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보 초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초상의 제작 및 보관)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역사인물초상화 | {{역사인물초상화 | ||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이현보 초상.jpg |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이현보 초상.jpg |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8720000,37&flag=Y 이현보초상]",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
|대표명칭= 이현보 초상 | |대표명칭= 이현보 초상 | ||
|한자명칭= 李賢輔 肖像 | |한자명칭= 李賢輔 肖像 | ||
19번째 줄: | 19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초상의 제작 및 보관=== | ===초상의 제작 및 보관=== | ||
− | 조선시대의 화승 [[옥준상인]]이 그렸다고 전해지는 [[이현보]]의 초상화로 1536년 [[이현보]]가 경상도 관찰사로 있던 때에 제작되었다고 전해진다. 화가인 [[옥준상인]]의 행적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으나 [[이현보]]의 아들인 [[이중량]]의 문집 중 [[옥준상인]]과 [[이현보]]의 교류에 관한 | + | 조선시대의 화승 [[옥준상인]]이 그렸다고 전해지는 [[이현보]]의 초상화로 1536년 [[이현보]]가 경상도 관찰사로 있던 때에 제작되었다고 전해진다. 화가인 [[옥준상인]]의 행적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으나 [[이현보]]의 아들인 [[이중량]]의 문집 중 [[옥준상인]]과 [[이현보]]의 교류에 관한 시인 「[[옥준상인시축복차선군운|옥준상인시축복차선군운(玉峻上人詩軸伏次先君韻)]]」이 수록되어 있어 [[이현보]]와 교류한 인물이라는 것은 알 수 있다. 그림 속에 등장하는 물건이나 금은니 등의 사용, 의복 처리 묘법 등에서 불화와의 연관성이 보여 화승으로 추측하기도 한다.<ref>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174쪽.</ref><br/> |
[[이현보]]의 초상화는 이 원본 <이현보 초상>외에도 1827년에 [[이재관]]이 그린 이모본이 1점 있다. 이 이모본을 제작할 때의 절차와 의례, 제작과정 및 사후 처리 등이 기록된 『[[영정개모시일기|영정개모시일기(影幀改模時日記)]]』이 전하고 있어 영정 개모 당시의 상황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ref>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175쪽.</ref><br/> | [[이현보]]의 초상화는 이 원본 <이현보 초상>외에도 1827년에 [[이재관]]이 그린 이모본이 1점 있다. 이 이모본을 제작할 때의 절차와 의례, 제작과정 및 사후 처리 등이 기록된 『[[영정개모시일기|영정개모시일기(影幀改模時日記)]]』이 전하고 있어 영정 개모 당시의 상황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ref>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175쪽.</ref><br/> | ||
− | 당시 제작된 이모본도 현재 전하고 있는데 | + | 당시 제작된 이모본도 현재 전하고 있는데 [[서안]]에 펼쳐진 서책이 원본과 달리 입체적으로 그려진 점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현재 <이현보 초상>은 [[한국국학진흥원]]에 기탁되었고 이모본은 [[안동 농암종택]]에 보관중이다. |
===문헌에 기록된 외모=== | ===문헌에 기록된 외모=== | ||
27번째 줄: | 27번째 줄: | ||
{{blockquote | {{blockquote | ||
| 연산군이 전교하기를, “전일 경연(經筵)에서 사관을 정청(政廳)에 참여시키도록 청하는 자가 있었는데, 그 사람은 낯이 검고 수염이 많았으니, 이는 반드시 이현보(李賢輔)일 것이다. 신진으로서 감히 의논드리는 것은 지극히 불가한 일이니 잡아다가 장형에 처하고, 현보가 계청하기 전에도 또한 말한 자가 있었으니 아울러 상고하여 아뢰라.”하였다. | | 연산군이 전교하기를, “전일 경연(經筵)에서 사관을 정청(政廳)에 참여시키도록 청하는 자가 있었는데, 그 사람은 낯이 검고 수염이 많았으니, 이는 반드시 이현보(李賢輔)일 것이다. 신진으로서 감히 의논드리는 것은 지극히 불가한 일이니 잡아다가 장형에 처하고, 현보가 계청하기 전에도 또한 말한 자가 있었으니 아울러 상고하여 아뢰라.”하였다. | ||
− | |출처= | + | |출처= 『연산군일기』 56권, 연산 10년(1504) 12월 24일(경진) 5번째 기사. 온라인 참조: '[http://sillok.history.go.kr/id/kja_11012024_005 사관을 정청에 참여시키자고 말한 자를 이현보로 의심하여 장형에 처하게 하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연산군일기』 56권, 연산 10년(1504) 12월 24일(경진) 5번째 기사. 온라인 참조: '[http://sillok.history.go.kr/id/kja_11012024_005 사관을 정청에 참여시키자고 말한 자를 이현보로 의심하여 장형에 처하게 하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 | }} | ||
− | [[이황|퇴계 이황]]이 쓴 | + | [[이황|퇴계 이황]]이 쓴 「[[숭정대부 행 지중추부사 농암 이선생 행장]]」에는 “일을 당하면 강직하고 동요되지 않으므로, 당시 사람들이 공을 소주두루미(燒酒陶甁)라고 이름하니, 외모는 거무스레하나 속은 맑고 냉엄하다는 뜻이었다.”<ref>[http://db.itkc.or.kr/dir/item?itemId=MO#/dir/node?dataId=ITKC_MO_0144A_0480_010_0020&solrQ=query%E2%80%A0%E5%B4%87%E6%94%BF%E5%A4%A7%E5%A4%AB%E8%A1%8C%E7%9F%A5%E4%B8%AD%E6%A8%9E%E5%BA%9C%E4%BA%8B%E8%81%BE%E5%B7%96%E6%9D%8E%E5%85%88%E7%94%9F%E8%A1%8C%E7%8B%80$solr_sortField%E2%80%A0%EA%B7%B8%EB%A3%B9%EC%A0%95%EB%A0%AC_s%20%EC%9E%90%EB%A3%8CID_s$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MO_AA$solr_toalCount%E2%80%A01$solr_curPos%E2%80%A00$solr_solrId%E2%80%A0GS_ITKC_MO_0144A_0480_010_0020 崇政大夫行知中樞府事聾巖李先生行狀], 퇴계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고전종합DB』<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고전번역원.</ref> 라는 기록이 있다. |
===초상에 묘사된 모습=== | ===초상에 묘사된 모습=== | ||
41번째 줄: | 41번째 줄: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 | + | | [[이현보 초상]] || [[초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 | |- | ||
− | | [[ | + | | [[이현보 초상]] || [[이현보]]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 ||
− | | [[ | + | | [[이현보 초상]] || [[옥준상인]]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 + | | [[이현보 초상]] || [[한국국학진흥원]]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 + | | [[옥준상인]] || [[이현보]]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 | ||
− | | [[ | + | | [[옥준상인시축복차선군운]] || [[옥준상인]]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 | ||
− | | [[ | + | | [[옥준상인시축복차선군운]] || [[이중량]] || A는 B가 썼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 + | | [[이현보]] ||[[이중량]]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 | ||
− | | [[ | + | | [[숭정대부 행 지중추부사 농암 이선생 행장]] || [[이현보]]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 | ||
− | | [[ | + | | [[퇴계집]] || [[숭정대부 행 지중추부사 농암 이선생 행장]]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 + | | [[퇴계집]] || [[이황]]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 | | [[퇴계집]] || [[조목]]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 | |- | ||
+ | | [[우안팔분면]] || [[이현보 초상]]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서안]] || [[이현보 초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 | |- | ||
+ | | [[패랭이]] || [[이현보 초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 | |- | ||
+ | | [[시복]] || [[이현보 초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 | |- | ||
+ | | [[품대|서대]] || [[이현보 초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 | |- | ||
+ | | [[화|흑피화]] || [[이현보 초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 | |- | ||
+ | | [[불자]] || [[이현보 초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 | |- | ||
+ | |} | ||
===시간정보=== | ===시간정보=== | ||
69번째 줄: | 85번째 줄: |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 | + | | 1537년 || [[이현보 초상]]이 제작되었다. |
|- | |- | ||
− | | | + | | 1986년 10월 15일 || [[이현보 초상]]이 보물 제1486호로 지정되었다. |
|} | |} | ||
78번째 줄: | 94번째 줄: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 | | + | | 36.7018650 || 128.8109040 || [[이현보 초상]]은 [[한국국학진흥원]]에 소장되어 있다. |
|- | |- | ||
|} | |}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 | <gallery> | ||
+ | 파일: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이현보_초상.jpg|[[이현보 초상]]<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8720000,37&flag=Y 이현보초상]",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gallery> | ||
=='''주석'''== | =='''주석'''== | ||
89번째 줄: | 108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유용한 정보=== | ===유용한 정보=== |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 | + | # 조선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3144 이현보 초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김용만,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3143 농암이현보선생유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더 읽을거리=== | ===더 읽을거리=== | ||
# 단행본 | # 단행본 | ||
#*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 : 역사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 눌와, 2007. | #*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 : 역사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 눌와, 2007. | ||
− | |||
# 전시도록 | # 전시도록 | ||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 ||
# 논문 | # 논문 | ||
− | #* | + | #* 박은순, 「농암 이현보의 영정과 영정개모시일기」. 『미술사학연구』 한국미술사학회, 2004. |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초상화]][[분류:문헌]][[분류:문화유산]] |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초상화]][[분류:문헌]][[분류:문화유산]] | ||
− |
2017년 11월 23일 (목) 16:11 기준 최신판
이현보 초상 | |
한자명칭 | 李賢輔 肖像 |
---|---|
작가 | 옥준상인 |
제작시기 | 1537년 |
소장처 | 한국국학진흥원 |
문화재지정사항 | 보물 제872호 |
유형 | 초상 |
크기(세로×가로) | 126×105㎝ |
목차
정의
조선시대 문신인 이현보(1467∼1555)의 모습을 그린 초상.
내용
초상의 제작 및 보관
조선시대의 화승 옥준상인이 그렸다고 전해지는 이현보의 초상화로 1536년 이현보가 경상도 관찰사로 있던 때에 제작되었다고 전해진다. 화가인 옥준상인의 행적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으나 이현보의 아들인 이중량의 문집 중 옥준상인과 이현보의 교류에 관한 시인 「옥준상인시축복차선군운(玉峻上人詩軸伏次先君韻)」이 수록되어 있어 이현보와 교류한 인물이라는 것은 알 수 있다. 그림 속에 등장하는 물건이나 금은니 등의 사용, 의복 처리 묘법 등에서 불화와의 연관성이 보여 화승으로 추측하기도 한다.[1]
이현보의 초상화는 이 원본 <이현보 초상>외에도 1827년에 이재관이 그린 이모본이 1점 있다. 이 이모본을 제작할 때의 절차와 의례, 제작과정 및 사후 처리 등이 기록된 『영정개모시일기(影幀改模時日記)』이 전하고 있어 영정 개모 당시의 상황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2]
당시 제작된 이모본도 현재 전하고 있는데 서안에 펼쳐진 서책이 원본과 달리 입체적으로 그려진 점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현재 <이현보 초상>은 한국국학진흥원에 기탁되었고 이모본은 안동 농암종택에 보관중이다.
문헌에 기록된 외모
이현보의 외모에 관해서는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등 에 짧은 언급이 있다.
연산군이 전교하기를, “전일 경연(經筵)에서 사관을 정청(政廳)에 참여시키도록 청하는 자가 있었는데, 그 사람은 낯이 검고 수염이 많았으니, 이는 반드시 이현보(李賢輔)일 것이다. 신진으로서 감히 의논드리는 것은 지극히 불가한 일이니 잡아다가 장형에 처하고, 현보가 계청하기 전에도 또한 말한 자가 있었으니 아울러 상고하여 아뢰라.”하였다. | ||
출처: 『연산군일기』 56권, 연산 10년(1504) 12월 24일(경진) 5번째 기사. 온라인 참조: '사관을 정청에 참여시키자고 말한 자를 이현보로 의심하여 장형에 처하게 하다', |
퇴계 이황이 쓴 「숭정대부 행 지중추부사 농암 이선생 행장」에는 “일을 당하면 강직하고 동요되지 않으므로, 당시 사람들이 공을 소주두루미(燒酒陶甁)라고 이름하니, 외모는 거무스레하나 속은 맑고 냉엄하다는 뜻이었다.”[4] 라는 기록이 있다.
초상에 묘사된 모습
<이현보 초상>은 우안팔분면의 전신부좌상(全身趺坐像)으로서 서안을 앞에 두고 앉은 특이한 형상을 하고 있다. 머리에는 패랭이를 쓰고 있다. 담홍색의 시복을 입고 허리에는 서대를 하고 있다.
이 초상화에는 조선시대 초상화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지 않는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손이 소매 밖으로 나와 있으며, 인물 앞쪽에 서안이 배치되어있고, 흑피화를 신고 부좌한 모습 등이 그러하다. 또한 왼손에 불자를 들고 있고 금은니를 사용하는 등 불화적인 요소도 나타나고 있다.[5]
안면의 묘사는 단순한 구륵법에 의존하고 있는데 이목구비의 특징을 약간 과장해서 표현한 만화적인 느낌도 준다. 남겨진 기록으로 볼 때 이현보는 얼굴이 검고 수염이 많은 것이 특징이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그림 속에 낯빛이 조금 어둡고 수염이 아주 풍성하게 그려진 모습이 전해지는 기록에 부합하는 모습이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이현보 초상 | 초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이현보 초상 | 이현보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이현보 초상 | 옥준상인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이현보 초상 | 한국국학진흥원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옥준상인 | 이현보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옥준상인시축복차선군운 | 옥준상인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옥준상인시축복차선군운 | 이중량 | A는 B가 썼다 | A dcterms:creator B |
이현보 | 이중량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숭정대부 행 지중추부사 농암 이선생 행장 | 이현보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퇴계집 | 숭정대부 행 지중추부사 농암 이선생 행장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퇴계집 | 이황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퇴계집 | 조목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우안팔분면 | 이현보 초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서안 | 이현보 초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패랭이 | 이현보 초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시복 | 이현보 초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서대 | 이현보 초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흑피화 | 이현보 초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불자 | 이현보 초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537년 | 이현보 초상이 제작되었다. |
1986년 10월 15일 | 이현보 초상이 보물 제1486호로 지정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6.7018650 | 128.8109040 | 이현보 초상은 한국국학진흥원에 소장되어 있다. |
시각자료
이현보 초상[6]
주석
- ↑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174쪽.
- ↑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175쪽.
- ↑ 『연산군일기』 56권, 연산 10년(1504) 12월 24일(경진) 5번째 기사. 온라인 참조: '사관을 정청에 참여시키자고 말한 자를 이현보로 의심하여 장형에 처하게 하다',
『조선왕조실록』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崇政大夫行知中樞府事聾巖李先生行狀, 퇴계집,
『한국고전종합DB』online , 한국고전번역원. - ↑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172쪽.
- ↑ "이현보초상", 문화재검색,
『문화재청』online .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더 읽을거리
- 단행본
-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 : 역사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 눌와, 2007.
- 전시도록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 논문
- 박은순, 「농암 이현보의 영정과 영정개모시일기」. 『미술사학연구』 한국미술사학회,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