰 줄고 여밈 분량이 줄어들면서 이중섶이 사라졌다. 허리에 [[각대]]를 걸 수 있는 각대고리가 등장한다. 18세기에는 품이 앞시기보다 줄어들고, 대고리와 함께 대를 묶는 끈이 달려 있다. 19세기부터 대한제국시대에는 다양한 형태의 [[단령]]이 등장한다. 1884년(고종 21)의 [[복제 개혁]]으로 [[백관의 상복]]과 [[백관의 시복]]은 소매가 좁은 '흑단령'이고, 특별한 의식에만 [[흉배(백관)]]를 달아서 [[백관]]의 품계를 구분했다. [[백관의 상복]]이 [[대례복|대례복(大禮服)]]이라는 명칭으로 바뀌고 소매 너비가 좁아지고 색이 흑색으로 달라졌다. [[소례복|소례복(小禮服)]]은 문관복으로 진현시에는 아무 때나 착용하고 대례복시에도 착용해도 되며 구성은 [[대례복]]과 같고 단지 흑단령의 소매가 좁은 것에만 차이가 있다. 소매는 착수형의 소매와 두리소매형태가 있다.<ref>崔銀水, 「조선시대 百官의 團領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51~117쪽.</ref>
  
==기본 정보==
+
=='''지식 관계망'''==
===어원-==
+
===관계정보===
* 둥근 형태의 깃에서 유래해 깃이 둥근 모양을 한 포의 명칭으로도 사용됨.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백관]] || 단령 || A는 B를 착용한다 ||  A ekc:wears B
 +
|-
 +
| [[백관의 공복]]  || 단령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
| [[백관의 상복]] || 단령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
| 단령|| [[복두]]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
| 단령|| [[사모]]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
| 단령|| [[화]]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유래===
+
===시간정보===
옷깃이 둥글고 소매가 좁은 포로 호복(胡服)에서 유래.<ref>崔銀水(2004) 조선시대 百官의 團領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p. 1.</ref>
+
===공간정보===
  
===시대별 형태 변화===
+
=='''시각자료'''==
① 조선 초기<ref>최은수(2004) 앞의 논문. pp. 51~65.</ref>
+
===갤러리===
* 모두 홑옷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300px>
* 앞이 짧고 뒤가 긴 전단후장(前短後長)의 형태.
+
파일:궁중기록화_복식_세부명칭_단령(이진숭_민박).jpg | 단령의 세부 명칭.<ref>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ref>
* 소매통은 좁은 편이며 화장이 길고, 대체로 진동보다 수구가 좁은 곡선형으로 수구쪽으로 좁아지는 형태이다.
 
* [[무]]의 형태는 대소안팍주름형과 대형밖주름형.
 
* 단령깃은 대부분 정바이어스로 재단하여 목에 닿을 가장자리는 줄이고 길에 붙이는 부분은 늘리는 U자형.
 
* 바대는 U자형과 凹자형, H형의 바대.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00px>
 
파일:변수 단령.JPG|변수(邊脩, 1447~1524) 단령<ref>국립민속박물관 소장.</ref>
 
파일:심수륜 단령.jpg|심수륜(沈秀崙, 1534~1589) 단령<ref>국립민속박물관 소장.</ref>
 
 
</gallery>
 
</gallery>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② 17세기 단령<ref>최은수(2004) 앞의 논문. pp. 71~81.</ref>
+
파일:변수 단령.JPG|16세기 변수(邊脩, 1447~1524)묘 출토 단령<ref>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ref>
* 홑옷과 겹옷이 나타나며, 앞뒤의 길이가 같음.
+
파일:심수륜 단령.jpg|16세기 심수륜(沈秀崙, 1534~1589)묘 출토 단령<ref>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ref>
* 옷의 품이 차츰 줄고 여밈 분량이 줄어들면서 이중섶이 사라짐.
+
파일:남오성 단령.JPG|17세기 남오성(南五星, 1643~1712)묘 출토 단령<ref>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ref>
* 초반에는 콩깍지형 소매, 후반에는 두리소매가 나타나, 소매통이 60cm로 넓음.
 
* 무는 대형바깥주름형과 뒤젖힘대주름형으로 뒷길 고정무의 위쪽에 매듭단추를 달아 무를 부착.
 
* 허리에 [[각대]]를 걸 수 있는 각대고리가 등장.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00px>
 
파일:남오성 단령.JPG|남오성(南五星, 1643~1712) 단령<ref>국립민속박물관 소장.</ref>
 
</gallery>
 
 
 
③ 18세기<ref>최은수(2004) 앞의 논문. pp. 87~100.</ref>
 
* 품이 전시기보다 줄어들었음.
 
* 대고리와 함께 대를 묶는 끈이 달려 있음.
 
* 출토유물은 겹옷에 소매는 두리소매.
 
* 무는 뒷길고정무로 단추형과 상침형.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00px>
 
파일:이진숭 단령.JPG| 이진숭(李鎭嵩, 1702~1756) 단령<ref>국립민속박물관 소장.</ref>
 
파일:이직 단령.JPG| 이직(李樴, 1677~1746) 단령<ref>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ref>
 
 
</gallery>
 
</gallery>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300px>
④ 19세기부터 대한제국<ref>최은수(2004) 앞의 논문. pp. 104~117.</ref>
+
파일:이직 단령.jpg| 18세기 이익정(李益炡, 1699~1782)묘 출토 단령<ref>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名選 中』,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5, 69쪽.</ref>
* 다양한 형태의 단령이 등장.
+
파일:흥완군 단령.jpg|19세기 흥완군(興完君, 1814~1848) 단령<ref>문화재청, 『문화재대관-복식·자수편』, 문화재청, 190쪽.</ref>
* 고종 21년의 복제 개혁으로 상복(常服)과 시복(時服)은 반령착수(盤領窄袖)의 흑단령, 특별한 의식에만 흉배를 달아서 문무관의 품계를 구분.
 
* ‘상복(常服)’이 ‘대례복(大禮服)’이라는 명칭으로 바뀌고 소매넓이가 좁아지고 색이 흑색으로 달라짐.
 
* 소례복(小禮服)은 문관복으로 진현시에는 아무 때나 착용하고 대례복시에도 착용해도 되며 구성은 대례복과 같고 단지 흑단령의 소매가 좁은 것에만 차이.
 
* 형태상 특징은 3겹 바느질과 4겹 바느질법이 등장.
 
* 소매는 착수형의 소매와 두리소매형태.
 
* 무는 뒷길고정무와 두루마기의 무 형태의 트임 없이 모두 막힌 형태와 하단 트임, 주머니 트임의 3가지 형식.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750px>
 
파일:흥완군 단령.jpg|흥완군(興完君, 1814~1848) 단령<ref>국립민속박물관 소장.</ref>
 
 
</gallery>
 
</gallery>
  
 +
===영상===
  
==참고문헌==
+
=='''주석'''==
󰡔[[대명회전|대명회전(大明會典)]]󰡕
+
<references/>
󰡔[[대한예전|대한예전(大韓禮典)]]󰡕
 
󰡔[[삼재도회|삼재도회(三才圖會)]]󰡕
 
󰡔[[악학궤범|악학궤범(樂學軌範)]]󰡕
 
高光林(1979) 「團領에 關한 硏究-朝鮮時代를 中心으로-」 인천교육대학교 論文集, Vol.14 No
 
권준희(2009) 「唐 복식 도입 이전의 團領衣」, 서울대학교규장각 한국학연구원, 韓國文化 46
 
金也之, 文光姬(1985) 佛畵를 通해 본 高麗服飾과 同時代 中國服飾의 比較硏究 -高麗十王圖의 團領을 中心으로-」, 부산대학교가정대학, 家政大學硏究報告 11輯.
 
金東旭(1986) 「團領의 發生」, 한국복식학회, 服飾 第 10號.
 
김미자(1988) 「한국의 團領과 일본의 團領의 비교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논문집 제17호.
 
林栽永(1984) 「團領에 관한 硏究」, 한국의류학회, 한국의류학회지 8권 3호.
 
문공화(1999) 「조선시대 團領의 형태와 제작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문공화(2004) 「조선시대 團領의 着用規例와 實例에 관한 硏究」,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文光姬(1987) 「團領으로 추정되는 袍衫名稱에 관한 資料調査」, 한국의류학회, 한국의류학회지 11권 1호.
 
文光姬(1987) 「中國 團領名稱에 關한 硏究」, 한국의류학회, 한국의류학회지 11권 1호.
 
文光姬(1992) 「曲領과 團領의 比較硏究」, 동의대학교, 東義論集 vol.19.
 
백영자(2000) 「전통 혼례복 구성에 관한 연구 -단령과 원삼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論文集 30輯.
 
孫敬子(1962) 「李朝時代 各階級에 따르는 團領과 諸服裝에 對한 考察」, 세종대학교, 愛知苑 Vol.1.
 
송미경(2002) 「조선시대 여성 단령(團領)에 관한 연구 –출토복식을 중심으로-, 한국복식학회 服飾 vol.52 no.8.
 
신혜성, 박선희(2007) 「통신사[通信使] 기록을 통한 단령[團領] 착용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服飾 vol.57 no.10.
 
신혜성, 홍나영(2007) 「풍속화에 나타난 혼례용 단령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학회, 복식문화연구 v.15 no.6.
 
李恩珠(1998) 「16세기 전기 단령의 구성법 일례-金欽祖(1461~1528)분묘 출토의 단령을 중심으로-」, 복식문화학회, 복식문화연구 v.6 no.2.
 
李春耕(2005) 「전통단령과 현대단령에 관한 실증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진현자(2006) 「朝鮮 前期 團領의 모양 및 바느질법 硏究」,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崔銀水(2004) 「조선시대 百官의 團領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주석==
+
=='''참고문헌'''==
<references/>
+
===인용 및 참조===
 +
* 『[[대명회전|대명회전(大明會典)]]』
 +
* 『[[대한예전|대한예전(大韓禮典)]]』
 +
* 『[[삼재도회|삼재도회(三才圖會)]]』
 +
* 『[[악학궤범|악학궤범(樂學軌範)]]』
 +
* 高光林, 「團領에 關한 硏究-朝鮮時代를 中心으로-」, 『論文集 』14집, 인천교육대학교, 1979.
 +
* 권준희, 「唐 복식 도입 이전의 團領衣」, 『韓國文化』 46권, 서울대학교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09.
 +
* 金也之, 文光姬, 「佛畵를 通해 본 高麗服飾과 同時代 中國服飾의 比較硏究 -高麗十王圖의 團領을 中心으로-」, 『家政大學硏究報告』 11집, 부산대학교가정대학, 1985.
 +
* 金東旭, 「團領의 發生」, 『服飾』 10권, 한국복식학회, 1986.
 +
* 김미자, 「한국의 團領과 일본의 團領의 비교연구」, 『논문집』 제17호, 서울여자대학교, 1988.
 +
* 林栽永, 「團領에 관한 硏究」, 『한국의류학회지』 8권 3호, 한국의류학회, 1984.
 +
* 문공화, 「조선시대 團領의 형태와 제작법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
* 문공화, 「조선시대 團領의 着用規例와 實例에 관한 硏究」,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
* 文光姬, 「團領으로 추정되는 袍衫名稱에 관한 資料調査」, 『한국의류학회지』 11권 1호, 한국의류학회, 1987.
 +
* 文光姬, 「中國 團領名稱에 關한 硏究」, 『한국의류학회지』 11권 1호, 한국의류학회, 1987.
 +
* 文光姬, 「曲領과 團領의 比較硏究」, 『東義論集』 19권, 동의대학교, 1992.
 +
* 백영자, 「전통 혼례복 구성에 관한 연구 -단령과 원삼을 중심으로-」, 『論文集』 30輯,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00.
 +
* 송미경, 「조선시대 여성 단령(團領)에 관한 연구 –출토복식을 중심으로-」, 『服飾』 52권 8호, 한국복식학회, 2002.
 +
* 신혜성, 박선희, 「통신사(通信使) 기록을 통한 단령(團領) 착용 실태에 관한 연구」, 『服飾』 57권 10호, 한국복식학회, 2007.
 +
* 신혜성, 홍나영, 「풍속화에 나타난 혼례용 단령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5권 6호, 복식문화학회, 2007.
 +
* 李恩珠, 「16세기 전기 단령의 구성법 일례-金欽祖(1461~1528)분묘 출토의 단령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6권 2호, 복식문화학회, 1998.
 +
* 李春耕, 「전통단령과 현대단령에 관한 실증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 진현자,「朝鮮 前期 團領의 모양 및 바느질법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 崔銀水, 「조선시대 百官의 團領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남성]] [[분류:왕실]]  [[분류:문무백관]] [[분류:예복]]
+
[[분류:궁중기록화]]
 +
[[분류:복식]]
 +
[[분류:물품]]

2017년 11월 19일 (일) 12:28 기준 최신판


단령
(團領)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대표명칭 단령
한자표기 團領
이칭별칭 원령(圓領), 반령(盤領)
구분 의복
착용신분 백관
착용성별 남성



정의

백관공복상복으로 착용한 깃을 둥글게 한 포(袍)이다.[1]

내용

조선 초기에는 모두 홑옷으로 앞이 짧고 뒤가 긴 전단후장(前短後長)의 형태이다. 소매통은 좁은 편이며 화장[2]이 길고, 대체로 진동[3]보다 수구[4]가 좁은 곡선형으로 수구쪽으로 좁아지는 형태이다. 17세기는 홑옷과 겹옷이 나타나며, 앞뒤의 길이가 같다. 옷의 품이 차츰 줄고 여밈 분량이 줄어들면서 이중섶이 사라졌다. 허리에 각대를 걸 수 있는 각대고리가 등장한다. 18세기에는 품이 앞시기보다 줄어들고, 대고리와 함께 대를 묶는 끈이 달려 있다. 19세기부터 대한제국시대에는 다양한 형태의 단령이 등장한다. 1884년(고종 21)의 복제 개혁으로 백관의 상복백관의 시복은 소매가 좁은 '흑단령'이고, 특별한 의식에만 흉배(백관)를 달아서 백관의 품계를 구분했다. 백관의 상복대례복(大禮服)이라는 명칭으로 바뀌고 소매 너비가 좁아지고 색이 흑색으로 달라졌다. 소례복(小禮服)은 문관복으로 진현시에는 아무 때나 착용하고 대례복시에도 착용해도 되며 구성은 대례복과 같고 단지 흑단령의 소매가 좁은 것에만 차이가 있다. 소매는 착수형의 소매와 두리소매형태가 있다.[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백관 단령 A는 B를 착용한다 A ekc:wears B
백관의 공복 단령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상복 단령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단령 복두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단령 사모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단령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崔銀水, 「조선시대 百官의 團領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쪽.
  2. 화장:목 중심부터 팔끝까지의 길이를 말한다.
  3. 진동:어깨부터 겨드랑이까지의 길이를 말한다.
  4. 수구: 소매 끝의 손목이 나오는 부분이다.
  5. 崔銀水, 「조선시대 百官의 團領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51~117쪽.
  6.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
  7.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
  8.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
  9.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
  10.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名選 中』,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5, 69쪽.
  11. 문화재청, 『문화재대관-복식·자수편』, 문화재청, 190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대명회전(大明會典)
  • 대한예전(大韓禮典)
  • 삼재도회(三才圖會)
  • 악학궤범(樂學軌範)
  • 高光林, 「團領에 關한 硏究-朝鮮時代를 中心으로-」, 『論文集 』14집, 인천교육대학교, 1979.
  • 권준희, 「唐 복식 도입 이전의 團領衣」, 『韓國文化』 46권, 서울대학교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09.
  • 金也之, 文光姬, 「佛畵를 通해 본 高麗服飾과 同時代 中國服飾의 比較硏究 -高麗十王圖의 團領을 中心으로-」, 『家政大學硏究報告』 11집, 부산대학교가정대학, 1985.
  • 金東旭, 「團領의 發生」, 『服飾』 10권, 한국복식학회, 1986.
  • 김미자, 「한국의 團領과 일본의 團領의 비교연구」, 『논문집』 제17호, 서울여자대학교, 1988.
  • 林栽永, 「團領에 관한 硏究」, 『한국의류학회지』 8권 3호, 한국의류학회, 1984.
  • 문공화, 「조선시대 團領의 형태와 제작법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 문공화, 「조선시대 團領의 着用規例와 實例에 관한 硏究」,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 文光姬, 「團領으로 추정되는 袍衫名稱에 관한 資料調査」, 『한국의류학회지』 11권 1호, 한국의류학회, 1987.
  • 文光姬, 「中國 團領名稱에 關한 硏究」, 『한국의류학회지』 11권 1호, 한국의류학회, 1987.
  • 文光姬, 「曲領과 團領의 比較硏究」, 『東義論集』 19권, 동의대학교, 1992.
  • 백영자, 「전통 혼례복 구성에 관한 연구 -단령과 원삼을 중심으로-」, 『論文集』 30輯,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00.
  • 송미경, 「조선시대 여성 단령(團領)에 관한 연구 –출토복식을 중심으로-」, 『服飾』 52권 8호, 한국복식학회, 2002.
  • 신혜성, 박선희, 「통신사(通信使) 기록을 통한 단령(團領) 착용 실태에 관한 연구」, 『服飾』 57권 10호, 한국복식학회, 2007.
  • 신혜성, 홍나영, 「풍속화에 나타난 혼례용 단령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5권 6호, 복식문화학회, 2007.
  • 李恩珠, 「16세기 전기 단령의 구성법 일례-金欽祖(1461~1528)분묘 출토의 단령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6권 2호, 복식문화학회, 1998.
  • 李春耕, 「전통단령과 현대단령에 관한 실증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진현자,「朝鮮 前期 團領의 모양 및 바느질법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崔銀水, 「조선시대 百官의 團領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