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기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참고문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단체정보 | {{단체정보 | ||
|사진= 민족팀_일러_관청.png | |사진= 민족팀_일러_관청.png |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 |
|대표명칭= 군기시 | |대표명칭= 군기시 | ||
|한자표기= 軍器寺 | |한자표기= 軍器寺 | ||
33번째 줄: | 33번째 줄: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25/C025.htm '''"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최대섭) 지식관계망'''] | ||
<html> | <html>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69번째 줄: | 70번째 줄: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단체]]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단체]] | ||
− |
2017년 11월 27일 (월) 03:44 기준 최신판
군기시(軍器寺) | |
대표명칭 | 군기시 |
---|---|
한자표기 | 軍器寺 |
유형 | 관청 |
창립시대 | 조선 |
창립일 | 1466년 |
변경일 | 1884년 |
관련단체 | 화통도감 |
정의
고려·조선 시대에 병기·기치·융장(戎仗)·집물 등의 제조 등을 관장한 관청이다.
설명
고려 목종 때 설치된 군기감(軍器監)을 1362년(고려 공민왕 11) 군기시로 개칭하였다. 조선시대에도 고려의 제도를 수용하여, 1392년(조선 태조 1) 군기감을 설치하였으며, 1466년(세조 12) 군기시로 개칭하였다.[1]
관원은 병조판서나 병조참판 중에서 1인, 무장(武將) 중에서 1인을 선발한 뒤 도제조(都提調)와 제조로 임명하여 감독하게 하였다. 그 밑에 정(正)·부정(副正)·첨정(僉正)·별좌(別坐)·판관(判官)·별제(別提)·주부(主簿)·직장(直長)·봉사(奉事)·부봉사(副奉事)·참봉(參奉) 등이 있었다.[2]
1401년(태종 1) 3월에는 권근의 상소로 최무선의 아들인 최해산이 군기시 주부(注簿)로 특채되기도 하였다.
...최해산으로 군기 주부(軍器注簿)를 삼았다. 참찬(參贊) 권근이 상서하기를, "...고(故) 지문하부사(知門下府事) 최무선은 처음으로 화약(火藥)을 제조하여 능히 해구(海寇)를 제어하였으니, 실로 국가에 공(功)이 있습니다. 그 아들 해산도 또한 마땅히 서용(敍用)하여야 합니다." 하였으므로, 그대로 따른 것이었다. |
||
출처: 『태종실록』 1권, 태종 1년(1401) 윤3월 1일(경인) 2번째 기사. 온라인 참조: '문익점의 아들 중용과 최무선의 아들 해산에게 벼슬을 내리다', |
세종 때에는 서북 변경의 개척으로 화기 사용이 빈번해지자 군기시에서 화약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화약장(火藥匠)의 전지전출을 견제했다. 또 군기시 안에 화기를 전담하는 10여 인의 관원을 두기도 하였다. 이들은 양반 자제 중에서 기술이 정교하고 무략(武略)이 뛰어난 자를 뽑은 것으로 일명 겸군기(兼軍器)라 불렀다.[4]
1884년(고종 21) 군기시는 폐지되었고, 그 업무는 기기국(機器局)으로 옮겨졌다.[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화통도감 | 군기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최해산 | 군기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최해산 | 최무선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A ekc:hasFather B |
군기시 | 기기국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동영상
주석
- ↑ "군기시",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이장희, "군기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태종실록』 1권, 태종 1년(1401) 윤3월 1일(경인) 2번째 기사. 온라인 참조: '문익점의 아들 중용과 최무선의 아들 해산에게 벼슬을 내리다',
『조선왕조실록』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이장희, "군기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장희, "군기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사료
- 『태종실록』 1권, 태종 1년(1401) 윤3월 1일(경인) 2번째 기사. 온라인 참조: '문익점의 아들 중용과 최무선의 아들 해산에게 벼슬을 내리다',
『조선왕조실록』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태종실록』 1권, 태종 1년(1401) 윤3월 1일(경인) 2번째 기사. 온라인 참조: '문익점의 아들 중용과 최무선의 아들 해산에게 벼슬을 내리다',
- 웹 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