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산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물품정보 | {{물품정보 | ||
|사진= 한글팀 호산춘 02.JPG | |사진= 한글팀 호산춘 02.JPG | ||
− | |사진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847522&cid=48182&categoryId=48275 호산춘]", <html><online style="color:purple"> | + | |사진출처= 박록담, 『한국의 전통면주 1:다시 쓰는 주방문』, 코리아쇼케이스, 온라인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847522&cid=48182&categoryId=48275 호산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대표명칭= 호산춘 | |대표명칭= 호산춘 | ||
|한자표기= 壺山春 | |한자표기= 壺山春 | ||
9번째 줄: | 9번째 줄: | ||
|용도= 음식, 술 | |용도= 음식, 술 | ||
|관련인물= | |관련인물= | ||
− | |관련단체= | + | |관련단체= |
|관련장소= | |관련장소= | ||
|관련물품= | |관련물품= | ||
− | |관련유물유적= | + | |관련유물유적= [[호산춘주 제조법]] |
}} | }} | ||
<!-- | <!-- | ||
19번째 줄: | 19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찹쌀과 멥쌀로 세 번 빚은 | + | 찹쌀과 멥쌀로 세 번 빚은 술이다. <ref> 황혜성,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3782 호산춘(壺山春)]", <html><online style="color:purple"> 『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내용'''== | =='''내용'''== | ||
− |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礪山)면의 특주로서 여산의 별호가 호산(壺山) | + |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礪山)면의 특주로서 여산의 별호가 호산(壺山)이었던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 술의 특징은 밑술을 두번 담그고 다시 덧술을 하여 세번을 담그는 데 있다. 조선 중엽 이후의 [[산림경제|『산림경제』]]·[[주방문|『주방문(酒方文)』]] 등의 문헌에 기록되어 있다.<ref> 황혜성,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3782 호산춘(壺山春)]", <html><online style="color:purple"> 『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제조법=== | ===제조법=== | ||
− | 초하룻날 멥쌀 1말5되를 깨끗이 씻어 하룻밤 담갔다 건져서 떡가루처럼 빻아 냉수 7되를 먼저 풀고 다시 끓인 물 8되를 뿌리면서 섞어 죽처럼 된 것을 차게 식힌다. 여기에 가루누룩 2되와 밀가루(眞末) 2되를 버무려 항아리에 담아 둔다. 이날부터 13일 된 후에 멥쌀 2말 5되를 물에 담갔다 떡가루로 | + | 초하룻날 멥쌀 1말5되를 깨끗이 씻어 하룻밤 담갔다 건져서 떡가루처럼 빻아 냉수 7되를 먼저 풀고 다시 끓인 물 8되를 뿌리면서 섞어 죽처럼 된 것을 차게 식힌다. 여기에 가루누룩 2되와 밀가루(眞末) 2되를 버무려 항아리에 담아 둔다. 이날부터 13일 된 후에 멥쌀 2말 5되를 물에 담갔다 떡가루로 만들고 끓인 물 2말 5되를 섞어 고루 버무려 매우 서늘하게 식힌 다음 가루누룩 2되를 섞어 먼저 담근 밑술항아리에 붓는다. 이 덧술을 담근 지 13일이 되면 멥쌀 5말을 물에 담갔다 건져서 술밥을 찐다. 끓인 물 5말을 이 술밥에 끼얹어 버무려 밥알이 말갛게 보이고 윤이 흐르면 삿자리에 얇게 펴서 서늘하게 식힌다. 여기에 가루누룩 2되와 밀가루 1되를 버무려 두번째 담근 술항아리에 있는 밑술에 버무려 담는다. 이 술항아리를 차지도 덥지도 않은 곳에 두면 두세달을 두고 맑은 술을 떠내어 써도 변하지 않는 독한 술이 된다.<ref> 황혜성,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3782 호산춘(壺山春)]", <html><online style="color:purple"> 『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연계자원정보 | {{연계자원정보 | ||
32번째 줄: | 32번째 줄: | ||
|연계자원3= | |연계자원3= | ||
}} | }} | ||
+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한글 고문헌에 담긴 조선시대의 맛 | + | *'''한글 고문헌에 담긴 조선시대의 맛''' |
<html> | <html>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40번째 줄: | 41번째 줄: | ||
</html> | </html>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ortable"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53번째 줄: | 54번째 줄: | ||
|} | |} | ||
+ | ==시각자료== | ||
+ | ===갤러리=== | ||
+ | <gallery> | ||
+ | 파일:한글팀 호산춘 02.JPG|호산춘 | ||
+ | </gallery> | ||
==주석== | ==주석== | ||
<references/> | <references/> | ||
59번째 줄: | 65번째 줄: | ||
===더 읽을 거리=== | ===더 읽을 거리=== | ||
*논문 | *논문 | ||
− | ** 장명선,「문경 호산춘 양조전통의 재구성과 활용」, 안동대학교 민속학과 | + | ** 장명선,「문경 호산춘 양조전통의 재구성과 활용」, 안동대학교 민속학과 물질문화전공 석사학위논문, 2013. |
− | ** 신수정,「가바(GABA)쌀을 이용한 막걸리 제조와 이화학 및 관능 특성」, 영남대학교 대학원 식품과학 | + | ** 신수정,「가바(GABA)쌀을 이용한 막걸리 제조와 이화학 및 관능 특성」, 영남대학교 대학원 식품과학 식품공학전공 석사학위논문, 2012. |
− | ** 남궁석, 이상우, 배상면, 「壺山春 釀造에 關한 文獻的 考察」, | + | ** 남궁석, 이상우, 배상면, 「壺山春 釀造에 關한 文獻的 考察」,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2,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992, 1-6쪽. |
[[분류:한글고문서]] [[분류:물품]] | [[분류:한글고문서]] [[분류:물품]] |
2017년 11월 25일 (토) 13:38 기준 최신판
호산춘(壺山春) | |
대표명칭 | 호산춘 |
---|---|
한자표기 | 壺山春 |
시대 | 조선중기 이후 |
용도 | 음식, 술 |
관련유물유적 | 호산춘주 제조법 |
정의
찹쌀과 멥쌀로 세 번 빚은 술이다. [1]
내용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礪山)면의 특주로서 여산의 별호가 호산(壺山)이었던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 술의 특징은 밑술을 두번 담그고 다시 덧술을 하여 세번을 담그는 데 있다. 조선 중엽 이후의 『산림경제』·『주방문(酒方文)』 등의 문헌에 기록되어 있다.[2]
제조법
초하룻날 멥쌀 1말5되를 깨끗이 씻어 하룻밤 담갔다 건져서 떡가루처럼 빻아 냉수 7되를 먼저 풀고 다시 끓인 물 8되를 뿌리면서 섞어 죽처럼 된 것을 차게 식힌다. 여기에 가루누룩 2되와 밀가루(眞末) 2되를 버무려 항아리에 담아 둔다. 이날부터 13일 된 후에 멥쌀 2말 5되를 물에 담갔다 떡가루로 만들고 끓인 물 2말 5되를 섞어 고루 버무려 매우 서늘하게 식힌 다음 가루누룩 2되를 섞어 먼저 담근 밑술항아리에 붓는다. 이 덧술을 담근 지 13일이 되면 멥쌀 5말을 물에 담갔다 건져서 술밥을 찐다. 끓인 물 5말을 이 술밥에 끼얹어 버무려 밥알이 말갛게 보이고 윤이 흐르면 삿자리에 얇게 펴서 서늘하게 식힌다. 여기에 가루누룩 2되와 밀가루 1되를 버무려 두번째 담근 술항아리에 있는 밑술에 버무려 담는다. 이 술항아리를 차지도 덥지도 않은 곳에 두면 두세달을 두고 맑은 술을 떠내어 써도 변하지 않는 독한 술이 된다.[3]
연계 자원 보러 가기 |
• 한글 고문헌에 담긴 조선시대의 맛 |
지식 관계망
- 한글 고문헌에 담긴 조선시대의 맛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호산춘 | 삼양주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호산춘 | 전라북도 여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산림경제 | 호산춘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주방문 | 호산춘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황혜성, "호산춘(壺山春)",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황혜성, "호산춘(壺山春)",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황혜성, "호산춘(壺山春)",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장명선,「문경 호산춘 양조전통의 재구성과 활용」, 안동대학교 민속학과 물질문화전공 석사학위논문, 2013.
- 신수정,「가바(GABA)쌀을 이용한 막걸리 제조와 이화학 및 관능 특성」, 영남대학교 대학원 식품과학 식품공학전공 석사학위논문, 2012.
- 남궁석, 이상우, 배상면, 「壺山春 釀造에 關한 文獻的 考察」,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2,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992, 1-6쪽.